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coc·2024년 3월 20일
0

Persistence = 영속성

데이터를 생성한 프로그램이 실행이 종료되더라도 사라지지 않는 데이터의 특성을 의미한다
=> 어떤하나의 데이터가 영구히 기록될수 있게 해주는거다

jpa

jpa란 하드디스크 공간의 있는 dbms 공간의 자바에 있는 데이터를 영구히 기록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api이다

  • Java
  • persistence
  •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자바 프로그램을 할때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인터페이스이다 =jpa

API

  • 애플리케이션 (A) -> 프로그램
  • 프로그래밍 (P) -> 프로그래밍
  • 인터페이스 (I) ->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A - B - C
이제 부터 나에게(B) 연락을 할 때는 전화하지 말고 직접 찾아와!
인터페이스 :상하 관계가 존재하는 약속

프로토콜

A - B -C
프로토콜은 동등한 관계이다
Ex) A가 싫어 C가 실어 라고 하면 B는 다른 대안책을 제시를 하고 서로에게 가장 잘맞는 걸 찾느걸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ORM

Object Relationlal Mapping
object를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방법론이다
ORM : 나의 하인!
밑 방식을 orm이라고 한다


Team 테이블 //2.자동생성
id int
name varchar
year varchar

Class Team { // 1.만들고 
	int id;
    String name;
    String year;
}

db세상에 있는 데이터를 
자바 세상에 모델링한다

CRUD

영속성 컨텍스트

영속성: 데이터 -> 영구적으로 저장
컨텍스트: context : 대상의 모든 정보
영속성 컨텍스트는: 자바가 db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select하고 이런 일련의 모든정보를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바는 항상 영속성컨텍스트를 통해서 db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db에 있는 데이터도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서 데이터가 자바쪽으로 전달된다
영속성컨텍스트에서 일어나는 모든일들은 자동으로 처리된다.

JPA는 DB와 OOP의 불일치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DB는 객체저장 불가능)

profile
시작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