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일상화되면서 내 온라인 활동이 누군가에게 노출되거나 감시당할 수 있다는 걱정과 불안이 커짐에 따라 이러한 불안을 줄이고 개인정보와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Virtual Private Network
기술이 등장함.이번 글에서는 VPN의 기본 개념과 작동 원리 그리고 핵심인 터널링 기술까지 간략히 다룰 예정임
VPN
이 단순한익명성
이나지역 제한 우회
수단을 넘어 보안 네트워크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를 알아봄
VPN는
Virtual Private Network
의 약자로, 우리말로가상 사설망
이라 하며, 공개된 인터넷 위에 안전한 사설 통신 경로(터널)를 만드는 기술즉,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마치 개인 네트워크 처럼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로 데이터 암호화와 사용자 IP 주소를 숨겨 프라이버시를 강화하고, 지역 제한 콘텐츠에 접근하거나 공용 와이파이 사용 시 보안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됨
Vittual
: 실제 물리적 전용선 없이, 인터넷을 통해 가상의 전용망 처럼 동작Private
: 제 3자가 접근하거나 엿볼 수 없는 사적인 통신Network
: 기업 내부망처럼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는 구조공용 인터넷 위에 강력한 암호화 터널을 만들어, 외부 위협으로부터 내부망을 보호하는 보안의 핵심 수단
과거 기업 간 안전한 통신을 위해 비싼 전용선을 직접 구축해야 했음 하지만 비용 부담돠 인프라의 한계로 공용망을 활용해 사설망끼리 안전한 연결방법이 필요해짐
또한, IP는 원래 데이터 암호화 기능이 없어 통신 도중 정보가 쉽게 노출될 위험이 컸음
따라서,
이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킨 기술이 바로 VPN
일반 네트워크과 VPN이 주요 항목별로 어떻게 다르고, VPN이 어떤 점에서 보안을 강화하는지 정리
구 분 | 일반 네트워크 | V P N |
---|---|---|
통신 경로 | 인터넷 등 공용망을 직접 이용 | 공용망 위에 암호화된 [가상 터널]을 생성 |
보안 수준 | 기본적으로 암호화되지 않아 노출 위험 | 데이터 암호화로 기밀성과 무결성 보장 |
접속 범위 | 공개 네트워크, 누구나 접근 가능 | 인증받은 사용자만 접속 가능한 사설망 연결 |
IP 노출 여부 | 실제 IP가 그대로 노출 | VPN서버 IP로 IP 주소 숨김(익명성 부여) |
속 도 | 인터넷 속도 그대로 | 암호화·터널링으로 약간의 속도 저하 가능 |
일반 인터넷망과는 달리, VPN은 암호화된 가상 터널을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음
구 분 | VPN Before | VPN After |
---|---|---|
경 로 | 사용자 → ISP → 목적지 서버 | 사용자 → ISP → VPN Server → 목적지 서버 |
암호화 | 없음 | Client ↔ VPN Server 간 암호화 |
IP 주소 | 사용자 IP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 | VPN Server의 IP가 노출됨 (사용자 IP는 은닉) |
보안성 | 중간 경로에서 도청 가능 | 도청 및 추적 어려움 |
Tunneling이란, 데이터를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감싸서 전송하는 기술로 IP 패킷을 다른 프로토콜로 캡슐화 하여 전송함
VPN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트래픽을 보호
원래 전송하려는 데이터(IP 패킷 등)를 다른 프로토콜의 데이터 안에 감싸서 전송하는 기술로 외부에서는 캡슐화된 상태만 보이기 때문에 내부 데이터의 내용은 숨겨짐
캡슐화를 통해
보안성 강화
: 캡슐화된 내부 데이터는 외부에서 직접 접근 불가경로 보호
: 외부에서 내부 목적지 주소 파악 불가터널링 구현
: 사설망을 공용망 위에서 안전하게 연결 가능사용자의 원본 IP 패킷이 있음
이를VPN 프로토콜(L2TP, GRE 등)이 한 번 감쌈 → 터널링 헤더 추가
그 위에 암호화를 위한 헤더(IPSec 등)를 추가로 붙임
마지막으로 인터넷 전송을 위한 일반 IP 헤더를 붙여 전송
어떤 프로토콜이 있는지 간략히 알아보고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