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P

ClassBinu·2024년 4월 9일
0

양자 컴퓨팅

목록 보기
7/17

OTP

One Time Password

seed와 moving factor가 있음.
seed는 변하지 않고, moving factor는 시간마다 바뀐다.
seed는 secret key의 역할을 함.

SHA-1, SHA-256 등이 쓰임.

사용자와 인증기관(은행 등) 시간 차이로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인증기관은 전후 값을 비교해서 시간 보정을 한다.

TOTP

Time-Based OTP (시간 기반)
일정 시간(예 30초)를 요소로 사용

장점

  • 자동 만료
  • 동기화 용이(서버와 클라이언트 시간 동기화됨. 클라이언트 값 서버가 예측 가능)

단점

  • 시간 동기화 필요, 오차 보정 필요
  • 입력 시간(암호 유효 시간) 짧음

HOTP

HMAC-Based OTP (이벤트 기반)
hash-based message authentication code

해시 기반 메시지 인증 코드

이벤트 발생(예 로그인 시도) 카운터 증가, 이 카운터가 moving factor

장점

  • 시간 독립적(시간 동기화 문제 자유로움)
  • 높은 호환성(시간 동기화 필요 없음)

단점

  • 동기화 필요
  • 재사용 가능성(미사용 OTP가 노출되면 최초 1회는 누구나 사용 가능)

시간이든, 이벤트든 서버는 주변의 값들과 체크해서 어느 정도 어긋남을 보정한다.

TOP와 HTOP의 차이는 moving factor가 시간인지, 이벤트(인증 요청 수)인지에 따라 다르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