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벨 (Babel)
또 사람들은 의논하였다. "어서 도시를 세우고 그 가운데 꼭대기가 하늘에 닿게 탑을 쌓아 우리 이름을 날려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하자."
야훼께서 땅에 내려오시어 사람들이 이렇게 세운 도시와 탑을 보시고 생각하셨다.
"사람들이 한 종족이라 말이 같아서 안 되겠구나. 이것은 사람들이 하려는 일의 시작에 지나지 않겠지. 앞으로 하려고만 하면 못 할 일이 없겠구나. 당장 땅에 내려가서 사람들이 쓰는 말을 뒤섞어놓아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해야겠다."
야훼께서는 사람들을 거기에서 온 땅으로 흩으셨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도시를 세우던 일을 그만두었다. 야훼께서 온 세상의 말을 거기에서 뒤섞어놓아 사람들을 온 땅에 흩으셨다고 해서 그 도시의 이름을 바벨이라고 불렀다. (나무위키)
브라우저마다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서 프론트엔트 코드는 일관적이지 못할 때가 많다.
스팩과 브라우져가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프라미스를 이해하지 못한다.
작년까지만 해도 사파리 최신 브라우져는 Promise.prototype.finally
메소드를 사용할 수 없었다.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크로스브라우징 이슈는 코드의 일관성을 해치고 초심자를 불안하게 만든다.
크로스브라우징의 혼란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 바벨이다.
ECMAScript2015+로 작성한 코드를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도록 호환성을 지켜준다.
타입스크립트, JSX처럼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것도 포함한다.
이렇게 변환하는 것을 "트랜스파일" 한다라고 표현한다.
변환 전후의 추상화 수준이 다른 빌드와는 달리 트랜스파일은 추상화 수준을 유지한 상태로 코드를 변환한다.
타입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
JSX → 자바스크립트
트랜스파일 후에도 여전히 코드를 읽을 수 있다.
요즘에는 이 둘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 같다.
바벨은 ECMAScript2015 이상의 코드를 적당한 하위 버전으로 바꾸는 것이 주된 역할이다.
이렇게 바뀐 코드는 인터넷 익스프로러나 구버전 브라우저처럼 최신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이해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잘 동작한다.
바벨을 이용해 아래 코드를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바꿔 보겠다.
src/app.js:
const alert = msg => window.alert(msg)
먼저 바벨 최신 버전를 설치한다.
터미널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 커맨드라인 도구도 함께 설치한다.
npm install -D @babel/core @babel/cli
설치를 완료후 node_modules/.bin 폴더에 추가된 바벨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 ./node_modules/.bin/babel app.js
npx babel app.js
const alert = msg => window.alert(msg);
바벨은 세 단계로 빌드를 진행한다.
1) 파싱(Parsing)
코드를 읽고 추상 구문 트리(AST)로 변환하는 단계
이것은 빌드 작업을 처리하기에 적합한 자료구조인데 컴파일러 이론에 사용되는 개념이다.
2) 변환(Transforming)
추상 구문 트리를 변경하는 것이 "변환" 단계이다.
실제로 코드를 변경하는 작업을 한다.
3) 출력 (Printing)
결과를 보면 빌드 이전과 변한게 하나도 없다.
기본적으로 바벨은 코드를 받아서 코드를 반환한다.
바벨 함수를 정의한다면 이런 모습이 될 것이다.
const babel = code => code
바벨은 파싱과 출력만 담당하고 변환 작업은 다른 녀석이 처리하데 이것을 "플러그인" 이라고 부른다.
플러그인을 직접 만들면서 동작이 원리를 살펴 보겠다.
myplugin.js 라는 파일을 아래처럼 만들어 보자(출처: 바벨 홈페이지의 예제 코드).
myplugin.js:
module.exports = function myplugin() {
return {
visitor: {
Identifier(path) {
const name = path.node.name
// 바벨이 만든 AST 노드를 출력한다
console.log("Identifier() name:", name)
// 변환작업: 코드 문자열을 역순으로 변환한다
path.node.name = name.split("").reverse().join("")
},
},
}
}
플러그인 형식은 visitor 객체를 가진 함수를 반환해야 한다.
이 객체는 바벨이 파싱하여 만든 추상 구문 트리(AST)에 접근할 수 있는 메소드를 제공한다.
그 중 Identifier()
메소드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는 코드다.
플러그인 사용법을 알아보자.
npx babel --help
--plugins [list] A comma-separated list of plugin names.
--plugins
옵션에 플러그인을 추가하면 된다.
npx babel app.js --plugins ./myplugin.js
Identifier() name: alert
Identifier() name: msg
Identifier() name: window
Identifier() name: alert
Identifier() name: msg
const trela = gsm => wodniw.trela(gsm);
Identifier()
메소드로 들어온 인자 path에 접근하면 코드 조각에 접근할 수 있는 것 같다.
path.node.name의 값을 변경하는데 문자를 뒤집는 코드다.
우리가 하려는것은 ECMASCript2015로 작성한 코드를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돌리는 것이다.
먼저 const 코드를 var로 변경하는 플러그인을 만들어 보겠다.
myplugin.js:
module.exports = function myplugin() {
return {
visitor: {
// https://github.com/babel/babel/blob/master/packages/babel-plugin-transform-block-scoping/src/index.js#L26
VariableDeclaration(path) {
console.log("VariableDeclaration() kind:", path.node.kind) // const
if (path.node.kind === "const") {
path.node.kind = "var"
}
},
},
}
}
이번에는 vistor 객체에 VariableDeclaration()
메소드를 정의했다.
path에 접근해 보면 키워드가 잡히는 걸 알 수 있다.
path.node.kind가 const 일 경우 var로 변환하는 코드다.
이 플러그인으로 다시 빌드해보자.
npx babel app.js --plugins ./myplugin.js
VariableDeclaration() kind: const
var alert = msg => window.alert(msg);
이러한 결과를 만드는 것이 block-scoping 플러그인이다.
const, let 처럼 블록 스코핑을 따르는 예약어를 함수 스코핑을 사용하는 var 변경한다.
NPM 패키지로 제공하는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npm install -D @babel/plugin-transform-block-scoping
설치한 플러그인을 사용해보면,
npx babel app.js --plugins @babel/plugin-transform-block-scoping
var alert = msg => window.alert(msg);
커스텀 플러그인과 같은 결과를 보인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화살표 함수도 지원하지 않는데 arrow-functions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일반 함수로 변경할 수 있다.
npm install -D @babel/plugin-transform-arrow-functions
npx babel app.js \
--plugins @babel/plugin-transform-block-scoping \
--plugins @babel/plugin-transform-arrow-functions
var alert = function (msg) {
return window.alert(msg);
};
ECMAScript5에서부터 지원하는 엄격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에 "use strict" 구문을 추가해야 겠다.
strict-mode 플러그인을 사용하자.
그전에 커맨드라인 명령어가 점점 길어지기 때문에 설정 파일로 분리하는 것이 낫겠다.
웹팩 webpack.config.js를 기본 설정파일로 사용하듯 바벨도 babel.config.js를 사용한다.
프로젝트 루트에 babel.config.js 파일을 아래와 같이 작성하자.
babel.config.js:
module.exports = {
plugins: [
"@babel/plugin-transform-block-scoping",
"@babel/plugin-transform-arrow-functions",
"@babel/plugin-transform-strict-mode",
],
}
커맨드라인에서 사용한 block-scoping, arrow-functions 플러그인을 설정 파일로 옮겼는데 plugins 배열에 추가하는 방식이다.
다시 빌드해보자.
npx babel app.js
"use strict";
var alert = function (msg) {
return window.alert(msg);
};
상단에 "use strict" 구문이 추가되어 엄격모드가 활성화 되었다.
이제야 비로소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안전하게 동작하는 코드로 트랜스파일하였다.
이처럼 변환을 위한 플러그인 목록은 공식 문서의 Plugins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목적에 맞게 여러가지 플러그인을 세트로 모아놓은 것을 "프리셋"이라고 한다.
사용한 세 개 플러그인을 하나의 프리셋으로 만들어 보겠다.
mypreset.js 파일을 다음과 같이 작성하자.
mypreset.js
module.exports = function mypreset() {
return {
plugins: [
"@babel/plugin-transform-arrow-functions",
"@babel/plugin-transform-block-scoping",
"@babel/plugin-transform-strict-mode",
],
}
}
plugins 배열에 사용한 세 개 플러그인을 담았다.
프리셋을 사용하기 위해 바벨 설정을 약간 수정한다.
babel.config.js
module.exports = {
presets: ["./mypreset.js"],
}
플러그인 세팅 코드를 제거하고 presets에 방금 만든 mypreset.js를 추가했다.
실행해보면 동일한 결과를 출력할 것이다.
이처럼 바벨은 목적에 따라 몇 가지 프리셋을 제공한다.
preset-env
preset-flow
preset-react
preset-typescript
preset-env는 ECMAScript2015+를 변환할 때 사용한다.
바벨 7 이전 버전에는 연도별로 각 프리셋을 제공했지만
지금은 env 하나로 합쳐졌다.
preset-flow, preset-react, preset-typescript는 flow, 리액트, 타입스크립트를 변환하기 위한 프리셋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지원을 위해 env 프리셋을 사용해 보자.
먼저 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npm install -D @babel/preset-env
설치한 바벨 설정을 조금만 더 바꿔본다.
babel.config.js:
module.exports = {
presets: ["@babel/preset-env"],
}
그리고 빌드하면,
npx babel app.js
"use strict";
var alert = function alert(msg) {
return window.alert(msg);
};
우리가 만든 mypreset.js와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과거에 제공했던 연도별 프리셋에 비해 env 프리셋은 무척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법을 제공한다.
우리 코드가 크롬 최신 버전만 지원하다고 하자.
그렇다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위한 코드 변환은 불필요하다.
target 옵션에 브라우져 버전명만 지정하면 env 프리셋은 이에 맞는 플러그인들을 찾아 최적의 코드를 출력해 낸다.
babel.config.js
module.exports = {
presets: [
[
"@babel/preset-env",
{
targets: {
chrome: "79", // 크롬 79까지 지원하는 코드를 만든다
},
},
],
],
}
npx babel app.js
"use strict";
const alert = msg => window.alert(msg);
크롬은 블록 스코핑과 화살표 함수를 지원하기 때문에 코드를 변환하지 않고 이러한 결과물을 만들었다.
만약 인터넷 익스플로러도 지원해야 한다면 바벨 설정에 브라우져 정보만 하나 더 추가하면 된다.
babel.config.js :
module.exports = {
presets: [
[
"@babel/preset-env",
{
targets: {
chrome: "79",
ie: "11", // ie 11까지 지원하는 코드를 만든다
},
},
],
],
}
변환과 조금 다른 폴리필에 대해 알아보자.
ECMASCript2015의 Promise 객체를 사용하는 코드다.
app.js:
new Promise()
바벨로 처리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npx babel app.js
"use strict";
new Promise();
env 프리셋으로 변환을 시도했지만 Promise 그대로 변함이 없다.
target에 ie 11을 설정하고 빌드한 것인데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여전히 프라미스를 해석하지 못하고 에러를 던진다.
브라우저는 현재 스코프부터 시작해 전역까지 Promise라는 이름을 찾으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스코프 어디에도 Promise란 이름이 없기 때문에 레퍼런스 에러를 발생하고 프로그램이 죽은 것이다.
플러그인이 프라미스를 ECMAScript5 버전으로 변환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예상과 다르다.
바벨은 ECMAScript2015+를 ECMAScript5 버전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만 빌드한다.
그렇지 못한 것들은 "폴리필"이라고 부르는 코드조각을 추가해서 해결한다.
가령 ECMAScript2015의 블록 스코핑은 ECMASCript5의 함수 스코핑으로 대체할 수 있다.
화살표 함수도 일반 함수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런 것들은 바벨이 변환해서 ECMAScript5 버전으로 결과물을 만든다.
한편 프라미스는 ECMAScript5 버전으로 대체할 수 없다.
env 프리셋은 폴리필을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babel.config.js:
module.exports = {
presets: [
[
"@babel/preset-env",
{
useBuiltIns: "usage", // 폴리필 사용 방식 지정
corejs: {
// 폴리필 버전 지정
version: 2,
},
},
],
],
}
useBuiltIns
는 어떤 방식으로 폴리필을 사용할지 설정하는 옵션이다.
"usage" , "entry", false
세 가지 값을 사용하는데 기본값이 false 이므로 폴리필이 동작하지 않았던 것이다.
반면 usage
나 entry
를 설정하면 폴리필 패키지 중 core-js를 모듈로 가져온다
corejs 모듈의 버전도 명시하는데 기본값은 2다.
폴리필이 추가된 결과물을 확인해 보자.
npx babel src/app.js
"use strict";
require("core-js/modules/es6.promise");
require("core-js/modules/es6.object.to-string");
new Promise();
이제야 비로소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안전하게 돌아가는 결과물을 만들었다.
실무 환경에서는 바벨을 직접 사용하는 것보다는 웹팩으로 통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로더 형태로 제공하는데 babel-loader가 그것이다.
먼저 패키지를 설치하고,
npm install -D babel-loader
웹팩 설정에 로더를 추가한다.
webpack.config.js:
module.exports = {
module: {
rules: [
{
test: /\.js$/,
exclude: /node_modules/,
loader: "babel-loader", // 바벨 로더를 추가한다
},
],
},
}
.js 확장자로 끝나는 파일은 babel-loader가 처리하도록 설정했다.
폴리필 사용 설정을 했다면 core-js도 설치해야한다.
웹팩은 바벨 로더가 만든 아래 코드를 만나면 core-js를 찾을 것이기 때문이다.
require("core-js/modules/es6.promise")
require("core-js/modules/es6.object.to-string")
버전 2로 패키지를 추가하자.
npm i core-js@2
npm run build
> webpack
Hash: a30cff5fbf53027423a0
Version: webpack 4.41.2
Time: 718ms
Built at: 2019. 12. 16. 오전 8:52:05
Asset Size Chunks Chunk Names
main.js 59.7 KiB main [emitted] main
Entrypoint main = main.js
[./src/app.js] 166 bytes {main} [built]
미리 등록해 놓은 NPM build 스크립트의 webpack 명령어가 동작한다.
./src/app.js의 엔트리 포인트가 바벨 로더에 의해 빌드되고 결과물이 dist/main.js로 옮겨졌다.
//윈도우는 type
cat ./dist/main.js | grep 'var alert' -A 5
var alert = function alert(msg) {
return window.alert(msg);
};
new Promise();
웹팩으로 번들링되면서 변경된 부분 찾기가 어려울수 있는데 grep으로 변경되 부분만 확인했다.
바벨은 일관적인 방식으로 코딩하면서,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돌아가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도구다.
바벨의 코어는 파싱과 출력만 담당하고 변환 작업은 플러그인이 처리한다.
여러 개의 플러그인들을 모아놓은 세트를 프리셋이라고 하는데 ECMAScript+ 환경은 env 프리셋을 사용한다.
바벨이 변환하지 못하는 코드는 폴리필이라 부르는 코드조각을 불러와 결과물에 로딩해서 해결한다.
babel-loader로 웹팩과 함께 사용하면 훨씬 단순하고 자동화된 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을 갖출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