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Number of Islands

아현·2021년 4월 10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33/400
post-thumbnail

리트코드


  • 1을 육지로, 0을 물로 가정한 2D 그리드 맵이 주어졌을 때, 섬의 개수를 계산하라.

    • 연결되어 있는 1의 덩어리 개수를 구하라




1. DFS 재귀를 이용


class Solution:
    
    def dfs(self, grid: List[List[str]], i:int, j:int):
        #더 이상 땅이 아닌 경우 종료  #'\'기호는 다음줄로 이어진다는 표시
        if i < 0 or i >= len(grid) or \
            j < 0 or j >= len(grid[0]) or \
            grid[i][j] != '1':
                return 
            
        grid[i][j] = '0' #마킹
        
        #동서남북 탐색
        self.dfs(grid, i+1, j)
        self.dfs(grid, i-1, j)
        self.dfs(grid, i, j+1)
        self.dfs(grid, i, j-1)
        
    def numIslands(self, grid: List[List[str]]) -> int:
        
        #예외 처리
        if not grid: 
            return 0
        
        count = 0
        for i in range(len(grid)):
            for j in range(len(grid[0])):
                if grid[i][j] == '1':
                    self.dfs(grid, i, j)
                    #모든 육지 탐색 후 카운트 1증가
                    count +=1
        
        return count



  • 이 문제는 반드시 그래프 모양이 아니더라도 그래프형으로 변환해서 풀이할 수 있음을 확인해보는 좋은 문제다.

  • 입력값이 정확히 그래프는 아니지만 사실상 동서남북이 모두 연결된 그래프로 가정하고 동일한 형태로 처리할 수 있으며, 네 방향 각각 DFS 재귀를 이용해 탐색으 끝마치면 1이 증가하는 형태로 육지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 먼저, 행렬(Matrix) 입력값인 grid의 행(Rows), 열(Cols) 단위로 육지(1)인 곳을 찾아 진행하다가 육지를 발견하면 그때부터 self.dfs()를 호출해 탐색을 시작한다.

  • DFS 탐색을 하는 dfs( )함수는 동서남북을 모두 탐색하면서 재귀호출한다.

    • 함수 상단에는 육지가 아닌 곳은 return으로 종료 조건을 설정해둔다.

    • 이렇게 재귀 호출이 백트래킹으로 모두 빠져 나오면 섬 하나를 발견한 것으로 간주한다.

    • 이미 방문했던 곳은 1이 아닌 값으로 마킹한다.

      • 여기서는 grid[i][j] = '0'을 통해 다시 0으로 설정했으나 #이나 0 등 육지가 아닌 것으로 만들기만 하면 된다.

      • 그래야만 다음에 다시 계산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다. 일종의 가지치기다.

    • 간혹 또 다른 행렬을 생성해 그곳에 방문했던 경로를 저장하는 형태로 풀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문제는 그렇게 풀이할 필요가 없다.

      • 별도의 행렬을 생성할 경우 공간 복잡도가 O(n)이 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 또한 비효율적이다.
  • dfs( )함수를 빠져 나온 후에는 해당 위치에서 탐색할 수 있는 모든 육지를 탐색한 것이므로, 카운트를 1 증가시킨다.



2. 코드 리팩토링

...
       #동서남북 탐색
       
        self.dfs(grid, i+1, j)
        self.dfs(grid, i-1, j)
        self.dfs(grid, i, j+1)
        self.dfs(grid, i, j-1)
...
  • 다음과 같이 dfs( )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self.sfs(grid, i+1, j)와 같은 형태로 grid 변수를 매번 넘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을 개선해보자.


1) 클래스의 멤버 변수로 선언



class Solution:
    grid: List[List[str]] #클래스 멤버 변수로 선언
    
    def dfs(self, i:int, j:int):
        #더 이상 땅이 아닌 경우 종료  #'\'기호는 다음줄로 이어진다는 표시
        if i < 0 or i >= len(grid) or \
            j < 0 or j >= len(grid[0]) or \
            grid[i][j] != '1':
                return 
            
        ...
        
    def numIslands(self, grid: List[List[str]]) -> int:
        self.grid = grid
        
        ... 
                    self.dfs(grid, i, j)
        
        ...
        
        return count

  • grid를 클래스 멤버 변수로 선언하여 클래스 내에서 모두 공유하게 되면 더 이사아 grid를 매번 넘기지 않아도 된다.

  • 하지만 여전히 함수 호출 시 매번 self.가 따라 붙는 등 보기가 좋지 않다.
    다른 방법을 알아보자.



2) 파이썬의 중첩함수(Nested Function)



class Solution:
    def numIslands(self, grid: List[List[str]]) -> int:
        
        def dfs(i, j):
            #더 이상 땅이 아닌 경우 종료  #'\'기호는 다음줄로 이어진다는 표시
            if i < 0 or i >= len(grid) or \
                j < 0 or j >= len(grid[0]) or \
                grid[i][j] != '1':
                    return 

            grid[i][j] = '0' #마킹

            #동서남북 탐색
            dfs(i+1, j)
            dfs(i-1, j)
            dfs(i, j+1)
            dfs(i, j-1)
        
        
        #예외 처리
        if not grid: 
            return 0
        
        count = 0
        for i in range(len(grid)):
            for j in range(len(grid[0])):
                if grid[i][j] == '1':
                    dfs(i, j)
                    #모든 육지 탐색 후 카운트 1증가
                    count +=1
        
        return count


  • numIslands( ) 함수 내에 dfs( ) 함수 전체가 중첩 함수로 들어갔다.

    • 이렇게 할 시, numIslands( ) 함수에서만 dfs( ) 함수 호출이 가능한 제약이 생긴다.

    • 하지만, 중첩 함수는 부모 함수에서 선언한 변수도 유효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 여기서 dfs( ) 함수는 numIslands( ) 함수에서 선언된 변수를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 덕분에 grid 변수뿐만 아니라 지저분하게 매번 따라다니던 self.구문 또한 제거할 수 있어 dfs( ) 함수가 깔끔해졌고, 코드 전체가 훨씬 더 깔끔해졌다.



✔ 그래프 순회


  • 그래프 순회

    • 그래프 탐색(Search)라고도 불리우며, 그래프의 각 정점을 방문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래프의 각 정점을 방문하는 그래프 순회에는 크게 2가지 알고리즘이 있다.

  • 깊이 우선 탐색(Depth-First Search)

    • 주로, 스택으로 구현하거나 재귀로 구현하며, 백트래킹을 통해 뛰어난 효용을 보인다.

    • 일반적으로 BFS에 비해 더 널리 쓰인다.

    • 코딩 테스트 시에도 대부분의 그래프 탐색은 DFS로 구현하게 될 것이다.

  • 너비 우선 탐색(Breadth-First Search)

    • 주로, 큐로 구현하며 그래프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문제 등에 사용된다.

그래프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 인접 행렬(Ajacency Matrix)

  • 인접 리스트(Ajacency List)

    • 출발 노드를 키로, 도착 노드를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도착 노드는 여러 개가 될 수 있으므로 리스트 형태가 된다.

      • 파이썬의 딕셔너리 자료형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graph = {
    1: [2, 3, 4],
    2: [5],
    3: [5],
    4: [],
    5: [6, 7],
    6: [],
    7: [3],
}



DFS(깊이 우선 탐색)


재귀 구조로 표현


<재귀를 이용한 DFS 구현 수도코드>

 DFS(G, v)
    label v as discovered
    for all directed edges from v to w that are in G.adjacentEdges(v) do
        if vertex w is not labeled as discovered then
            recursively call DFS(G, w)
    
  • 이 수도코드에는 정점 v의 모든 인접 유향(Directed) 간선들을 반복하라고 표기되어 있다.

<수도코드의 알고리즘을 파이썬 코드로 구현>


def recursive_dfs(v, discovered=[]):
    discovered.append(v)
    for w in graph[v]:
        if not w in discovered:
            discovered = recursive_dfs(w, discovered)
            
    return discovered
  • 방문했던 정점, 즉 discovered를 계속 누적된 결과로 만들기 위해 리턴하는 형태만 받아오도록 처리했을뿐, 나머지는 수도코드와 동일하다.
  • 위의 그래프를 입력값으로 한 탐색결과는 다음과 같다.

>>> f'recursive dfs: {recursive_dfs(1)}'
'recursive dfs: [1, 2, 5, 6, 7, 3, 4]'





BFS(너비 우선 탐색)


  • BFS는 DFS보다 쓰임새는 적지만, 최단 경로를 찾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등에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큐를 이용한 반복 구조로 표현


<큐를 이용한 BFS 수도코드>

BFS(G, start_v)
    let Q be a queue
    label start_v as discovered
    Q.enqueue(start_v)
    while Q is not empty do
       v := Q.dequeue()
       if v is the goal then
          return v
          
       for all edges from v to w in G.adjacentEdges(v) do
           if w is not labeled as discovered then
               label w as discovered
               w.parent := v
               Q.enqueue(w)
  • 모든 인접 간선을 추출하고 도착점인 정접을 큐에 삽입하는 수도코드다.

<수도코드의 알고리즘을 파이썬 코드로 구현>

def iterative_bfs(start_v):
    discovered = [start_v]
    queue = [start_v]
    while queue:
        v = queue.pop(0)
        for w in graph[v]:
            if w not in discovered:
                discovered.append(w)
                queue.append(w)
                
    return discovered
  • 리스트 자료형을 사용했지만 pop(0)과 같은 큐의 연산만을 사용했다.

    • 따라서 큐를 사용하는 것과 사실상 동일하다.

    • 최적화를 위해서는 데크 같은 자료형을 사용해 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 위의 그래프를 입력값으로 한 탐색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terative bfs: {iterative bfs(1)}'
'recursive dfs: [1, 2, 3, 4, 5, 6, 7]'

  • BFS의 경우 단계별 차례인 숫자 순으로 실행됐으며, 1부터 순서대로 각각의 인접 노드를 우선으로 방문하는 너비 우선 탐색이 잘 실행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BFS는 재귀로 동작하지 않는다. 큐를 이용하는 반복 구현만 가능하다.

profile
For the sake of someone who studies computer scienc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