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을 통해 설치한 리눅스는 물론 가상이고, 네 컴퓨터에 가지고 있는 지문인식이나 안면인식 모듈은 윈도우에 이미 통합한 상태이다. 따라서 피곤하게 굳이 기존 인증장치를 붙이거나, 별도의 인증장치를 구매해 생체인식할 생각 말고, Github 에서 오픈소스로 제공한 아주 고마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해결하도록 하자. 솔직히 벨로그 말고 dev.to 쓰고 싶은데 그러면 너네들 외국물 짜다고 싫어하니까 말이지. dev.to 가 더 풍부한 글쓰기 기능이 있고 벨로그는 어째 있던 기능이 사라지는 것 같은 느낌이지... 어쨌든, 오늘 사용할 프로그램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맨 위에 있는 머릿글 움짤로 한방에 이해하도록 하자. 설치 설치는 윈도우가 아닌, WSL 상에 탑재된 리눅스 안에서 진행한다. 4줄로 설치하면 된다. wget 없거나 싫으면 curl -O [주소] 써도 된다.
한국 시각으로 5월 27일부터 드디어 윈도우 2022에 WSL2 가 공식 출시했다. 전에는 20H2 인사이더에서 잠깐 제공하고 없애버렸지만, 서버 제품군 고객들의 끊임없는 요구를 3월에 마소가 드디어 받아주고 거의 3개월만에 WSL 2를 탑재했다. 이는 이미 윈도우 서버에 WSL 탑재가 큰데, 만약 아예 WSL 자체를 탑재하지 않았다면 WSL2 요구는 묻어도 됐을 것이다. 그러나 이미 WSL이 탑재된 이상, 윈도우 서버가 그저 서버만의 역할이 아닌, 워크스테이션 및 개발 서버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하는 이상, 기성 윈도우 서버 제품군 고객이 과연 가만히 있었을까? 아마 한국 한정이라면 안했을 것이다. (아, 참고로 이슈에 해외거주 한국인이 해달라고 이슈에 도배해서 OffTopic 취급된 건 덤) 어쨌든, [WSL2 now available on Windows Server 2022](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t5/itops-talk-blog/ws
업체명 아니다. 아니 싯팔 조선부터 키워온 클라이언트에서 최신 SSH 접속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 Github 의 경우 CentOS 6 같은 구닥다리 클라이언트에 접속하려 하면 안 될 것이다. Gitlab 도 얄짤없다. 만약 조선 서버에서 요즘 서버로 ssh 접속하려 하면 딸랑 이 메시지만 뜰 것이다. 그리고 너의 얼굴은 이렇게 되겠지. 아이 싯팔 심지어 인터넷 차단된 업무 서버인 케이스가 대부분일테니 SSH 업데이트는 물건너갔다. 자, 얼마나 구닥다리인지 체크해보자. 조선 서버라면 안먹힐 것이다. CentOS 기준으로 7 나온 시점부터 생긴 옵션이거든. 그렇다면, 다음으로는 아래 명령어로 지원 알고리즘을 확인한다. 어자피 로컬로 로컬 접속하면 실패 뜬다. 걱정 말고 실행해 보자. 만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