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변수에 직접 저장
정수형
문자라도 아스키코드로 변환하기에 정수형에 포함
실수형
논리형
package basicGrammar;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c = 'x'; // 문자
System.out.println("c = " + c);
int i = 20; // 정수
System.out.println("i = " + i);
double d = 3.14; // 실수
System.out.println("d = " + d);
boolean b = false; // 블리언
System.out.println("b = " + b);
}
}
출력
c = x
i = 20
d = 3.14
b = false
갹체 메모리 주소가 변수에 저장
C계열에서는 포인터, java에서는 래퍼런스라고 한다
package basicGrammar;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xt = "Hello java world";
System.out.println("txt = " + txt);
}
}
출력
txt = Hello java world
작은 공간의 메모리에서 큰 공간의 메모리로 이동
package basicGrammar;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yte a = 10;
int b = a;
System.out.println("b = "+ b);
}
}
출력
b = 10
큰 공간의 메모리에서 작은 공간의 메모리로 이동
package basicGrammar;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ntVar = 100;
byte byteVar = (byte)intVar;
System.out.println("byteVar = " + byteVar);
intVar = 12345;
byteVar = (byte)intVar;
System.out.println("byteVar = " + byteVar );
}
}
출력
byteVar = 100
byteVar = 57 //데이터 손실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