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의존성 주입 (DI)

cjkangme·2023년 8월 8일
0

TIL

목록 보기
19/36

의존성 주입 (DI, Dependency Injection)

  • 메인 모듈이 다른 하위 모델에 직접 의존성을 주지 않고, 중간에 의존성 주입자(dependency injector)를 이용해 메인 모듈이 하위 모듈에 간접적으로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
  • 의존성 : (A → B) A 가 B에 의존한다 → B의 상태가 변하면 A도 변경되어야 하는 관계
    // A -> B 관계의 예
    class B {
    	go() {
    		console.log("go 함수 실행")
    	}
    }
    
    class A {
    	go() {
    		new B().go()
    	}
    }
    
    new A().go()
    • 위 코드에서 B 클래스의 메서드 이름이 변경되면 A도 수정하여야 한다.
    • 유지보수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끼친다.
  • 메인 모듈과 하위 모듈과의 의존성을 느슨하게 만들 수 있고, 모듈을 쉽게 교체 가능한 구조로 만든다 (유지보수성 증가)
  • 의존성을 주입하면 의존관계역전원칙(DIP)이 적용된다.

예시

// 의존성 주입 전

// 토큰인증을 통해 요청을 보냄
const response = fetch(`${url}`, {
	headers: {
		Authorization:localStorage.getItem("TOKEN");
	}
}) 

// 로그아웃 시 토큰 삭제
localStorage.removeItem("TOKEN")
  • 위 코드의 경우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localStorage 에 의존하고 있다.
  • 만약 로컬스토리지 대신 세션스토리지를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 지금은 2개지만, localStorage를 사용하는 모든 코드를 sessionStorage로 일일히 수정해주어야 한다.
    • 즉 localStroage에 의존하고 있다.
// 의존성 주입

/* 
TokenStorageInterface

save(token:string):void
get():string
remove():void
**/
class TokenStorage {
	KEY = "TOKEN"

	save(token) {
		localStorage.setItem(KEY, token)
	}
	
	get() {
		localStorage.getItem(KEY)
	}

	remove() {
		localStorage.removeItem(KEY)
	}
}

const tokenStorage = new TokenStorage()

// 토큰인증을 통해 요청을 보냄
const response = fetch(`${url}`, {
	headers: {
		Authorization: tokenStorage.get();
	}
}) 

// 로그아웃 시 토큰 삭제
tokenStorage.remove();
  • 이제 코드에 토큰을 사용하는 코드가 몇개가 있든 TokenStorage 에 있는 localStorage만 수정해주면 사용할 저장소를 교체할 수 있다.
  • 즉 여기서 TokenStorage가 의존성 주입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의존관계 역전

  • 의존성 관계 비교
    • 기존 : API 호출부 → localStorage
    • 의존성 주입 : API 호출부 → TokenStorageInterface ← TokenStorage → localStorage
  • 위와 같이 의존성 주입 후 특정 시점에서 의존성 흐름이 반대로 뒤집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의존성 주입을 통해 의존관계 역전 원칙(DIP)이 적용된 것이다.
  • 이렇게 하면 변경의 여지가 적은 추상적인 요소에만 의존하고, 변경의 여지가 많은 구체적인 요소에 의존하지 않게 되어 유지보수성이 증가한다.

의존관계 역전 원칙

의존성 주입을 할 때 의존관계역전원칙을 지키는 상태여야 한다.

  • 상위 모듈은 하위 모듈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둘 다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
  • 추상화는 세부사항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세부 사항은 추상화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위의 예시에서 TokenStorageInterface가 추상화에 해당한다.

의존성 주입의 장점

  • 모듈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 단위 테스팅과 마이그레이션이 쉬워진다.

의존성 주입의 단점

  • 모듈이 늘어나게 되어 복잡도가 증가한다.
  • 종속성 주입이 런타임 때 일어나므로, 종속성 주입에 대한 에러를 잡기가 어려워진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