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가 이정도는 해줘야 함 - 커리큘럼 털어놓기

PlanB·2019년 7월 4일
46

60챕터 정도로 계획을 잡았고, 그동안 약 20개의 글을 통해 17개 챕터의 내용을 공유했다. 그러나 이런 주제로 글을 쓰는 게 개인의 성장에 그리 큰 도움을 주지 않는 것 같아 그동안 연재를 일시중지하고 있었다. 내용의 난이도가 높아서가 아니라, 교과서를 쓰는 느낌이라서 그렇다. 언젠가부터 다시 글을 쓰긴 할텐데, 커리큘럼들을 그냥 공유해 두고 있는 게 마음이 편할 것 같아 이번 글에서는 계획해 두었던 커리큘럼을 털어놓으려고 한다. 17챕터까지의 내용을 정리하고, 앞으로 계획하고 있는 내용들을 정리하겠다.

17챕터까지의 내용

개요

컨텐츠의 시작을 알리는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다.

버전 관리 시스템과 버전 관리 웹호스팅 서비스 결정

버전 관리 시스템과, 이러한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 서비스를 의사결정했다.

개발 프로세스 정립

이슈 관리, 작업 진행 방식, 작업의 제품 반영 과정과 같은 것들에 대한 규칙을 정리했다.

API 설계 원칙과 직렬화 포맷 결정

API 설계 원칙과 직렬화 포맷을 결정했다.

사용자 인증 방식 결정

리소스가 특정 사용자에게 귀속되는 서비스라면 꼭 필요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결정했다.

API 스펙 설계와 문서화 방식 결정

  • API 스펙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일러두고, 실제로 API 스펙을 설계했다.
  • 프론트엔드 팀에게 전해줄 문서를 작성해야 하므로, API 문서를 어떤 식으로 작성하고 관리할지 결정했다.

어플리케이션 기술스택 결정과 Hello World 서버 작성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기술스택을 결정하고 Hello World 서버를 작성했다.

의존성 관리 도구 결정

의존성 관리 도구를 결정했다.

Compute Engine 결정과 Hello World 서버 배포

서버를 실행할 위치인 Compute Engine을 결정하고 Hello World 서버를 배포해 봤다.

데이터베이스 선정과 인스턴스 시작

서비스 운영을 위한 메인 데이터베이스를 결정하고, AWS 위에 해당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사용하는 인스턴스를 띄워 봤다.

배포 자동화

배포 자동화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고, 실제로 배포 자동화를 구성해 봤다.

어플리케이션 레벨 의사결정

코드를 작성하는 데에 있어서 판단의 기반이 될 의사결정을 진행했다.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 몇 가지 '일러두기' 설명을 했다.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회고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을 회고했다.

테스트에 대한 이야기와 의사결정

테스트에 대해 이야기하고, 테스트 프레임워크에 관해 의사결정했다.

테스트에 대한 고민

테스트를 작성하며 생길 수 있는 고민들을 미리 이야기해 봤다.

RDS 인스턴스에 새로운 Security Group을 만들어 연결하기

Security Group이라는 것을 미리 알아두기 위해, 언젠가는 마땅히 했어야 할 Security Group 관련 설정을 진행해 봤다. RDS에서 돌아가고 있는 MySQL에 아무도 접근할 수 없게 만들었다.

앞으로의 내용

Local DB에 관한 작업

  • 테스트 코드는 Production DB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테스트 코드 실행 시 항상 로컬의 MySQL을 사용하도록 한다.
  • 어떻게 하면 DB Host에 관해 개발자가 실수할 일이 없는 환경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해 본다.

테스트가 성공했을 때만 배포하게 하기

  • CI에서 배포하기 전에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만들고, 테스트가 성공했을 때만 배포하게 해 본다.
  • 테스트 코드가 항상 로컬의 MySQL을 사용하도록 했으니, 테스트 실행 전에 MySQL을 로컬에 띄우도록 해 본다.

unit test에 대한 고민

  • API test를 통해 간접 테스트되는 함수들을 그대로 내버려두는 게 맞는 것인지
  • 정말로 mock을 사용해 unit test를 작성하는 게 국룰인지
  • integration test를 중점적으로 테스트를 작성했을 때의 장단점을 살펴보며 의사결정을 하고
  • state verification, behavior verification과 함께 mock, stub, fake와 같은 test double에 대해 이야기

테스트할 수 없는 코드는 없다

  • API 서버라고 API만 테스트할 이유가 없으니, 테스트를 바라보는 여러 관점에 대해 이야기
  • testability, DRY한 코드를 작성하라고 그렇게나 강요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

CI 워크플로우 다듬기

  • PR이 올라가면 테스트를 수행하게 하기
  • 테스트가 성공하지 못하면 merge가 불가능하게 두기(branch protection)
  • 배포할 땐 테스트하지 않게 하기 : PR용과 merge용으로 CI Job을 별도로 구성 vs buildspec에서 if문을 써서 처리하기

저장소 다듬기

  • 테스트 커버리지 시스템 연동하기
  • 코드 퀄리티파이어 추가하기
  • Black 적용하기

저장소 다듬기 2

  • fork해서 작업하는 워크플로우 구성하기
  • pull request에서 리뷰어의 approve가 없으면 merge할 수 없게 하기

스키마에 대한 고민

  • hard delete와 soft delete
  • created_at과 updated_at

스키마 관리에 대한 고민

  • Liquibase
  • 스키마 변경을 어떻게 기록할 수 있을까?

릴리즈 준비

  •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의 API 호출해 보기 : DB 접근 권한 문제로 에러가 날 것. WAS용 security group을 생성하고 해당 security group을 DB inbound로 허용한 후, zappa_settings.json에 security group에 관련된 내용을 설정
  • zappa certify로 도메인을 달기
  • DDL에 관한 이야기 : SQLAlchemy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생성 메소드를 사용할지, 별도의 DDL을 export해서 사용할지 등에 대해 의사결정

예민한 데이터를 Amazon SSM으로 관리하기

Amazon SSM의 Secrets Manager로 예민한 데이터를 관리하기 시작한다.

위험한 쿼리가 허용되지 않은 유저 만들기

개발자들이 개발 용도로 사용하는 유저는 DROP Table같은 위험한 쿼리를 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권한이 잘 설정된 유저를 만들어 본다.

개발용 서버를 따로 두기

막 붙이면서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CORS 적용하기

CORS를 적용한다.

프론트엔드 배포 돕기

  • S3 upload, 이에 관한 CI 세팅
  • cloudfront 세팅
  • S3 bucket에 직접 접근하는 것에 대한 restricting

저장소 다듬기 3

  • README.md에 빌드 상태, 테스트 커버리지, 코드 퀄리티, black에 대한 badge 달기
  • Issue Template, Pull Request Template 추가하기
  • CONTRIBUTING.md 추가하기

파일 업로드 다듬기

  • 스토리지 서비스와 CDN을 사용하기

IAM Role 잘 다루기

  • Zappa가 자동으로 생성한 role 말고, 별도로 role을 생성해 달아주기

Lambda 배포 시 생기는 다운타임 문제 해결하기

Lambda에 새로운 버전의 함수가 배포되면 cold start에 의해 다운타임이 생기곤 한다. alias를 이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DB에 read 전용 replica 두기

master/slave나 primary/secondary같은 분류의 범주에 들어가는, read replication을 해 본다.

DB Access하는 로직을 별도로 분리하기

WET한 코드를 줄이기 위해 로직을 분리하기 시작한다.

Repository Pattern과 DI를 적용하기

분리한 비즈니스 로직을 repository화 하고, Dependency Injection 구조를 사용해 비즈니스 로직을 테스트하기 좋게 만든다. DAO, DTO, DO, marshal과 같은 개념을 살펴본다.

JWT 로직을 개선하기

identity는 어떻게 생성해줘야 할 지, blacklisting은 어떻게 해야 할 지, refresh 정책은 어떻게 두어야 할 지 등을 결정한다.

로그 시스템과 사투하기

  • New Relic같은 별도의 SaaS APM을 쓸 지, 로그를 CloudWatch에 남겨서 ElasticSearch로 넘길지, Elastic APM을 써볼지 등등에 대해 의사결정한다.
  • CloudWatch도 써 보고, Elastic APM도 써 보고, New Relic도 써 보고, ELK Stack도 써 보고, TICK Stack도 써 본다.
  • 이것저것 써보는 동안 Grafana같은 걸로 로그 시각화도 한 번씩 해 본다.
  • StatsD같은 로그 집계 프록시를 로그 파이프라인 사이에 끼워넣어 본다.
  • 결론적으로 우리에게 가장 쓸만한 솔루션은 무엇일지 검토한다.

API Scenario Test를 작성하자

  • Runscope를 통해 API 사용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일정 시간마다 실행되게 만들어 본다.

Alert 연동하기

  • alert를 잘 도와주는 툴을 찾아 scenario test가 실패했을 때 나한테 전화가 오게 만들어 본다.

Alert의 범위를 넓히기

  • 그동안 구성해 뒀던 로그 시스템들에 alert policy들을 만들어 본다.
  • 이것도 슬랙이나 전화 등의 창구로 alert을 받아볼 수 있게 해 본다.

Queue와 Worker

이메일 전송과 같은 것들을 위해 worker를 만들어서 HTTP blocking으로 생기는 레이턴시를 줄여 본다.

시스템을 정리해 보기

front-end tier, back-end tier, data tier, monitoring tier로 나누어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정리해 본다.

ECS로 인프라 이동하기

  • 지금 API 서버가 Lambda로 만족스럽게 운영할 수 있는 상태인지 검토한다.
  • 그렇지 않다고 가정하고, ECS를 위해 Docker와 친해져 본다.
  • ECS로 인프라를 이동해 본다.

space-time tradeoff

in-memory caching을 이용해 API의 속도를 높여 본다.

테스트를 Docker Container에서 실행하기

MySQL과 같은 테스트를 위한 인프라도, 어플리케이션도 dockerize해서 잘 정의된 테스트 코드 실행 환경을 만들어 본다.

Terraform 시작하기

Terraform으로 IaC를 시작해 본다.

GitOps 시작하기

GitOps를 시작해 본다.

profile
백엔드를 주로 다룹니다. 최고가 될 수 없는 주제로는 글을 쓰지 않습니다.

7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19년 7월 11일

정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항상 좋은 내용으로 서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19년 7월 15일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19년 12월 18일

좋은 글 감사합니다. 배울게 많습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0년 6월 12일

좋은 글 감사합니다. 베어러 인증 관련 찾다가 넘어 들어왔는데...
제가 마침 찾고 있던 좋은 글이 많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3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0년 8월 2일

여러 기술에 대해 알고는 있었지만 프로세스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잘 몰랐는데 덕분에 잘 알게되었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2월 27일

많이 보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3일 전

쭉 정독하면서 많은 것들을 배우고 갑니다.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