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ML 기반 웹 서비스 통신 프로토콜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을 사용하여 서비스 설명
HTTP, SMTP, TCP/IP 등 다양한 프로토콜로 통신 가능
보안 및 트랜잭션 관리가 뛰어나지만 무거운 XML을 사용하면서 속도는 느림
클라이언트가 SOAP 요청 생성(XML 형식) 후 서버에 전송
서버가 SOAP 요청 분석 후 내부 비즈니스 로직 처리
서버가 SOAP 응답 생성(XML) 후 클라이언트에 전송
클라이언트에선 SOAP 응답을 분석 후 데이터 사용해서 최종 HTML 랜더링
if(isPostBack)을 통해 첫 요청인지 확인할 수 있음<asp:Button> 혹은 <button>으로 폼 POST 요청이 발생, 그냥 내가 아는 것HTTP 요청(https://www.koreabaseball.com/)
ASP.NET의 Web Form(.aspx)이 요청 받음(aspx 파일 자체가 어떻게 보면 순수 HTML이 아니라 확장자가 .aspx이므로 서버 역할을 하니 MVC에서 컨트롤러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거네)
ASP.NET 서버 컨트롤 태그가 코드 비하인드(.aspx.cs)의 데이터 및 비즈니스 로직 처리
=> 이때 만약 form에 대한 asp:TextBox 태그가 존재하면 폼 POST처리를 위해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요청
Web Form에선 서버 컨트롤 태그 및 기본 HTML 태그들에 대한 랜더링 후 최종 HTTP 응답
서버 내부에선 그냥 내부 호출이고 JS를 써야 해당 부분을 CSR로 랜더링하기 위해 서버에 원하는 데이터를 요청 보내는 것, 나머지 SSR 부분은 전부 랜더링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