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에는 Network 부분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 공개키 방식과 비밀키 방식, Http 프로토콜과 Https 프로토콜 사이의 차이점, 로드밸런싱 기법, Blocking & Non-Blocking 방식, Synchronous, Asynchronous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공개키 / 비밀키 방식 대칭키 암호화 방식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동일한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당 암호화 방식을 사용할 경우, 동일한 키를 가진 송신자와 수신자만이 데이터를 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칭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DES, AES 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대칭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할 경우, 공개키 암호화 방식에 비하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키를 제3자
이번 주차에는 Network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Network OSI 7계층 TCP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TCP/IP 흐름제어 & 혼잡제어 UDP 우리가 사용하는 Network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간단하게 확인해보았으며, TCP 프로토콜과 UDP 프로토콜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OSI 7계층 각 프로토콜들을 기능별로 나눈 모델을 OSI 7계층이라고하는데,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합니다. 규격화된 OSI 7계층을 네트워크 모델로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컴퓨터 기기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크게 구분하였기 때문에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고,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각 계층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곳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계층만 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