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Kotlin] 네트워크 결과값을 Flow변환 및 Sealed 클래스로 관리하기

Falco·2022년 11월 11일
0

Android

목록 보기
34/55

Retrofit2에서 Call과 Response의 차이점

call or response in Retrofit?

네트워크 연결을 도와주는 retrofit라이브러리에서는 결과값을 감싸주는 Wrapper클래스로 Call클래스와 Response클래스를 지원해준다. 그렇다면 두 클래스의 차이는 무엇이고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 Call 클래스

Call클래스를 사용하면 enqueue callback함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비동기작업이 아닌 동기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용이하다.

@POST("custom_URL")
fun getMovies(
	@BODY("params") params: Params,
): Call<DataResponse>
service.networkRequest(params)
    .enqueue(object : Callback<DataResponse> {
        override fun onResponse(
            call: Call<DataResponse>,
            response: Response<DataResponse>
        ) {
            TODO("네트워크 요청이 성공했을 때")
        }

        override fun onFailure(call: Call<DataResponse>, t: Throwable) {
            TODO("네트워크 요청이 실패했을 때")
        }

    })
  • Response 클래스

그러나 코루틴이나 RxJava와 같은 비동기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enqueue callback(콜백함수)가 필요하지 않으며, 결과값만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Response클래스를 사용하자.

@POST("custom_URL")
fun getMovies(
	@BODY("params") params: Params,
): Response<DataResponse>
suspend fun getMovies(): List<Movie> {
        lateinit var movieList: DataResponse
        try {
            val response = service.getMovies()
            val body = response.body()
            if(body!=null){
                movieList = body.movies
            }
        } catch (exception: Exception) {
            Log.i("MyTag", exception.message.toString())
        }
        return movieList
    }  

Response를 사용하면 try - catch로 따로 에러를 핸들링 해주어야 한다.
또한 반환된 결과에 따라 .body(), .isSuccessful등과 같은 유틸리티 함수를 제공해주며 이를 사용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Reponse를 사용해 네트워크 요청을 비동기로 다루어 보자.

API에 대한 결과를 Sealed 클래스로 감싸기

sealed class ApiResult<out T> {
    data class Success<out T>(val value: T) : ApiResult<T>()
    object Empty : ApiResult<Nothing>()
    data class Error(
        val exception: Throwable? = null,
        var message: String? = ""
    ) : ApiResult<Nothing>() // data class를 사용하지 않으면 따로 equals 및 hascode 함수를 구현해야 한다.
    
    fun handleResponse(
        emptyMsg: String = "결과 값이 없어요.",
        errorMsg: String = "인터넷 상태를 확인해주세요.",
        onError: (String) -> Unit,
        onSuccess: (T) -> Unit,
    ) {
        when (this@ApiResult) {
            is Success -> onSuccess(this@ApiResult.value)
            is Empty -> handleException {
                onError(emptyMsg)
            }
            is Error -> handleException(exception) {
                onError(errorMsg)
            }
        }
    }

    private fun handleException(
        exception: Throwable? = null,
        onError: () -> Unit,
    ) {
        exception?.printStackTrace()
        onError()
    }
}

다음과 같은 ApiResult 클래스를 생성하여 API에서 반환되는 결과값을 Wrap하여 사용한다.
handleResponse는 결과 값을 처리하는 소스에서 다룬다. 아래에서 다시 언급.

(Domain Layer) flow로 반환해주는 함수로 네트워크 요청을 관리

fun <T> safeFlow(apiFunc: suspend () -> Response<T>): Flow<ApiResult<T>> = flow {
    try {
        val res = apiFunc.invoke()
        if (res.isSuccessful) {
            val body = res.body() ?: throw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emit(ApiResult.Success(body))
        }
    } catch (e: NullPointerException) {
        emit(ApiResult.Empty)
    } catch (e: HttpException) {
        emit(ApiResult.Error(exception = e))
    } catch (e: Exception) {
        emit(ApiResult.Error(exception = e))
    }
}

retrofit의 네트워크 요청 <-> flow로 반환하여 주는 함수를 작성한다.
해당 함수에선 Response<T>로 결과값이 반환되기 때문에 .isSuccessful를 사용하여 성공했는지, .body()가 null이 아닌지 체크 후 리턴되는 반환 값을 emit한다.

Repository (Data Layer)단에서 API를 요청

fun getMovies(
	params: Params,
): Flow<ApiResult<DataResponse>> = safeFlow {
	service.getMovies(params = Params)
}

ViewModel (UI Layer)단에서 결과 값 처리

suspend fun getMovies(
	params: Params,
    onError: (String) -> Unit
) = viewModelScope.launch {
    repository.getMovies(
		params: Params,
    ).collectLatest { result ->
        result.handleResponse(onError = onError) { res ->
        	// onSuccess일 때
            when (res.response_code) {
                200 -> {
                    _moviesList.value = res.moviesList
                }
                else -> {
                    onError("요청 값이 잘못됬습니다.")
                }
            }
        }
    }
}

Sealed클래스에서 정의된 handleResponse를 사용하여 해당 다시 한번 더 분기 처리를 해주었다. 이렇게 정의한 이유는

{
	response_code : 200,
    bodyResponse : { // Body... }
}

현재 결과 값으로 오는 네트워크 요청 반환 값이 위와 같은 형식으로 오기 때문에 http code가 아닌 자체적인 내부 response_code로 한번 더 분기를 나누어 주었다.
+) 함수의 마지막 인자로 오는 익명함수(람다)는 바깥으로 빼서 사용할 수 있다.

fun handleResponse(
    emptyMsg: String = "결과 값이 없어요.",
    errorMsg: String = "인터넷 상태를 확인해주세요.",
    onError: (String) -> Unit,
    onSuccess: (T) -> Unit,
) {
    when (this@ApiResult) {
        is Success -> onSuccess(this@ApiResult.value)
        is Empty -> handleException {
            onError(emptyMsg)
        }
        is Error -> handleException(exception) {
            onError(errorMsg)
        }
    }
}

로딩 처리

해당 API를 실행하며 로딩처리를 수행하려면 flow의 onStartonComplete를 사용한다.

 flowOf("a", "b", "c")
    .onStart { emit("Begin") }
    .collect { println(it) } // prints Begin, a, b, c
    
 flowOf("a", "b", "c")
     .onCompletion { emit("Done") }
     .collect { println(it) } // prints a, b, c, Done

flow를 Collect하기 전, collect가 끝난 후에 실행되는 함수로써 이것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로딩을 구현할 수 있다.


  • (Ul Layer)로딩중임을 나타내는 상태를 선언한다.
private val _isLoading: MutableLiveData<Boolean> = MutableLiveData(false)
val isLoading: LiveData<Boolean> get() = _isLoading

// 로딩상태를 바꾸어주는 함수
private fun isLoading(): Unit = run { _isLoading.value = true }
private fun onComplete(): Unit = run { _isLoading.value = false }
  • (View) View에서 해당 상태를 옵저빙하며 뷰 관리
viewModel.isLoading.observe(this) {
    it?.let {
        if (it) {
            // TODO : Loading 중일 때의 Viwe 설정
            return@let
        }
        // TODO : Loading 중이 아닐 때의 Viwe 설정
    }
}
  • (UI Layer) API를 요청하는 함수단에 콜백함수로 같이 제공하기
suspend fun getMovies(
    params: Params,
    onError: (String) -> Unit
) = viewModelScope.launch {
    repository.getMovies(
	    params: Params,
        onLoading = ::isLoading,
        onComplete = ::onComplete
    ).collectLatest { result ->
    	// ...
    }
  • (Data Layer) Repository에서 flow를 수집할 때, 끝났을 때 해당 콜백함수 실행
fun getMovies(
    params: Params,
    onLoading: () -> Unit = {},
    onComplete: () -> Unit = {},
): Flow<ApiResult<DataResponse>> = safeFlow {
    service.getMovies(params = Params)
}.onStart { onLoading() }.onCompletion { onComplete() }

이러한 방식의 로딩처리는 콜백함수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아규먼트가 많아져 가독성이 떨어지고 복잡하다. 또한 Single Activity Architecture같이 단순한 구조가 아니라면 뷰마다 로딩에 관련된 로직을 처리하여야 한다.

더 좋은 로딩처리가 있다면 다시 포스팅하기

참고 자료 :

https://heeeju4lov.tistory.com/34

https://heeeju4lov.tistory.com/11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4124670/call-or-response-in-retrofit

profile
강단있는 개발자가 되기위하여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