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nistrator의 패스워드를 암호화해서 USB 등 다른 저장소에 저장해두고, 로그인할 떄 이 키로 로그인 해본다. 관리자 패스워드를 기억하고 입력하는 대신 USB 등 별도의 저장소에 넣어두고 그때그때 변경해서 로그인하는 방식이다. 패스워드가 OTP(One Time Password)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1~4G USB로 실습해 주세요. Solaris를 웹을 올리고 나서 실습!
a. Windows는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기 위해 두 가지 권한인 'NTFS 권한'과 '공유 권한'을 제공하는데 두 권한은 모두 파일 또는 폴더의 속성 창에서 할당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권한은 부모 폴더에서 자식 파일/폴더로 상속(inherit)되는데 이 상속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따.
2) 사용자의 개별 권한과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권한을 조합해서 액세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여러 권한을 누적(accumulated) 해서 가지기 때문에 더 높은 권한이 있으면 해당 권한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파일에 대해 읽기 권한을 가지고 있고 해당 사용자가 속한 그룹이 동일한 파일에 대해서 수정 권한이 있다면, 이 사용자의 유효 권한은 수정이 된다.
3) 특정 파일/폴더에 직접 할당된 명시적 권한이 상위 폴더에서 암묵적으로 상속된 권한 보다 우선한다.
예를 들어서 부모 폴더에 쓰기 권한이 있으면 자식 폴더/파일은 자동으로 부모의 권한을 상속받아서 쓰기 권한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자식 파일이 읽기 권한만 가지게 한다면 부모로부터의 상속(쓰기)을 끊고 자식에게 읽기 권한으로 설정하면 이 명시적 읽기 권한이 상속으로 인한 암묵적 쓰기 권한보다 우선한다는 의미이다.
=> 파일/폴더의 이동과 복사 시에도 권한 변경될 수 있다!!!
동일한 매체(media: HDD->HDD)로 복사/이동하면 권한 속성이 안 변한다.
다른 매체(HDD->USB)로 복사/이동하면 타겟의 권한 속성으로 변경된다!!!
=> 변조를 막기 위해서 부인방지, water mark 등이 표시되게 한다.
파일을 생성해서 일일히 권한을 지정하는 것은 수고스러우므로 폴더를 생성한 뒤 권한을 주고, 해당 폴더 안에 파일을 넣어서 권한을 상속시키는 기법을 사용한다.
<- 사용자 하나하나에 권한을 주는 것보고 그룹을 만들고 그룹에 사용자들을 넣고 그룹에 권한을 주면 해당 사용자들이 모두 같은 권한을 가지게 된다.
=> 먼저 폴더를 만들고 > 그 안에 파일들을 넣고 > 공유에서 폴더에 권한을 부여(접속 가능한 사용자 & 할 수 있는 작업 권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