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네릭스를 공부하다가재미삼아 Map을 구현해봤다.형편없는 코드지만 나름 재미있었다.
정답은 '아니오'다.이유는 기능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다.네개의 클래스가 있다고 상상해보자.A, B, C, DB 와 C는 A를 상속받는 클래스고D는 B와 C를 상속받는다고 해보자A클래스가 x라는 필드를 갖고있다고 해보자.그러면 D는 B와 C의 변수를 구분되게
String String은 내부적으로 char배열을 멤버로 갖고있는 래퍼클래스이다. 생성자를 통해 문자열 파라미터를 줘 객체를 생성하면 그 문자열을 바꿀 수 없다. 반면에 StringBuffer 클래스에서는 가능하다.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날이 다가온다.하지만 나는 아직도 게시판에 파일 첨부하는 법을 모른다.그래서 오늘은 InputStream, OutputStream에 대해 공부했다. 간단히 이미 존재하는 텍스트 파일을 읽고 쓰고 복사해볼 것이다.Input(입력) 과 Output(출력
자바의 정석으로 스터디를 하는 도중 static에 대해 의문이 생겼다.static 멤버는 클래스가 메모리에 로딩될때 같이 메모리에 올라가는데 그 시점이 언제일까? 출처 https://www.programcreek.com/2013/01/when-and-how-a
캡슐화.. getter setter 메서드 모두 익숙하고 무의식적으로 캡슐화를 자주 했었는데 사실 정의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캡슐화를 했을때의 장점을 모르고 있었다.Javatpoint의 글을 번역해보며 알아봤다.출처 : https://www.javatpoin
설명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전략패턴이란? 전략 패턴은 자바의 다형성을 이용해 클라이언트(클래스)가 컨텍스트(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략(구현체)를 바꿔가면서 쓰게 하는 개발 방식이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SomeClass 가 Strategy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빈을 싱글톤 오브젝트로 만든다.출처 : https://www.javatpoint.com/singleton-design-pattern-in-java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갖는 클래스를 정의하고전역적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다시 말하면 , 싱
스프링의 3대 기반 기술 중에 IoC/DI 라는 것이 있다.IoC가 뭔지 감이 안잡힌다면 한번 직접 IoC컨테이너를 만들어보자!이 글에서는 자바의 팩토리라는 디자인패턴으로 IoC 를 적용한 아주 간단한 예제를 만들어 볼 것이다.Inversion of Control, 해
Reflection API 를 이용해 아주아주 간단한 BeanFactory 를 만들어 보았다.설정용 자바 클래스를 reflection 을 이용해 읽어서 빈들을 로드한다음, 사용하는 쪽이 lookup 할때 제공할 수 있도록 해봤다.BeanFactory 인스턴스를 생성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