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텍처 패턴은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식 또는 예제를 의미한다.
아키텍처 패턴의 장점
- 시행착오를 줄여 개발 시간을 단축시키고,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생산할 수 있다.
- 검증된 구조로 개발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개발이 가능하다.
- 이해관계자들이 공통된 아키텍처를 공유할 수 있어 의사소통이 간편해진다.
-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쉬워 개발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도 손쉽게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 시스템의 특성을 개발 전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이어 패턴을 시스템을 계층(Layer)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고전적인 방법 중의 하나다.
클라이언트-서버 패턴은 하나의 서버 컴포넌트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패턴이다.
Component
독립적인 업무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실행코드 기본으로 작성된 모듈
파이프-필터 패턴은 데이터 스트림 절차의 각 단계를 필터 컴포넌트로 캡슐화하여 파이프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턴이다.
overhead
어떤 처리를 하기 위해 들어가는 간접적인 처리 시간 · 메모리 등을 말한다.
Data Stream
데이터가 송 수신되거나 처리되는 일련의 연속적인 흐름
Pipeline
필터와 파이프를 통해 처리되는 일련의 처리 과정
모델-뷰-컨트롤러 패턴은 서브시스템을 3개의 부분으로 구조화하는 패턴이며, 각 부분의 역할을 다음과 같다.
마스터-슬레이브 패턴(Master-Slave Pattern)
- 마스터 컴포넌트는 동일한 구조의 슬레이브 컴포넌트로 작업을 분할한 후, 슬레이브 컴포넌트에서 처리된 결과물을 다시 돌려받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패턴이다.
- 마스터 컴포넌트는 모든 작업의 주체이고,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마스터 컴포넌트의 지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여 결과를 반환한다.
- 장애 허용 시스템과 병렬 컴퓨팅 시스템에 주로 활용된다.
브로커 패턴(Broker Pattern)
-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특성을 브로커 컴포넌트에 요청하면 브로커 컴포넌트가 요청에 맞는 컴포넌트와 사용자를 연결해준다.
- 원격 서비스 호출에 응답하는 컴포넌트들이 여러 개 있을 때 적합한 패턴이다.
- 분산 환경 시스템에서 주로 활용된다.
피어-투-피어 패턴(Peer-To-Peer Pattern)
- 피어를 하나의 컴포넌트로 간주하며, 각 피어는 서비스를 호출하는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는 패턴이다.
- 피어-투-피어 패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전형적인 멀티스레딩 방식을 사용한다.
Multi Threading
프로세스를 두 개 이상의 실행 단위로 구분하여 자원을 공유하며 병렬로 수행하는 기능
이벤트-버스 패턴(Event-Bus Pattern)
- 소스가 특정 채널에 이벤트 메시지를 방행하면, 해당 채널을 구독한 리스너들이 메시지를 받아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 4가지 주요 컴포넌트
이벤트를 생성하는 소스
이벤트를 수행하는 리스너
이벤트의 통로인 채널
채널을 관리하는 버스
블랙보드 패턴(Blackboard Pattern)
- 모든 컴포넌트들이 공유 데이터 저장소와 블랙보드 컴포넌트에 접근이 가능한 형태로, 컴포넌트들은 검색을 통해 블랙보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 해결책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를 처리하는데 유용한 패턴이다.
- 음성 인식, 차량 식별, 신호 해석 등에 주로 활용된다.
인터프리터 패턴(Interpreter Pattern)
- 프로그램 코드의 각 라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지정하고, 기호마다 클래스를 갖도록 구성된다.
- 특정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코드를 해석하는 컴포넌트를 설계할 때 사용 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