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세팅
1-5) GitHub 시작하기
(1) GitHub 가입 및 repository 생성

※ repository = 저장소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장소.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등을 저장소의 관리하에 두는 것으로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등의 변경 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repository(저장소) 생성하기
- Repositories의 New 버튼을 누른다

- Repository name : 저장소 이름
- Description : 저장소 설명 (선택사항)
- Public :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는 저장소
- Private : 허용한 사람만이 접근할 수 있는 저장소
- Add a READEME file : README 파일의 생성여부를 선택
- Create repository : 저장소 생성하기


(2) GitHub 사용 전 알아둬야 할 것들
- 커밋(commit) :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된 내용을 저장소에 저장
- 푸시(Push) : 파일을 추가하고 변경된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 로컬저장소 :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저장소. 작업 수행하는 곳.
- 원격저장소 : 서버 등의 네트워크에 있는 저장소. 작업 수행 결과를 저장함.
- 브랜치(Branch) : 개발하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유지 및 보수하며 수행되는 여러 버전 관리를 위한 기능. 버전이 바뀌는 분기를 기록해 나가는 것.
(3) 파일 생성 및 Commit 해보기
간단한 파일을 만든다.
PC에 로컬 저장소를 만든다.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추가한다. 인덱스에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