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열번째 키워드인 'Unity의 레거시/휴머노이드 애니메이션의 차이'를 알아보겠다.

자 유니티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는 레거시(Legacy)와 휴머노이드(Humanoid)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애니메이션의 분야는 저번 키워드에서 좀 알아보았기에 다시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게임분야에서는 애니메이션이 거의 안들어가면 만들어지지 않을정도로 무조건 들어가는 기술이다.
유니티에서는 애니메이션을 나타내기위해 다양한 기술이 있는데 그 중 레거시와 휴머노이드 방식이 있는것이다.

위 사진처럼 Animation Type에 들어가는것이 Legacy 타입이 있다.
레거시 애니메이션의 특징을 알아보겠다.
클립 기반 애니메이션 처리: 레거시 애니메이션 시스템은 각각의 애니메이션 클립을 별도로 처리한다. 이는 각 애니메이션을 독립적으로 다룰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여러 애니메이션 간의 전환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Keyframe 애니메이션: 주로 키프레임 기반의 애니메이션을 다룬다. 이는 시간에 따라 객체의 변화를 지정하는 키프레임을 사용하여 애니메이션을 만든다.
제한된 블렌딩 및 레이어: 레거시 애니메이션 시스템에서는 애니메이션 블렌딩과 레이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휴머노이드 애니메이션 시스템에 비해 제한적이다.
Unity 초기에 사용한 애니메이션 시스템으로 비교적 단순하고 직관적이지만, 더 정교한 애니메이션 기능이 필요한 프로젝트에는 제한적이다.

위 사진처럼 Animation Type에 들어가는것이 Humanoid 타입이 있다.
인간형 캐릭터에 특화: 휴머노이드 애니메이션 시스템은 주로 인간형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다루는 데 특화되어 있다. 이는 인간의 해부학적 특성과 움직임을 고려하여 작동한다.
Mecanim 애니메이션 편집기: Unity의 Mecanim은 강력한 애니메이션 편집기로, 휴머노이드 애니메이션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다. Mecanim을 사용하면 애니메이션 레이어, 블렌딩, 리타겟팅 등과 같은 고급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리타겟팅: 휴머노이드 애니메이션 시스템은 애니메이션 리타겟팅을 지원한다. 이는 하나의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다른 캐릭터에 적용하는 기능을 말한다.
Unity의 최신 애니메이션 시스템 중 하나로 다양한 표현과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고 더 많은 제어와 고급기능을 제공한다.
사실 두개를 설명하면 차이점이 확 드러나서 알아보기 쉽다.
둘다 써본 느낌으로 말하자면 애니메이션 분야는 너무 나한테는 어려운 분야라서 휴머노이드가 쓰기 좋았던 것 같았다.
제일 약한 부분인 애니메이션 분야를 따로 공부를 해보니 이렇게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게되었다.
처음에는 제대로 알지 못하고 썼지만 이제는 기준을 판단해서 접목시킬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