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thumbnail

OAuth 2.0을 활용한 로그인 구현

네 오늘은 지난번에 OAuth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으니, 오늘은 이를 직접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하게 구글, 카카오, 네이버 로그인 기능을 구현해보고, 동작하는 것까지 확인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세팅 다음처럼 세팅을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해주었습니다. 일단 데이터베이스와 연동을 한 뒤,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해줍니다. OAuth를 라이브러리에 넣어주어서 그런지, 로그인창이 바로 뜨네요. 로그인을 실행해주면, ![](https://velog.velcdn.co

2023년 2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OAuth

요즘 어떤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장면을 보신적이 있을 겁니다. 바로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기능입니다. 이처럼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기능을 사용하면, 해당 사이트에 개별적으로 회원 가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며, 사이트별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저는 매우 좋아합니다. 이제까지 로그인하면 Spring Security와 JWT를 사용한 로그인 기능만을 알고 있었으나, 요즘에는 이렇게 다른 소셜 계정을 통하여 로그인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아서 어떠한 원리로 작동하며,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OAuth 2.0 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다른

2023년 2월 2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