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CI/CD는 이제 현대 개발 환경의 표준입니다. 이 영역의 전통적인 강자는 Jenkins이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는 각 CSP가 제공하는 관리형 서비스들이 그 뒤를 좇고 있습니다. GCP 생태계에서는 Cloud Build가 그 역할을 합니다.
핵심 비교
1. 관리 주체 (Hosting & Management)
- Jenkins: 직접 서버(GCE 등)에 설치하고 관리하는 Self-hosted 방식입니다. OS, 플러그인, 보안 업데이트 등 모든 인프라 관리에 대한 책임이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 Cloud Build: Google이 전적으로 관리하는 완전 관리형(Fully-managed) 서버리스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인프라에 대해 전혀 신경 쓸 필요 없이 빌드 실행에만 집중하면 됩니다.
2. 설정 및 구성 (Configuration)
- Jenkins:
Jenkinsfile이라는 Groovy 스크립트를 통해 파이프라인을 코드로 정의(Pipeline-as-Code)합니다. UI를 통한 설정도 가능하지만, 코드 기반 관리가 표준입니다. Groovy 문법 학습이 필요합니다.
- Cloud Build:
cloudbuild.yaml 파일을 통해 빌드 스텝을 정의합니다. YAML 형식으로 직관적이고 배우기 쉽습니다. 각 스텝은 Docker 컨테이너에서 실행됩니다.
3. 인프라 및 확장성 (Infrastructure & Scalability)
- Jenkins: Master-Agent 구조로, 빌드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별도의 Agent 노드를 구성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트래픽이 급증할 경우 Agent를 수동 또는 자동화 스크립트를 통해 증설해야 합니다.
- Cloud Build: 서버리스 아키텍처입니다. 빌드 요청이 있을 때마다 Google이 알아서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할당하고, 빌드가 끝나면 리소스를 회수합니다. 동시 빌드 요청이 많아져도 자동으로 확장되므로 확장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4. GCP 생태계 통합 (GCP Ecosystem Integration)
- Jenkins: GCP 관련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서비스 계정(SA) 키를 발급받아 Jenkins에 등록하는 등 수동 설정이 필요합니다. 키 관리의 부담이 존재합니다.
- Cloud Build: GCP 네이티브 서비스로서 IAM, Container Registry(GCR/AR), GKE, Cloud Run, Cloud Functions 등 다른 GCP 서비스와 기본적으로 완벽하게 통합됩니다. 별도의 인증 키 없이 IAM 역할만으로 권한 제어가 가능해 보안과 편의성 면에서 월등합니다.
5. 비용 (Cost)
- Jenkins: 오픈소스이므로 소프트웨어 자체는 무료입니다. 하지만 Jenkins Master와 Agent를 실행하기 위한 인프라 비용(GCE, 네트워크 등)과 관리 인력에 대한 비용이 발생합니다.
- Cloud Build: 사용한 빌드 시간(분)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 모델입니다. 매일 일정량의 빌드 시간을 제공하는 무료 등급(Free Tier)이 있어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동일하게 비용 부담이 거의 없습니다.
한눈에 보는 비교표
| 항목 | Jenkins | Cloud Build |
|---|
| 관리 방식 | Self-hosted (직접 관리) | Fully-managed Serverless (Google 관리) |
| 설정 | Jenkinsfile (Groovy) | cloudbuild.yaml (YAML) |
| 인프라 | Master-Agent 구조, 수동 확장 | 서버리스, 자동 확장 |
| GCP 통합 | 플러그인 및 서비스 계정 키 필요 | 네이티브 통합 (IAM 기반) |
| 비용 모델 | 인프라 비용 + 관리 비용 | 빌드 시간 기반 종량제 (Free Tier 제공) |
| 확장성 | 방대한 플러그인 생태계 | 커스텀 빌드 스텝으로 확장 가능 |
이런 경우 Jenkins를 추천합니다
- 멀티 클라우드 또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CI/CD를 중앙에서 관리해야 할 때
- GCP 외에 온프레미스 서버, 다른 클라우드 등 다양한 환경에 배포해야 할 때
- Cloud Build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특수한 플러그인이나 복잡한 파이프라인이 반드시 필요할 때
- 이미 팀 내에 Jenkins 운영 경험과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을 때
이런 경우 Cloud Build를 추천합니다
- 주력 인프라가 GCP이며, GKE, Cloud Run 등 GCP 서비스와 긴밀한 통합이 필요할 때
- CI/CD 인프라 관리에 드는 운영 리소스를 최소화하고 싶을 때
- 빌드 트래픽의 변동이 심해 탄력적인 자동 확장이 중요할 때
- 컨테이너 기반의 빌드/배포가 중심인 현대적인 개발 환경일 때
- 빠르게 CI/CD를 구축하고 싶고, 서버리스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을 때
결론
GCP를 중심으로 인프라를 운영하고 있다면, 관리 포인트가 없고 GCP 서비스와 완벽하게 통합되는 Cloud Build가 대부분의 경우 더 효율적인 선택입니다. 인프라 관리 부담을 덜고 개발 자체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반면, 복잡한 요구사항이나 멀티 클라우드 환경 등 완전한 제어권과 유연성이 필요하다면 Jenkins가 여전히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