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서른번째 키워드 '인터럽트'를 알아보겠다.
스레드를 알아보았던 키워드와 연관되는 개념이므로 같이 알아보았다.

상호배제은 이제 'Mutex'라고 부르며 크리티컬 섹션이라는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 나오게 된 동기화 방식 이다.
뮤텍스라는 정의는 다음과 같다. 공유된 자원의 데이터 혹은 임계영역등에 하나의 프로세스 혹은 스레드가 접근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임계구역을 가진 스레드들의 실행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고 각각 단독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
한 프로세스에 의해 소유 될 수 있는 Key를 기반으로 한 상호배제 기법이고 Key에 해당하는 어떤 객체가 있으며,
이 객체를 소유한 스레트나 프로세스만이 공유자원에 접근 할 수 있다고 한다.
상호배제가 필요한 이유는 다중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동시에 공유 자원(예: 변수,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데이터 손상이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스레드가 같은 변수의 값을 동시에 수정하려고 하면, 값이 예기치 않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호배제가 필요하다.
장점
단점
이번 키워드를 공부하며 각종 프로세스나 스레드에 대해서 잘 알게 된것 같다.
앞으로의 키워드가 이쪽을 중심으로 나오게 될 것 같은데 많은 경험으로 지식을 쌓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