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는 복잡한 무언가(주기적으로 내용이 갱신되는 기능이나 능동적인 지도, 변화하는 2D/3D 그래픽, 동영상 등)를 웹페이지(HTML&CSS)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다. <출처>
JavaScript의 데이터 타입에는 총 7가지가 존재한다.
6가지의 기본 자료형(Primitive) + 객체(object)로 구성되어있다.
- 기본 자료형
- Null - 비어있는 값. 존재하지 않거나 유효하지 않은 object의 참조 값.
- Undifined - 선언한 후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 or 인수에 자동으로 할당.
- Boolean - 논리적인 요소로
true
와false
의 값을 가짐.- Number - 숫자의 자료형.
- String - 텍스트 데이터의 문자열.
- Symbol - 유일하고 변경 불가능한 (immutable) 기본값.
- 객체(object)
객체(object)는 관련된 데이터와 함수의 집합이다.
예를들어 JavaScript console창을 이용하여
person
이라는 객체(object)에 이러한 데이터들을 입력하면,
var person = { name: ['Min', 'Choi'], age: 27, job: ['programmer'], greeting: function() { alert('Hi! I\'m ' + this.age + ' years old ' + this.name[0] + ' ' + this.name[1] + '.' + ' My Job is a ' + this.job + '.') ; } }
person.name person.job person.greeting()
결과값으로
▶ (2) ["Min", "Choi"]
▶ ["programmer"]
<Hi! I'm 27 years old Min Choi. My Job is a programmer.> 경고창 생성
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객체 중에
'name', 'age', 'job'은 데이터 아이템으로 객체에 저장하는 속성(Property)이라고 하고,
'greeting()'은 저장된 데이터들을 이용하는 함수로 메소드(Method)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