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범위지정함수(Scope Function) let, apply, with, run, also에 대하여

Falco·2022년 9월 12일
0

EffectiveKotlin

목록 보기
6/34

여러 잘 정리된 소스를 보면 다음과 같이 with, apply와 같은 함수를 활용하여 소스를 간결화 한것을 볼 수 있다.

with(UserApiClient.instance) {
	// ...
}
binding.apply{
	// ...
}
with(viewModel) {
	// ...
}

얘네들은 뭐하는 놈들이고 어떻게 사용해야 잘 사용하는 것일까?

Scope Function(범위 지정 함수)

범위지정함수란 무엇일까?
특정 객체에 대한 작업을 하나의 코드 블록내에서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함수이다.

특정 객체에 대한 작업을 블록안에 넣으면 가독성 증가 및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Kotlin에서는 다음과 같은 범위 지정함수를 지원한다.

  • run
  • apply
  • let
  • with
  • also

수신객체 지정 람다(함수)

범위 지정함수는 기본적으로 매우 비슷한 기능을 하며 2가지 구성요소를 가진다.

  1. 수신 객체
  2. 수신 객체 지정 람다 (lambda with receiver)

수신객체

확장 함수가 호출되는 대상이 되는 값(객체)를 의미한다.

무엇을 수신 받는다 -> 확장함수의 코드를 실행할 대상이 된다.

binding.apply에서는 this가 수신객체로 활용되었고, 수신객체의 타입은 FragmentLoginBinding이다.

클릭리스너에서는 it이 수신객체로 활용되고 있으며, View!가 수신객체의 타입이다.

수신객체 지정 람다(함수)

범위 지정함수는 수신 객체 지정 람다(함수)라고 불리기도 한다.

블록 람다식에서 수신객체를 람다의 입력 파라미터 또는 수신객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수신객체를 명시하지 않거나, it을 호출하는 것만으로 람다 안에서 수신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게 해준다.

inline fun <T, R> with(receiver: T, block: T.() -> R): R {
    return receiver.block()
}

with에서는 수신객체로 receiver: T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객체 지정 람다로 block을 사용하고 있다.

수신객체지정 람다는 말그대로 수신객체를 지정하는 람다식을 의미한다.


inline fun <T> T.apply(block: T.() -> Unit): T {
    block()
    return this
}

inline fun <T, R> T.run(block: T.() -> R): R {
    return block()
}

inline fun <T, R> with(receiver: T, block: T.() -> R): R {
    return receiver.block()
}

inline fun <T> T.also(block: (T) -> Unit): T {
    block(this)
    return this
}

inline fun <T, R> T.let(block: (T) -> R): R {
    return block(this)
}

왜 이런 범위지정함수를 5개씩이나 만들어 놨을까?

inline fun <T, R> with(receiver: T, block: T.() -> R): R {
    return receiver.block()
}
inline fun <T> T.also(block: (T) -> Unit): T {
    block(this)
    return this
}

withalso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1. 범위 지정함수를 호출할 때 수신객체의 전달방식이 다르다.
    with는 수신객체를 람다의 매개 변수T로 제공한다. -> 이를 명시적으로 제공되는 수신객체라고 한다.
    also는 수신객체를 함수의 파라미터로 제공한다.

  2. 범위 지정 함수에 전달된 수신객체가 다시 수신 객체 람다에 어떠한 형식으로 전달될 것인가?
    with는 수신객체지정 함수가 T의 확장함수형태로 코드블럭 내에 수신 객체가 암시적으로 전달된다.
    also는 수신객체지정 함수에 매개변수 T가 코드블록내에 파라미터로 명시적으로 전달된다.

  3. 범위지정 함수의 최종적인 반환 값은 무엇인가?
    with는 람다를 실행한 결과를 반환한다.
    also는 코드 블록 내에 전달된 수신객체를 그대로 다시 반환합니다.


kotlin에서 람다(함수)파라미터를 넘겨주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기본형
view.onClick({ toast(it.toString())} ) // 1
view.onClick() { toast(it.toString()) } // 2
view.onClick { toast(it.toString()) } // 3

3번은 함수가 명시적으로 하나의 파라미터만 가질 경우


각각의 범위 지정 함수 사용규칙

Apply

public inline fun <T> T.apply(block: T.() -> Unit): T {
    block()
    return this
}

수신객체의 내부 프로퍼티를 수정하고 수신객체 자체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
객체 생성 시에 다양한 프로퍼티를 설정해야 하는 경우 사용된다.

val pizza = Food().apply {
    name = "domino"
    kcal = 450
}
binding.apply{
	view1.visiblility = //...
    view2.setOnClickListener{ //... }
    view3...
}

run

public inline fun <T, R> T.run(block: T.() -> R): R {
    return block()
}

apply와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수신 객체를 return하지 않고, run 블록의 마지막 라인을 return한다.
수신객체에 대한 특정한 동작을 수행 한후 리턴 값이 필요할 경우 사용한다.

data calss Person(
	var temperature: Float = 36.5f
) {
	fun isSick(): Boolean = temperature > 37.5f
}

fun main(){
	val person = Person().apply{
    	temperature = 37f
    }
    val isPersonSick = person.run{
    	temperature = 37.7f
        isSick()
    }
    println(isPersonSick) // true
}

with

public inline fun <T, R> with(receiver: T, block: T.() -> R): R {
    return receiver.block()
}

Non-nullable 수신 객체이고, 블럭의 반환값이 필요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val person: Person = getPerson()
with(person) {
    print(name)
    print(age)
}

let

public inline fun <T, R> T.let(block: (T) -> R): R {
    return block(this)
}

수신객체를 이용한 확장함수이며, 확장함수를 실행한 후 반환값을 리턴한다.

val name = person?.let {it.name} ?: "NoName"
  1. 지정된 값이 null이 아닌 경우 코드를 실행해야 하는경우
  2. Nullable 객체를 다른 Nullable 객체로 변환하는 경우
  3. 단일 지역 변수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

?.let null safe(?)와 같이사용하여서 null체크를 할 수 있다. -> block은 수신객체가 null이 아닐때만 수행됨으로

also

public inline fun <T> T.also(block: (T) -> Unit): T {
    block(this)
    return this
}

also는 apply와 마찬가지로 수신객체 자신을 반환한다.

그러나 수신 객체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수신 객체의 속성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사용한다.

객체의 사이드이펙트를 확인하거나, 해당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할 때 사용한다.

범위 지정 함수의 중첩

범위 지정 함수가 중첩되면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수신 객체가 중첩되며 이를 혼동하기 쉽다.
apply,run,with는 수신객체가 암시적으로 전달되어 this 또는 생략하여 사용되고, 수신객체의 이름을 다르게 지정할 수 없기 때문에 중첩될 경우 혼동하기 쉽다.

alsolet을 중첩 해야만 할 때는 암시적 수신 객체를 가르키는 it을 사용하지 말아야한다. 명시적인 이름을 따로 만들어 코드에서 이름이 혼동되지 않게 한다.


참고 자료

https://medium.com/@limgyumin/%EC%BD%94%ED%8B%80%EB%A6%B0-%EC%9D%98-apply-with-let-also-run-%EC%9D%80-%EC%96%B8%EC%A0%9C-%EC%82%AC%EC%9A%A9%ED%95%98%EB%8A%94%EA%B0%80-4a517292df29

https://blog.yena.io/studynote/2020/04/15/Kotlin-Scope-Functions.html

https://kotlinworld.com/255

https://velog.io/@rhkswls98/Android-Kotlin-apply-with-let-also-run-%EC%A0%95%EB%A6%AC

https://medium.com/@limgyumin/%EC%BD%94%ED%8B%80%EB%A6%B0-%EC%9D%98-apply-with-let-also-run-%EC%9D%80-%EC%96%B8%EC%A0%9C-%EC%82%AC%EC%9A%A9%ED%95%98%EB%8A%94%EA%B0%80-4a517292df29

profile
강단있는 개발자가 되기위하여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