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ing (제목) - 블록 요소
제목 태그는 웹 페이지에 표시하려는 제목이다.
<h1> ~ <h6> 까지 쓰인다 하나의 프로젝트에 <h1> 제일 큰 주제에 하나만 써주는게 좋다. w3c validation에 오류는 안뜨나 사용자들이 검색 엔진을 통해 무언가 검색을 할 때 가장 큰 제목부터 보기 마련이다. ( 제목으로 글씨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별로 안좋다. font-size로 조절하는 방법이 합리적이다. )
<h1> 가장 중요한 큰 제목 </h1>
<h2> 그 다음 중요한 제목 </h2>
<h3> 그 다음 </h3>
<h4> 그 다음 </h4>
<h5> 그 다음 </h5>
<h6> 그 다음... </h6>
Paragraphs (단락) - 블록 요소
단락 태그는 문단을 정의할 때 사용된다. ( <p>내용</p> )
브라우저는 자동으로 <p>요소의 위쪽과 아래쪽에 약간의 여백을 추가한다.
단락은 항상 새 줄에서 시작한다.
<p>
This paragraph
contains a lot of lines
in the source code,
but the browser
ignores it.
</p>
<p>
This paragraph
contains a lot of spaces
in the source code,
but the browser
ignores it.
</p>
Preformatted Text (단락) - 블록 요소
<pre>태그는 형식화된 텍스트를 나타낸다. 보통 다른 태그들안에 텍스트를 넣으면 엔터(Enter), 스페이스바(Space)를 해도 공백하나로 인식을 하는데 <pre>태그는 HTML 형태 그대로 유지가 가능하다. 때문에 독특한 포맷을 가진 '시'나 들여쓰기의 형식을 가진 코드 소스또는 특수문자로 그린 그림을 주로 넣는다.
<pre>
_______________________
< 나는 이 분야의 전문가다. >
-----------------------
\ ^__^
\ (oo)\_______
(__)\ )\/\
||----w |
|| ||
</pre>
List (목록) - 블록 요소
목록 태그는 HTML 문서에서 목록을 나타내는 태그다. ( 크게 3가지로 나뉘어 진다. )
순서가 있는 목록 ( Ordered List ), 순서가 없는 목록 ( Unordered List ), 개념과 정의로 이루어진 목록 ( Description List )
<ol>태그를 이용하여 정의하고 안에 <li>로 항목을 정의합니다.
<ol>태그안에는 <li>외에 다른 태그가 들어올 수 없습니다. ( 웹 표준 )
<ol>태그에 같은 <ol>도 들어올 수 없습니다. ( <li>안에는 사용가능 )
<ol>의 기본 표현은 숫자이며 CSS로 로마자 같은 다른 형식으로도 표현 가능
( <ol type="1">, <ol type="a">, <ol type="A">,<ol type="i"> 등등 )
( <ol>과 <li>는 전부 블록요소 )
<ol>
<li>첫 번째</li>
<li>두 번째</li>
<li>세 번째</li>
</ol>
<ol>의 순서는 보통 1부터 시작하나 <ol>의 속성값을 줘서 바꿀 수 있다.
<ol start="10">
<li>첫 번째</li>
<li>두 번째</li>
<li>세 번째</li>
</ol>
또 역순으로도 가능하다.
<ol reversed="reversed">
<li>첫 번째</li>
<li>두 번째</li>
<li>세 번째</li>
</ol>
reversed속성의 속성값은 reversed만 사용가능
<ul>태그를 이용하여 정의하고 안에 <li>로 항목을 정의합니다.
<ul>태그안에는 <li>외에 다른 태그가 들어올 수 없습니다. ( 웹 표준 )
<ul>태그에 같은 <ul>도 들어올 수 없습니다. ( <li>안에는 사용가능 )
<ul>은 순서가 없는 목록이라 <ol>에서 썻던 start,reversed 속성은 사용 불가능
정말 자주쓰이는 목록 태그
( <ul>과 <li>는 전부 블록요소 )
<ul>
<li>첫 번째</li>
<li>두 번째</li>
<li>세 번째</li>
</ul>
앞에 동그라미는 type속성으로 변경가능하다. ( circle, square 등등 )
앞에 <ol>과 <ul>과는 조금 다른 형태이다.
개념은 <dt> 정의는 <dd>로 작성한다.
<dl>안에는 <dt>,<dd>만 사용가능하다.
( dt는 인라인 요소이며, dd는 블럭 요소입니다 )
<dt>와 <dd>는 1:1 뿐만아니라 1:다, 다:1 형식도 가질 수 있다.
<dl>
<dt>이름</dt>
<dt>Name</dt>
<dd>홍길동</dd>
<dt>취미</dt>
<dt>Hobby</dt>
<dd>축구</dd>
<dd>Football</dd>
</dl>
Break (개행) - 인라인 요소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코드 내에서 엔터(Enter)를 써도 줄바꿈이 안되기 때문에 줄바꿈을 목적으로 하는 <br>태그 주소 또는 시를쓰기에 유용하다.
HTML4 : <br>만 허용
HTML5 : <br> 선호, <br/> 및 <br /> 사용 가능
XHTML : <br /> 선호, <br/> 및 <br></br> 사용 가능
<p>
가나다라마바사 <br>
아자차카타파하
</p>
Horizontal Rule (수평선) - 블록 요소
장면의 전환, 다른 화제로의 전환 등을 위해 사용하는 요소
( 시각적인 용도로도 사용 )선종류: solid dotted dashed double groove ridge inset outset 등이 있다. ( border 속성 사용 )
선굵기: 단위는 px, pt, %, em 등을 쓸 수 있다.
선색상: red blue black 등과 같이 색상이름을 쓰도 되고, #eeeeee 와 같이 코드로 써도 된다.
( align으로 정렬도 가능 width기본값 100% )
<hr style="border: 1px solid red">
Text Formatting (텍스트 서식) - 인라인 요소
특별한 의미를 가진 텍스트를 정의하기 위한 요소
텍스트에 다양한 효과를 줄 때 사용한다.
<p>
<b>글씨를 굵게</b> <br>
<strong>글씨를 굵으면서 강조의 의미도 적용</strong>
</p>
<p>
<i>글씨를 기울이게</i> <br>
<em>글씨를 굵으면서 강조의 의미도 적용</em>
</p>
<p>
다른것들 보다 좀더 <small>작게</small>
</p>
<p>
맥락에서 <mark>하이라이트</mark>된 부분
</p>
<p>
텍스트가 <del>취소된</del> 새로 <ins>추가된</ins>
</p>
<del>대신 <s>나 <strike>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strike>는 html5에서는 더이상 지원하지 않는다. html5에선 <s>를 사용한다.
<ins>대신 <u>를 사용가능하다.
<p>
<sub>아랫</sub> 첨자 <br>
2<sup>2</sup>
</p>
Quotation (인용)
인터넷에서 글을 쓰다보면 분명 다른 글의 인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blockquote>,<q>,<cite>는 이 경우에 사용한다.
<blockquote> - 블록요소
기본 브라우저에서는 들여쓰기로 표현된다. 블록요소이기 때문에, 다른 블록요소들을 포함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긴 내용의 인용을 담기에 적합한 요소이다.
<blockquote>안에 cite속성을 사용할 때는 출처를 나타내는 URL을 넣어준다.
<q> - 인라인 요소
기본 브라우저에서는 따옴표로 표현되기 때문에 굳이 따옴표를 넣어줄 필요가 없다. 비교적 짧은 인용문에서 사용된다.
<cite>
<blockquote>와 <q>안에서 인용된 자원을 나타낸다 작품의 제목이나 저자 넣어야 된다. ( 창작물 ) 또는 출처를 밝힐때도 사용한다.
<cite> 태그안의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기울임꼴 로 표시된다.
<cite> 는 요소가 아닌 속성으로도 존재한다. <blockquote>와 <q>요소에 속성으로 넣고 속성값으로 브라우저 주소를 넣는다.
이순신은 이렇게 말했다. <br>
<q>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마라</q>
<br>
<p>마틴 루터 킹은 이렇게 말했다.</p>
<blockquote cite="https://www.bizforms.co.kr/joungul/biz_joungul_29298.asp">비폭력이란 강력하고 정당한 무기로서 상처없이 잘라내며 그것을 휘두르는 사람을 고상하게 만들어 준다. 비폭력은 치료의 검이다." </blockquote>
<p><cite>The Scream</cite> <br>by Edvard Munch. Painted in 1893.</p>
<address>경기도 의정부시 센트럴파크</address>
<abbr title="Hyper Text Markup Language">HTML</ab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