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kdir 폴더명: 폴더 만들기
git init .: 해당 폴더에 git을 만든다
get log: version들을 보내준다
git status: 수정된 걸 알려서 바로 보여준다
git commit -am "Message 10": version 추가
git push: 업로드
cat.파일명: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
git status: 상태는 어때?
git add 파일명: staging area에 올려준다
git commit -m "Message1":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을 repository에 version을 만든다
git status,git log로 확인가능
git branch: 현재 사용하고 있는 branch
git branch exp: exp라는 branch를 만든다(현재 속해있는 branch의 상태를 복사)
git checkout exp: checkout하고 exp로 들어가서 exp라는 branch를 사용한다
git log --branches --decorate: branch 비교
git log --branches --decorate --graph: branch가 더 잘 비교
git log --branches --decorate --graph--oneline: branch 간결하게 표현
stree(sourcetree라는 GUI 프로그램)
git log master..exp: master에는 없고 exp에 있는 것
git diff master..exp: 각각의 branch의 현재 상태(master에 없는데 exp에 있는 것)
git merge exp: exp를 master로 병합(현재 master로 branch되어 있어야함 - check master)
git branch -d exp(git checkout master해놓고): exp branch 삭제
git push origin --delete main
git remote up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