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을 함에 있어, 오류 처리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이를 위해 C++에서는 보통 아래 3가지 메커니즘을 사용하게 된다.
std::error_code
(C++11)std::expected
(C++23)이번 시간엔, C에서 흔히 쓰던 방법인 2. 오류 코드를 래핑한 표준 C++ 클래스 std::error_code
를 써보자.
오류 코드를 C 스타일로 작성한다면 이런 식으로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
enum PurchaseErrc {
/* 정상 처리 (오류 아님) */
PE_OK = 0,
/* 판매자 측 오류 */
PE_STORE_NOT_OPEN = 100, // 상점이 열리지 않은 경우
PE_OUT_OF_STOCK, // 주문할 제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 사용자 측 입력 오류 */
PE_INVALID_ITEMS_AMOUNT = 200, // 잘못된 수량을 입력한 경우
PE_INVALID_CARD_NUMBER, // 잘못된 카드 번호를 입력한 경우
/* 쇼핑몰 측 오류 */
PE_INTERNAL_ERROR = 5000, // 쇼핑몰 측 내부 오류
};
// 온라인 쇼핑몰에 상품을 등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
enum RegisterProductErrc {
/* 정상 처리 (오류 아님) */
RPE_OK = 0,
/* 사용자 측 입력 오류 */
RPE_INVALID_STOCK_AMOUNT = 5000, // 잘못된 재고량을 입력한 경우
RPE_NO_NAME_PROVIDED, // 상품 이름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 쇼핑몰 측 오류 */
RPE_INTERNAL_ERROR = 9999, // 쇼핑몰 측 내부 오류
};
물론 이대로 써도 잘 작동하지만, 아쉬운 점이 몇가지 있다.
PE_INTERNAL_ERROR
와 RPE_INTERNAL_ERROR
PE_INVALID_ITEMS_AMOUNT
와 RPE_INVALID_STOCK_AMOUNT
사용자 측 오류
, 쇼핑몰 측 오류
라는 오류 조건 묶음은 같은데 값 범위가 다르다.이런 이유로, 서로 다른 오류 enum 에 대한 오류 처리 코드를 따로 작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걸 일원화 할 수는 없을까?
std::error_code
요컨대, std::error_code
는 오류 enum 종류와 값을 type-erased 방식으로 저장하는 컨테이너이다.
안에 저장되는 값은 2가지이다.
std::error_code::category()
: enum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Category 싱글턴 참조std::error_code::value()
: enum 값을 나타내는 int
std::error_code::category()
의 반환형은 const std::error_category&
로, 우리는 이 std::error_category
를 상속받은 Category를 따로 싱글턴으로 만들어, 에러 코드 초기화시에 레퍼런스를 전달하게 된다.
싱글턴이어야 하는 이유는, 에러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위 category
참조의 포인터 주소값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니 그러면, std::error_code
객체 하나 만들자고 category
와 value
를 매번 따로 전달해줘야 하는걸까?
당연히 그러면 쓰기가 너무 불편하므로, 오류 enum 변수를 받아 std::error_code
를 반환하는 make_error_code(Errc)
함수를 직접 정의하면, std::error_code
생성자에서 그걸 사용해 자동 변환되도록 API가 설계되어 있다.
template <typename Errc>
requires is_error_code_enum<Errc>::value
error_code(Errc e) noexcept : error_code(make_error_code(e)) {
}
위 생성자 덕분에, 아래와 같은 에러 코드의 초기화 및 비교가 가능하다.
std::error_code ec1 = PurchaseErrc::PE_OUT_OF_STOCK;
std::error_code ec2 = RegisterProductErrc::RPE_NO_NAME_PROVIDED;
assert(ec1 != RegisterProductErrc::RPE_INTERNAL_ERROR);
그런데, 아무 enum 이나 들어갈 수 있다면, 실수로 에러 코드가 아닌 enum 이 초기화에 사용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위 생성자에서 보이는 것처럼, std::is_error_code_enum<Errc>::value
가 true
인 enum 만 쓸 수 있도록 템플릿 제약조건이 걸려 있다.
따라서, 위 초기화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템플릿 특수화도 필요하다.
namespace std {
// 1. `value`를 `true`로 직접 설정
template <>
struct is_error_code_enum<PurchaseErrc> {
static constexpr bool value = true;
};
// 2. 같은 일을 하는 `std::true_type` 상속받기
template <>
struct is_error_code_enum<RegisterProductErrc> : true_type {};
}
참고로, 에러 코드에 사용되는 enum 의 0
값은 오류가 아닌 정상 상황을 의미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operator bool
로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는 코드를 짤 수 없다.
그래서, 커스텀 Category 싱글턴은 어떻게 만들까?
아래와 같이 std::error_code
내부에서 이 Category 싱글턴을 이용하는 부분이 좀 있다.
std::error_code::message()
: category().message(value())
로 에러 코드에 해당하는 메시지 문자열을 얻어 옴operator<<(ostream, ec)
: ostream << ec.category().name() << ':' << ec.value()
로 출력을 수행함위로 인해, 우리의 Category는 std::error_category
를 상속받고, 아래처럼 가상함수를 overriding 해줘야 한다.
struct RegisterProductErrorCategory : std::error_category {
auto name() const noexcept -> const char* override {
return "RegisterProduct";
}
auto message(int ev) const -> std::string override {
switch (static_cast<RegisterProductErrc>(ev)) {
case RegisterProductErrc::RPE_OK:
return "OK";
case RegisterProductErrc::RPE_INVALID_STOCK_AMOUNT:
return "Invalid stock amount provided";
case RegisterProductErrc::RPE_NO_NAME_PROVIDED:
return "No item name provided";
case RegisterProductErrc::RPE_INTERNAL_ERROR:
return "Internal system error";
default:
return "(Unknown error)";
}
}
};
이제 위 Category를 적절히 싱글턴으로 만들고, make_error_code(Errc)
에서 value
와 category
의 참조를 전달해주면 된다.
auto make_error_code(RegisterProductErrc e) -> std::error_code {
return std::error_code(static_cast<int>(e), RegisterProductErrorCategory::instance());
}
std::error_condition
개별 오류 코드를 enum 과 비교하는 것은 위 구현만으로 가능하지만, 아직 오류 조건을 묶어서 처리할 수는 없다.
오류 조건을 묶으려면 std::error_condition
이라는 별도의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다.
std::error_condition
은 std::error_code
와 API가 거의 유사하다.
그래서 std::error_condition
을 만드는 방법도 위에서 다룬 것과 거의 같다.
enum FailReasonErrc {
/* 오류값은 `0`이 아님에 유의 */
FRE_SELLER_NOT_READY = 1, // 판매자 측 오류
FRE_BAD_USER_INPUT, // 사용자 측 입력 오류
FRE_SYSTEM_ERROR, // 쇼핑몰 측 오류
};
namespace std {
// 거의 비슷하나, `std::is_error_condition_enum`을 사용하는 게 차이점
template <>
struct is_error_condition_enum<FailReasonErrc> : true_type {};
}
struct FailReasonErrorCategory : std::error_category {
static auto instance() -> const FailReasonErrorCategory& {
static FailReasonErrorCategory category;
return category;
}
auto name() const noexcept -> const char* override {
return "FailReason";
}
auto message(int ev) const -> std::string override {
switch (static_cast<FailReasonErrc>(ev)) {
case FailReasonErrc::FRE_SELLER_NOT_READY:
return "Seller is not ready";
case FailReasonErrc::FRE_BAD_USER_INPUT:
return "Bad user input provided";
case FailReasonErrc::FRE_SYSTEM_ERROR:
return "Internal system error";
default:
return "(Unknown error)";
}
}
private:
FailReasonErrorCategory() = default;
};
// 거의 비슷하나, `make_error_condition()`을 만드는 게 차이점
auto make_error_condition(FailReasonErrc e) -> std::error_condition {
return std::error_condition(static_cast<int>(e), FailReasonErrorCategory::instance());
}
std::error_code
와 매칭시키기std::error_category::equivalent()
std::error_condition
은 enum 종류도 값도 다른 std::error_code
를 묶는데 활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std::error_code
와 std::error_condition
은 서로 다른 타입이지만, 아래와 같이 operator==
이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bool operator==(const std::error_code& code, const std::error_condition& cond) {
return code.category().equivalent(code.value(), cond) ||
cond.category().equivalent(code, cond.value());
}
따라서 category
의 equivalent()
를 overriding 하여, 특정 오류 코드가 특정 오류 조건과 매칭됨을 표현할 수 있다.
struct FailReasonErrorCategory : std::error_category {
...
bool equivalent(const std::error_code& code, int condition_value) const noexcept override {
const std::error_category& purchase_category = PurchaseErrorCategory::instance();
const std::error_category& register_product_category = RegisterProductErrorCategory::instance();
switch (static_cast<FailReasonErrc>(condition_value)) {
case FailReasonErrc::FRE_SELLER_NOT_READY:
if (code.category() == purchase_category)
return code.value() / 100 == 1; // 100번대 오류
return false;
case FailReasonErrc::FRE_BAD_USER_INPUT:
if (code.category() == purchase_category)
return code.value() / 100 == 2; // 200번대 오류
else if (code.category() == register_product_category)
return code.value() / 1000 == 5; // 5000번대 오류
return false;
case FailReasonErrc::FRE_SYSTEM_ERROR:
return code == PurchaseErrc::PE_INTERNAL_ERROR ||
code == RegisterProductErrc::RPE_INTERNAL_ERROR;
default:
break;
}
return false;
}
};
이제 아래와 같이 특정 에러 코드가 특정 에러 조건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std::error_code ec = PurchaseErrc::PE_INVALID_CARD_NUMBER;
if (ec == FailReasonErrc::FRE_BAD_USER_INPUT)
std::cout << "Your input was invalid; Please try again." << std::endl;
오류 처리가 아주 깔끔해졌다.
내부적으로 가상함수 호출이 일어난다는 건 성능상 아쉬울 수는 있겠지만.
std::error_category::default_error_condition()
에러 코드를 잘 나타내는 에러 조건이 있는 경우, 매칭을 에러 코드의 Category의 default_error_condition()
을 overriding 해 표현할 수도 있다.
struct PurchaseErrorCategory : std::error_category {
...
auto default_error_condition(int ev) const noexcept -> std::error_condition {
if (ev % 100 == 1) // 100번대 오류
return FailReasonErrc::FRE_SELLER_NOT_READY;
else if (ev % 100 == 2) // 200번대 오류
return FailReasonErrc::FRE_BAD_USER_INPUT;
else if (ev == static_cast<int>(PurchaseErrc::PE_INTERNAL_ERROR))
return FailReasonErrc::FRE_SYSTEM_ERROR;
else
assert(false);
return {};
}
};
이게 작동하는 이유는 부모 equivalent()
가상함수가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bool equivalent(int code, const std::error_condition& cond) const noexcept {
return default_error_condition(code) == cond;
}
따라서, equivalent()
를 재정의할 경우, 당연히 default_error_condition()
은 동작하지 않는다.
<filesystem>
(C++17)아무래도 파일시스템 조작을 하다 보면 정말 다양한 오류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권한이 부족하거나, 파일이 아니라 디렉터리거나...
보통 이런 파일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면 errno
등의 OS 오류 코드가 설정된다.
C++17 표준 <filesystem>
API 대부분은 이 오류 코드를 직접 얻어올 수 있도록, std::error_code& ec
를 마지막 인자로 받는 오버로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std::filesystem::copy_file()
을 보면, 일반 오버로드인 (1)과 (3) 아래에 대응되는 std::error_code& ec
가 있는 (2)와 (4) 오버로드가 존재한다.
(2)와 (4) 오버로드를 호출하면, 오류 발생 시 ec
에 에러 코드가 설정되고, 예외를 throw 하지 않는다.
반면, (1)과 (3) 오버로드를 호출하면, std::filesystem_error
를 throw 한다.
이 예외는 std::system_error
를 상속받는데, 거기에 있는 code()
멤버함수로 에러 코드 객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POSIX API 에러 조건에 대응되는 std::errc
enum 과 std::system_category
가 있어, 크로스 플랫폼 조건 비교를 쉽게 만들어줄 것으로 보이... 지만, Windows 전용 에러 코드가 제대로 매핑되어 있는지는 확인이 필요할 것 같다.
소켓 API 조작 또한 다양한 오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예시이다.
유효하지 않은 주소를 사용하거나, 연결이 끊어졌거나, 바인딩되지 않은 소켓이거나...
asio 라이브러리 또한 <filesystem>
과 같은 패턴을 사용한다.
ec
를 받는 오버로드와 받지 않는 오버로드를 같이 제공하고, ec
를 받지 않는 버전은 ec
를 포함하는 asio::system_error
를 throw 한다.
(참고로, asio 라이브러리 작성자가 std::error_code
표준화에 기여한 사람이다.)
간단하게 BSD socket 래퍼 라이브러리를 짜봤는데, 거기서도 매개변수로 ec
를 받는 식으로 응용했다.
다만, 내 라이브러리는 ec
를 반드시 써야하고, 예외를 던지는 API는 따로 제공하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