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표준의 이해

MyeonghoonNam·2021년 7월 13일
1


웹 표준(Web Standard)

  • 에서 사용되는 표준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한다.
  •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이다.
  •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동일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치치 않도록 공통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 W3C의 권고안에 따라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웹 표준 관련 기구

  • W3C(World Wide Web Consortium)국제적인 웹 기술 표준기구를 말한다.
  • 정보, 의견 교환, 아이디어 창출, 독립적 사고, 가이드 라인, 소프트웨어, 그리고 도구 및 규칙등의 표준안을 제정함으로써 웹의 잠재력을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웹 표준의 장점

  • 손쉬운 유지 보수 및 비용 절감 효과

    • 콘텐츠의 올바른 구조화와 CSS로 시각표현을 통일하여 페이지의 관리가 용이하다.
    • 소스의 경량화로 인해 서버의 트래픽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 웹 접근성 향상

    웹 접근성 ?

    신체적 차이, 장애 여부, 지식의 정도, 기술 등과 같은 사항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웹 페이지에 접근 가능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웹 표준을 이용해 작성한 문서는 다양한 브라우저 환경에 대응이 가능하며 휴대폰에서의 정상적인 작동 및 장애인 지원용 프로그램에도 도움이 되므로 사용자나 접속 장치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 검색엔진의 최적화(SEO)

    • 구조화된 웹페이지는 검색 로봇 수집을 통해 검색엔진에 효율적으로 노출 될 수 있도록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를 최적화 한다.
  • 파일 크기 축소 및 서버의 저장공간 절약

    • 효율적인 소스 작성은 파일 크기와 서버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동신에 화면표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 효율적인 마크업

    • CSS와 Html문서를 분리하여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마크업이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 속도 향상된다.
  • 웹 호환성 확보

    웹 호환성 ?

    웹 호환성 역시 웹 표준과 큰 의미에서는 차이가 없다.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이다.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 기존 IE 브라우저에서만 작동이 가능했던 요소들이 웹 표준을 준수함으로써 다양한 브라우저(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등)에서도 작동가능하다.


참고자료

profile
꾸준히 성장하는 개발자를 목표로 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