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N] - Ⅲ 실무와 현실 속 VPN: 클라우드, 기업, 그리고 프록시·Tor와의 차이

Cookie·2025년 8월 8일
0

Virtualization Technology

목록 보기
3/14
post-thumbnail

이번 3편에서는 실무 환경과 현실적 제약 속에서 VPN과 클라우드, 프록시, Tor의 기능과 한계를 비교 분석하고, 기술 선택의 오류를 줄이가 위해 보안, 비용, 운영 측면에서 최선의 결정을 내리기 위한 비교의 필요성에 대해 정리하고자 함




☁️클라우드 환경 VPN


ℹ️AWS/Azure VPN Gateway 개요

클라우드 환경에서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가상 네트워크(VPC/Azure VNet)를 연결할 때 VPN Gateway가 핵심 역할을 담당함

VPN Gateway는 인터넷을 통한 안전한 터널을 생성하여, 두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전송함


AWS VPN Gateway

Virtual Private Gateway는 AWS VPC와 온프레 간 Site-to-Site VPN 연결을 위한 가상 라우터 역할을 수행함

  • IPSec 기반 암호화로 기밀성과 무결성 보장
  • 동적 라우팅(BGP)을 지원해 네트워크 경로를 자동으로 관리
    → 수동 설정보다 운영 효율성 증대
  • AWS Transit Gateway와 결합 시 다수 VPC와 온프레 네트워크를 중앙 집중식으로 연결할 수있음

Azure VPN Gateway

Azure Virtual Network 내 VPN Gateway는 온프레 네트워크 또는 다른 Azure VNet과 IPSec/IKE 기반으로 터널을 생성함

Site-to-Site VPN과 함께, 사용자 단말용 Point-to-Point VPN도 지원하여 원격 접속 환경을 제공함

  • 고가용성(Active-Active) 구성과 자동 장애 조치로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 가능
  • Azure Monitor 등과 연결해 VPN 연결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Cloud VPN Gateway가 중요한 이유

클라우드와 온프레 네트워크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환경에서, VPN Gateway는 안전한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필수 인프라임

단순한 네트워크의 확장이 아닌 보안 정책 준수와 신뢰성 확보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VPN와 혼동하지 말아야함 VPC는 네트워크 공간 자체, VPN Gateway는 그 공간을 연결하는 다리역할



🚥VPC와 VPN의 혼동

VPC와 VPN은 유사한 단어, 역할과 기능의 차이점이 명확하지 않고 둘 다 네트워크와 관련되고 클라우드 네트워크 설계 시 자주 함께 언급되어 혼란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음

VPC란❓

VPC(Virtual Pricate Cloud)는 퍼블릭 클라우드 내에서 격리된 사용자 전용 가상 네트워크 공간

사용자는 VPC 내에서 서브넷, 라우팅, 보안 그룹 등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직접관리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내 내부 네트워크 역할을 수행함

VPC는 클라우드에서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논리적 공간 역할


VPC 와 VPN의 차이점❗

구 분VPCVPN
역 할클라우드 내 가상 네트워크 공간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암호화된 연결 수단
기 능서브넷, 라우팅, 방화벽 정책 등 네트워크 설계·관리데이터 암호화, 터널링, 네트워크 연결
대 상클라우드 내부 네트워크클라우드 ↔ 온프레 또는 외부 네트워크 연결
목 적리소스 간 내부 통신 환경 구축네트워크 경계 확장 및 보안 연결 제공

  • VPC 연결이라 표현하면서 VPN 터널링 기술을 혼용하여 설명하는 경우 VPC 자체는 네트워크 연결 수단으로 오해해, 보안 및 트래픽 설계에 오류가 발생함
  • 클라우드 네트워크 설계 시 VPC 내 보안 그룹과 VPN 터널 보안 정책을 분명이 구분해야함
    혼동 시 네트워크 격리, 접근 제어, 장애 대응에서 심각한 문제 초래 가능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는 On-premise 데이터 센터와 Public Cloud를 통합해서 사용하는 IT환경을 뜻함

각 환경의 장점을 살리면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됨

  • 온프레와 클라우드 리소스를 유기적으로 결합해 업무별 최적 환경 제공
  • 클라우드 확장성 및 비용 효율성과 온프레 보안·통제력 결합

설계 시

  • 네티워크 주소 체계 충돌 방지(IP 중복 회피)
  • 라우팅 정책과 우선순위 명확화
  • 인증 및 접근 제어 일관성 유지
  • 장애 발생 시 자동 장애 조치 및 복구 수립

을 고려해야함


VPN을 활용한 안전한 연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현 시 온프레와 클라우드 간 트래픽을 IPSec 기반 VPN 터널로 암호화

VPN Gateway가 인터넷을 통해 안전한 통신 경로 역할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분리 및 접근 제어 정책과 병행하여 보안을 강화함


전용선과의 결합

Direct Connet, ExpressRoute

  • VPN과 전용선을 혼합 사용하여 안정성과 대역폭, 지연 시간을 개선함
  • 전용선은 고속·전용 물리 회선으로 대규모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고 VPN은 비용 효율적이고 빠른 연결 구성에 유리함




☁️기업 보안 정책과 VPN


사용자 VPN vs 네트워크 간 VPN

Site-to-Site VPNClient-to-Site VPN

  • Site-to-Site VPN
    :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를 암호화된 터널로 연결해 네트워크 간 통신을 지원하는 방식
    • 예시 : 직원이 집에서 VPN 클라이언트로 연결 후 내부 업무 시스템 접근
  • Client-to-Site VPN
    : 개별 사용자가 원격에서 기업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게하는 VPN 방식
    • 예시 : 본사와 AWS 클라우드 VPC를 IPSec VPN으로 연결해 데이터 교환

구 분사용자 VPN
[Client-to-Site]
네트워크 간 VPN
[Site-to-Site]
목 적개별 원격 사용자의 기업 네트워크 접속지사 간 또는 데이터센터 간 네트워크 연결
활용 사례재택근무, 출장 등 원격 근무 환경본사-지사, 온프레미스-클라우드 간 네트워크 연결
보안 강화MFA, 디바이스 관리, 세션 모니터링 필수강력한 암호화, 라우팅 정책 및 접속 제어 중심
운영 관리사용자별 인증 및 권한 관리 필요대역폭, 안정성, 경로 관리 중점

Site-to-Site VPN은 네트워크 간 고정 연결, Client-to-Site VPN은 개별 사용자의 원격 접속 방식



MFA 및 로그 통합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는 다중인증 방식으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인증 요소를 조합해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는 보안 기법으로 단일 인증보다 계정 탈위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

  • OTP앱, 하드웨어 토큰 등 다양한 인증 수단 활용
  • VPN 접속 로그를 SIEM 시스템과 연동해 실시간 모니터링
  • 비정상 로그인 시 관리자 알림, 자동 차단 조치 가능
  • 로그 분석으로 이상 행위 탐지 및 보안 사고 사전 예방

예시

  • VPN 접속 기록을 실시간 분석해 평소와 다른 시간대 또는 위치에서의 접속 시도 감지
  • 이상 징후 발견 시 자동으로 해당 계정 세션 종료 및 관리자 통보



설계 시 고려 사항

  • 네트워크 분리
    : 내부 중요 시스템과 일반 업무망을 VLAN, 방화벽 규칙 등으로 분리하여 접근 통제
  • 암호화 및 프로토콜
    : AES-256 암호화, IKEv2 등 최신 VPN 프로토콜 사용 권장
  • 고가용성 구성
    : VPN Gateway 이중화, 장애 발생 시 자동 페일오버 기능 필수
  • 사용자 편의 고려
    : 자동 VPN 연결, 인증 절차 간소화로 사용자 업무 효율성 지원
  • 접근 제어 정책
    :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및 회소 권한 원칙 엄격 적용
  • 정기 감사 및 점검
    : 분기별 VPN 접속 로그 및 보안 정책 점검으로 취약점 사전 차단




☁️VPN vs 프록시 vs Tor

정의 요약

  • VPN
    : 사용자 트래픽 전체를 암호화해 네트워크 계층에서 안전한 터널을 제공하는 보안 연결 기술
  • 프록시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요청을 중계하며 주로 IP 주소 숨김과 간단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중간 서버
  • Tor
    : 다중 계층 암호화를 통해 분산 네트워크 상에서 익명성을 극대화하는 통신 시스템

VPN은 네트워크 전체를 암호화해 보안을 제공하고, 프록시는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IP 숨김과 필터링을 하며, Tor은 다중 암호화로 익명성과 검열 우회를 지원함


보안성·계층·용도 비교

구분VPN프록시Tor
암호화 수준전체 트래픽 암호화, 신원 및 위치 보호기본적으로 암호화 없음, IP 주소 숨김 및 캐싱다중 노드 계층적 암호화(Onion Routing), 매우 높은 익명성
동작계층네트워크 계층(IP 계층)애플리케이션 계층(HTTP, SOCKS)애플리케이션 계층 + 분산 네트워크
주요용도원격 접속, 네트워크 경계 확장, 검열 우회IP 우회, 콘텐츠 필터링, 접속 제어익명 통신, 검열 우회, 프라이버시 강화
속 도빠른 편매우 빠름느 림
익명성중간 정도낮 음매우 높음



상황별 선택 기준 정리

VPN 선택

  • 전체 트래픽 암호화와 안정적 원격 접속이 필요할 때
  • 기업 네트워크 보안 정책과 연동해 인증 및 접근 제어를 강화할 때
  • 검열 우회와 위치 변경을 겸비한 네트워크 확장이 목적일 때

프록시 선택

  • 빠른 속도와 간단한 IP 우회가 필요한 웹 브라우징 또는 콘텐츠 접근용일 때
  • 애플리케이션 단위 트래픽 제어, 캐싱, 필터링 기능이 주 목적일 때
  • 복잡한 암호화 없이 손쉬운 중계 서버가 필요할 때

Tor 선택

  • 최고 수준의 익명성이 필수적이고 검열 회피가 필요할 때
  • 속도 저하를 감수하고서라도 프라이버시 보호가 우선일 때
  • 익명 통신이나 민감 정보 보호 목적이 강한 환경에서 사용

상황별 기술 선택 예시

  • 재택근무 중 회사 내부 시스템 접속 필요
    → VPN 사용, 전체 트래픽 암호화로 보안 유지 및 인증 연동

  • 웹사이트 차단 우회 및 빠른 콘텐츠 접근 필요
    → 프록시 사용, 간단한 IP 우회와 캐싱으로 속도 확보

  • 익명성 보장하며 검열 심한 국가에서 인터넷 사용
    → Tor 사용, 다중 노드 암호화로 신원 은폐 및 검열 회피

  • 공용 와이파이에서 민감한 업무 처리
    → VPN 사용, 데이터 암호화로 중간자 공격 방지

  • 단순 IP 차단 회피 목적의 비보안 접속
    → 프록시 적합, 빠른 연결과 손쉬운 설정

  • 고도의 프라이버시가 필요한 내부 고발자 통신
    → Tor 권장, 익명성 극대화 목적

profile
나만의 공부 일지... [임시 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