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읽기전에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를 먼저 하자.
부수 효과를 없애고 순수 함수를 만들어 모듈화 수준을 높이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function func(a, b) {
return a + b;
}
console.log(func(2, 2)); // 4
위 func 함수는 순수하다.
언제나 이 함수를 수백번 실행시켜도 입력값이 2, 2면 출력값이 4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함수는 외부의 값에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는다.
let c = 1;
function func(a, b) {
return a + b + c;
}
console.log(func(2, 2)); // 5
c = 2; // c 값이 변경됨
console.log(func(2, 2)); // 6
위 함수는 외부 값인인 c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순수함수가 아니다. c가 변하면 동일한 입력에 대해 출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코드가 계산되어 값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1,2+3]
=== [1,5]
[1,2,[3,4]]
=== (3) [1, 2, Array(2)]
값으로 다룰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함수를 값으로 다룬다면 아래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변수에 담을 수 있다.
함수의 인자로 사용될 수 있다.
함수의 결과로 사용될 수 있다.
const a = 10;
const add10 = a => a + 10;
add10(a);
const r = add10(a);
함수를 값으로 다룰 수 있다.
함수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함수의 인자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함수의 결과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함수가 일급이라는 성질을 이용하여 많은 조합성과 추상화의 도구로 사용되어진다.
const add5 = a => a + 5;
console.log(add5);
console.log(add5(5));
const f1 = () => () => 1;
console.log(f1());
const f2 = f1();
console.log(f2);
console.log(f2());
함수를 값으로서 다루는 함수.
함수를 인자로 받아서 사용하는 함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 ex) 클로저를 반환하는 함수.
const apply1 = f => f(1);
const add2 = a => a + 2;
console.log(apply1(add2));
console.log(apply1(a => a - 1));
const addMaker = a => b => a + b;
const add10 = addMaker(10);
console.log(add10(5));
console.log(add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