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ole.log(20 + 10) //30
cosole.log(20 - 10) //10
cosole.log(20 * 10) //200
cosole.log(20 / 10) //2
cosole.log(20 % 10) //0 << 나누고 남은 나머지 값이 출력됨.
문자열도 산술 연산자 사용 가능하다.
cosole.log(20 + 10) //2010
cosole.log(20 - 10) //10
cosole.log(20 * 10) //200
cosole.log(20 / 10) //2
cosole.log(20 % 10) //0 << 나누고 남은 나머지 값이 출력됨.
+
는 숫자처럼 계산하는 것이 아닌 두개의 문자열을 연결해준다.
++
는 1씩 증가
--
는 1씩 감소
var num = 10;
cosole.log(++num)
: num+1후 num 출력 => 11
cosole.log(--num)
: num-1후 num 출력 => num이 11로 바뀌었으므로 -1 된 10이 출력됨
cosole.log(num++)
: num출력 후 num+1 => 10이 출력 후 +1 해서 11로 바뀜.
cosole.log(num--)
: num출력 후 num-1 => num이 11로 바뀌었으므로 -1 된 10이 됨
최종적으로 num은 10이 됨.
값은 Boolean 데이터 타입인 true 와 false 로 반환한다.
console.log(10 == 20)
: 값이 같다. => 10과 20은 같지 않으므로 false 출력
console.log(10 === 20)
: 데이터 타입과 값이 같다. => 10과 20은 같은 number 타입이지만 값이 달라 false 출력
console.log(10 !== 20)
: 10과 20의 값이 같지 않다. => 10 과 20의 값이 같지 않으므로 true 출력
console.log(10 > 20)
: 10 이 20보다 크다. => 10은 20보다 작으므로 false 출력
console.log(10 >= 20)
: 10은 20보다 크거나 같다. => 아니므로 false 출력
console.log(10 < 20)
: 10이 20보다 작다. => 10은 20보다 작으므로 true 출력
console.log(10 <=20)
: 10은 20보다 크거나 같다. => 맞으므로 true 출력
==
와 ===
의 차이
console.log(10 == "10")
: ==
는 값만 비교하기 때문에 왼쪽은 숫자 오른쪽은 문자여도 값이 같아 true
console.log(10 === "10" )
: ===
는 값과 자료형까지 비교를 하기 때문에 false
1) And 연산자 : 앞 뒤 조건 모두 참인 경우에만 true를 반환한다.
console.log(10 === 10 && 20 === 30);
: &&
를 기준으로 왼쪽은 10과 10 데이터 타입과 값 모두 같으므로 true 이고, 오른쪽은 20과 30 데이터 타입은 같지만 값이 다르므로 false. 앞 뒤 조건 모두 true가 아니므로 false를 반환한다.
2) or 연산자 : 앞 뒤 조건 중 하나만 참이어도 true를 반환한다.
console.log(10 === 10 || 20 === 30);
: ||
를 기준으로 왼쪽은 데이터 타입과 값이 같으므로 true, 오른쪽은 데이터 타입은 같지만 값이 다르므로 flase. 앞 조건이 true 이므로 true
를 반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