마스터노드 구축하고 slave node에서 kubeadm join
시도 시, 헬스체크 할 때, 행이 한번 걸리고 연결이 안되는 경우에 대처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vi /etc/docker/daemon.json
vi editor로 데몬 파일에 "exec-opts": ["native.cgroupdriver=systemd"]
부분을 추가해준다.
sudo systemctl daemon-reload
데몬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
도커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kubelet
kubelet 재시작
데몬, 도커, 큐블릿 재시작 이후 join
을 다시 해준다.
kubelet.conf 파일이 이미 존재한다고 나오게 되면
kubeadm reset
으로 초기화를 한번 해준 이후에 다시 join
을 시도해주면 정상적으로 클러스터에 할당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나머지 slave node들도 이와같은 방법으로 적용을 해주고
마스터 노드에서 kubectl get nodes
로 클러스터에 반영된 것을 확인하면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