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출력에 대한 기본적인 것만 알아도 풀 수 있는 문제다.input은 정수형으로 입력받은게 아니므로 정수형으로 치환해줘야만한다.아예 새로운 변수를 생성해 A와 B를 각각 int형으로 넣어줘도 된다.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함수는 왜 안될까?그 이유는 int함수로 리스트를 정
입출력에 여러가지 방법을 적용해 풀어보겠다.짧은 문에서는 print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기왕이면 함수를 이용하는 것이 객체지향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좋은 연습이 될 것이다.
입출력은 난이도가 매우 낮아서 작성할 문제들이 얼마 없어서 빠르게 풀고 넘어갔다. if문에서는 함수를 생성하는 형태로 문제를 풀어나가보겠다.이 문제는 아주 간단하게 두 수를 입력받아 '>' '=' '<'를 통해 대소를 비교하는 문제다. 아래와 같이 표현하면 가독성
이전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은 문제다. 다만 범위를 표시해주는 range()함수를 사용해주도록 한다.위처럼 range(A, B)는 A이상 B미만의 범위를 의미한다.
윤년을 구하는 문제다. 윤년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니거나 400의 배수여야만하는 해를 뜻한다.이것을 코드로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기본 문법에서 배웠듯이 'and' 'or' 'not'을 이용해 다중 if문을 간결하게 표현한 방법이다.말그대로 if
이번 문제는 간단한 삼항연산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다. elif가 들어가야하는 문제에서는 if문으로 표현해야한다.else에 return한 문자열은 문제에서 요구한 내용은 아니지만 예외의 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는 것이 좋은 코드다.
이 문제는 조금 더 까다로운 문제다. 24시간에서 입력받은 시간에서 45분 전을 출력해야한다.여기서, 참고해야할 사항은입력받은 분이 45분 미만이면, 시간을 -1 한다.입력받은 시간이 0 45 미만이면, 23시로 바꿔준다.
일반적인 A+B는 입력을 input()으로 받는다.여기서 관건은 sys.stdin.readline()을 사용할 수 있게 sys를 import해줘야한다.
이번 문제는 A+B-5와는 다르게 무한하게 반복되어 에러가 발생하면 멈추도록 try except를 사용해줘야한다. 에러가 발생하면 try except문을 먼저 적용해보는 것을 기억하기위해 작성한다.
생각보다 쉬운 문제였는데 생각보다 코드를 먼저 작성하기 시작해서 꼬여버렸다.a는 10의 자릿수, b는 1의 자릿수, c는 각 자릿수 합의 1의 자릿수이다. 그리고 새로 만들어지는 숫자는 x이다.
이번 문제는 중복을 허용하지않는 set을 사용해봐서 기록한다. 서로 다른 나머지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O가 나오면 1씩 증가하고, X가 나오면 0으로 초기화되어 그 수들의 합을 구하는 문제다. 나는 초기화가 가능한 count와 총합을 구하는 result_count를 선언해줬다.
파이썬으로 split을 통해 어떻게 원하는 만큼만 공백 단위로 입력을 받는지 몰랐다. 그런데 그냥 입력을 받고, list1:식으로 0번째 입력을 제거해야했다.
자기 자신과 각 자릿수를 더하는 함수를 구현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생성자가 없는 넘버를 셀프 넘버라고 한다.여기서 생각해볼 점은 오류를 방지하려면 리스트 공간을 10000개가 아니라 더 크게 만들고 코드를 안전하게 짜도 무방해보인다.
한수 > - 한수란 각 자리의 수들이 등차수열을 이루는 수를 칭한다. 이전 문제에서 영감을 얻어 문자 단위로 수를 나눠서 푸는게 효율적일 것 같다. 1.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수 N을 입력받는다. 2. 1<=x<=N을 만족하는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3.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