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code.log
로그인
JHcode.log
로그인
[Spring Boot] Gradle과 build.gradle
정재현
·
2024년 1월 19일
팔로우
0
Spring boot
0
Spring Boot
목록 보기
5/19
Gradle이란
build 자동화 시스템
우리가
작성한 Java 코드를 설정에 맞게 자동으로 build
build : 우리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실행 가능한 결과물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
Gradle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Java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jar 파일로 만들어줌
프로젝트에 Build 추가하기(Mac)
우측의 Gradle 선택 - Tasks - build
build 선택
하단의 'successful 메시지' 든 것 확인
왼쪽의 build 폴더 생성되었는지 확인
build 안의 libs(라이브러리) 안에 실행가능한 jar파일이 추가되었는지 확인
프로젝트에 Build 추가하기(Window)
우측의 gradle 선택 - Tasks - build - build 선택
하단의 successful 확인
좌측의 프로젝트에 build가 생성되었는지 확인
build - libs 안에 실행가능한 jar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확인
build.gradle
Gradle 기반의 빌드 스크립트
build.gradle을 작성하면
소스 코드를 빌드하고 라이브러리들의 의존성을 쉽게 관리
할 수 있다.
groovy 혹은 kotlin 언어로 스크립트를 작성
우리가
개발을 하면서 필요로하는 외부 라이브러리들을 dependencies 부분에 작성
이후
Gradle
이
해당 라이브러리들
을 Maven Repository(라이브러리들을 모아둔 저장소) 와 같은 외부 저장소에서
자동으로 다운로드
해옴
다른 라이브러리들과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관리
로 인해 라이브러리들간의 충돌 걱정없이 개발에만 집중 가능
라이브러리 : 필요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코드의 묶음
→ 개발자들은 모든 기능을 전부 직접 구현하지 않고 미리 작성되어있는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여 기능을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
SpringBoot의 버전을 변경
하고 싶다면 ‘3.1.0’ 부분을 원하는 버전으로 수정
필요로하는 라이브러리를 추가
해주면
코끼리 모양의 표시
가 생성
→ 해당 표시를 클릭하면
추가된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해온다.
Maven Repository
사이트에 접속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검색하여 사용
External Libraries에서
Gradle이 다운로드해온 라이브러리들을 확인
가능
정재현
공부 기록 보관소
팔로우
이전 포스트
[IntelliJ] Git repository 연동하기
다음 포스트
서버에 관한 기초 지식
0개의 댓글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