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짜고 나서,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언어인 기계어로 “미리” 번역을 함코드를 실행할 때는 컴퓨터에게 번역본을 건내줌단점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모든 파일을 스캔하기 때문에 초기 스캔이 오래걸림수정사항이 생길때마다 전체를 다시
컴파일러는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음프론트엔드 → 미들엔드 → 백엔드언어 종속적인 부분 처리함해당 언어로 올바르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함(어휘, 구문, 의미분석)어휘 분석 : 소스 코드를 의미있는 최소 단위인 token으로 나눔구문 분석 : token으로 파스 트리(pars
어셈블리코드를 기계어로 변환시킨것을 오브젝트 코드라 하고, 오브젝트 코드로 구정된 파일을 오브젝트 파일(Object File)이라 부르며, 오브젝트 파일은 특정한 파일 포맷을 가짐\*Windows의 경우 PE(PortableExecutable) / Linux의 경우 E
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비휘발성 자원의 모임으로 간단하게 말하자면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모아놓은 소프트웨어 혹은 프로그래밍에 사용할 수 있게 미리만들져 있는 함수나 변수들의 묶음컴파일된 오브젝트 파일 형태로 존재하며 컴파일 과정(링
정보보안 공부를 하면서도 가끔 보였던 개념중에 하나지만 머릿속에 잘 들어오지 않아서 따로 정리해보고자 함메모리를 나눈 작은 조각,메모리와 디스크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작은 덩어리(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메모리 크기는 한정적이라,
인터럽트란컴퓨터 시스템에서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했을 때 CPU에게 알리는 메커니즘 프로그램이 아닌 외부 요인(하드웨어, OS 내부 이벤트 등)에 의해 제어 흐름이 변경됨 예를 들어, 키보드 입력, 네트워크 패킷 도착, 타이머 이벤트 등에서 발생함 인터럽트 발생
보안을 공부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가상화 기술을 접하게 되었음대략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만 알고 넘어갔던 부분들이 많아서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고자 함특히 가상머신VM, 컨테이너(Docker) 같은 환경이 실습이나 샌드박스 분석 등에서 자주 쓰이다보니, 기본 개념과 차이점,
보안산업기사 학습 과정에서 SSL/TLS 프로토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숙지하고 있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내용이 흐릿해지고 들으면 기억은 나지만 바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운 상태가 되었음 > > 클라우드 보안을 심화 학습하는 과정에서 VPN 기술 전반을
1편에 이어서 작성 ✨인증서 관리와 운영 🔸인증서 발급 절차와 종류 1️⃣ 클라이언트가 공개키와 개인키로 구성된 Key Pair 생성 2️⃣ 개인키는 로컬 안전한 저장소에 보관 3️⃣ 공개키와 사이트 식별 정보를 포함한 CSR 생성 4️⃣ CSR을 인증 기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