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기업 또는 개인이 직접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물리적인 서버를 소유하여 관리하는 방식.
특징
완전한 통제권 보유: 하드웨어, 네트워크, 데이터 전부 직접 관리.
초기 투자 비용(고정비용)이 크며, 유지보수 비용도 지속적으로 발생.
서버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계속 전기와 냉각 비용이 발생.
정의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AWS, Azure 등)가 운영하는 데이터센터의 일부 리소스를 필요한 만큼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
특징
초기 투자 비용이 없으며, 필요할 때만 리소스를 임대하므로 유동적인 비용 구조.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나, 트래픽 증가 시 손쉽게 리소스를 확장 가능(스케일링).
물리적인 유지보수나 운영에 대한 부담이 적음.
정의 : 서버를 임대하지 않고, 특정 작업(함수)을 수행할 때마다 필요한 리소스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작업 후 소멸되는 방식.
특징
서버가 항상 구동되지 않음. 작업 요청이 들어올 때만 서버가 생성되어 작업을 수행.
시간에 따른 과금이 아닌 요청 횟수에 따라 과금되므로 자원 낭비가 적음.
사용량이 많아지면 비용이 급증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분석이 필요.
항목 | 물리 서버 (On-Premises) | 클라우드 서버 (Cloud Server) | 서버리스 (Serverless) |
---|---|---|---|
운영 방식 | 직접 구축 및 관리 |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리소스 임대 | 작업 요청 시 서버 생성 및 소멸 |
초기 비용 | 매우 높음 (서버 구매, 구축비용) | 거의 없음 | 없음 |
유지보수 | 직접 관리 |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관리 | 관리 불필요 |
과금 기준 | 고정 비용 | 사용량 기반 | 요청 횟수 기반 |
확장성 | 제한적 | 매우 뛰어남 | 요청에 따라 자동 확장 |
비유 | 단독주택 | 오피스텔 | 숙박 공유 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