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팩(Webpack)

아현·2021년 8월 20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287/400

실습 버전

package.json


{
  "name": "lecture-frontend-dev-env",
  "version": "1.0.0",
  "description":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의 이해\" 강의 자료입니다.",
  "main": ".eslintrc.js",
  "devDependencies": {
    "css-loader": "^3.4.1",
    "file-loader": "^5.0.2",
    "style-loader": "^1.1.2",
    "url-loader": "^3.0.0",
    "webpack": "^4.41.5",
    "webpack-cli": "^3.3.10"
  },
  "scripts": {
    "build": "webpack --progress"
  },
  "repository": {
    "type": "git",
    "url": "git+https://github.com/jeonghwan-kim/lecture-frontend-dev-env.git"
  },
  "keywords": [],
  "author": "",
  "license": "ISC",
  "bugs": {
    "url": "https://github.com/jeonghwan-kim/lecture-frontend-dev-env/issues"
  },
  "homepage": "https://github.com/jeonghwan-kim/lecture-frontend-dev-env#readme"
}





1. 배경

참고


문법 수준에서 모듈을 지원하기 시작한 것은 ES2015부터다. import/export 구문이 없었던 모듈 이전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 웹팩 등장 배경을 설명하는데 수월할 것 같다.

아래 덧셈 함수를 보자.

math.js: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 전역 공간에 sum이 노출

app.js:


sum(1, 2) // 3

위 코드는 모두 하나의 HTML 파일 안에서 로딩해야만 실행된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src="src/math.js"></script>
    <script src="src/app.js"></script>  
</body>
</html>

math.js가 로딩되면 app.js는 이름 공간에서 'sum'을 찾은 뒤 이 함수를 실행한다. 문제는 'sum'이 전역 공간에 노출된다는 것. 다른 파일에서도 'sum'이란 이름을 사용한다면 충돌한다.



IIFE 방식의 모듈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스코프를 사용한다.

  • 함수 스코프를 만들어 외부에서 안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공간을 격리하는 것이다.

  • 스코프 안에서는 자신만의 이름 공간이 존재하므로 스코프 외부와 이름 충돌을 막을 수 있다.

math.js:


var math = math || {}; // math 네임스페이스

(function () {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math.sum = sum // 네이스페이스에 추가
})()

같은 코드를 즉시실행함수로 감쌌기 때문에 다른 파일에서 이 안으로 접근할 수가 없다.

심지어 같은 파일일지라도 말이다. 자바스크립트 함수 스코프의 특징이다.

'sum'이란 이름은 즉시실행함수 안에 감추어졌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같은 이름을 사용해도 괜찮다. 전역에 등록한 'math'라는 이름 공간만 잘 활용하면 된다.



다양한 모듈 스펙


이러한 방식으로 자바스크립트 모듈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명세가 AMD와 CommonJS다.

CommonJS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모든 환경에서 모듈을 하는 것이 목표다.

  • exports 키워드로 모듈을 만들고 require() 함수로 불러 들이는 방식이다.
  • 대표적으로 서버 사이드 플래폼인 Node.js에서 이를 사용한다.

math.js:


exports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app.js:


const math = require("./math.js")
math.sum(1, 2) // 3

  • AMD(Asynchronous Module Definition)

    • 비동기로 로딩되는 환경에서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목표다. 주로 브라우져 환경이다.
  • UMD(Universal Module Definition)

    • AMD기반으로 CommonJS 방식까지 지원하는 통합 형태다.

이렇게 각 커뮤니티에서 각자의 스펙을 제안하다가 ES2015에서 표준 모듈 시스템을 내 놓았다. 지금은 바벨과 웹팩을 이용해 모듈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S2015 모듈 시스템의 모습을 살펴보자.

math.js:


export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app.js:


import * as math from "./math.js";
//import {sum} from './math.js';

math.sum(1, 2) // 3

export 구문으로 모듈을 만들고 import 구문으로 가져올 수 있다.



브라우저의 모듈 지원


  • 모든 브라우져에서 모듈 시스템을 지원하지는 않는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포함한 몇 몇 브라우져에서는 여전히 모듈을 사용하지 못한다.

index.html:


<script type="module" src="app.js"></script>

  

태그로 로딩할 때 type="text/javascript" 대신 type="module"을 사용한다.
app.js는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npx lite-server

  • 브라우져에 무관하게 모듈을 사용하고 싶은데...... 이제야 웹팩이 나올 차례다.



2. 엔트리/아웃풋


  • 웹팩은 여러개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합쳐주는 번들러(bundler)다.

  • 하나의 시작점(entry point)으로부터 의존적인 모듈을 전부 찾아내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 app.js부터 시작해 math.js 파일을 찾은 뒤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방식이다.

간단히 웹팩으로 번들링 작업을 해보자.

번들 작업을 하는 webpack 패키지와 웹팩 터미널 도구인 webpack-cli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D webpack webpack-cli

설치 완료하면 node_modules/.bin 폴더에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몇 개 생긴다.

  • webpack과 webpack-cli가 있는데 둘 중 하나를 실행하면 된다.



--help 옵션으로 사용 방법을 확인해 보자.


> node_modules/.bin/webpack --help

  --mode                 Enable production optimizations or development hints.
                                     [선택: "development", "production", "none"]
  --entry      The entry point(s) of the compilation.                   [문자열]
  --output, -o                  The output path and file for compilation assets

--mode, --entry, --output-path 세 개 옵션만 사용하면 코드를 묶을 수 있다.

  • --mode웹팩 실행 모드를 의미하는데 개발 버전인 development를 지정한다

  • --entry시작점 경로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 -o, --output-path번들링 결과물을 위치할 경로



> node_modules/.bin/webpack --mode development --entry ./src/app.js -o dist/main.js

  •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dist/main.js에 번들된 결과가 저장된다.

    • 이 코드를 index.html에 로딩하면 번들링 전과 똑같은 결과를 만든다.



index.html:


<script src="dist/main.js"></script>

  • 옵션 중 --config 항목을 보자.

> node_modules/.bin/webpack --help

  --config               Path to the config file
                         [문자열] [기본: webpack.config.js or webpackfile.js]

이 옵션은 웹팩 설정파일의 경로를 지정할 수 있는데 기본 파일명이 webpack.config.js 혹은 webpackfile.js다.

webpack.config.js 파일을 만들어 방금 터미널에서 사용한 옵션을 코드로 구성해 보자.

webpack.config.js: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mode: "development",
  entry: {
    main: "./src/app.js",
  },
  output: {
    filename: "[name].js",
    path: path.resolve("./dist"),
  },
}
  • 터미널에서 사용한 옵션인 mode, entry, ouput을 설정한다.

    • mode는 'development' 문자열을 사용했다.
      entry는 어플리케이션 진입점인 src/app.js로 설정한다.
      ouput에 설정한 '[name]'은 entry에 추가한 main이 문자열로 들어오는 방식이다.

    • output.path는 절대 경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path 모듈의 resolve() 함수를 사용해서 계산했다. (path는 노드 코어 모듈 중 하나로 경로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웹팩 실행을 위한 NPM 커스텀 명령어를 추가한다.

package.json:


{
  "scripts": {
    "build": "./node_modules/.bin/webpack"
  }
}

모든 옵션을 웹팩 설정 파일로 옮겼기 때문에 단순히 webpack 명령어만 실행한다.

이제부터는 npm run build로 웹팩 작업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해보기


  1. webpack, webpack-cli 설치

  2. webpack.config.js 생성

  3. package.json에 build 명령 만들기

  4. 스크립트 로딩

  5. npm run build 로 webpack 실행



3. 로더


웹팩은 모든 파일을 모듈로 바라본다.

자바스크립트로 만든 모듈 뿐만아니라 스타일시트, 이미지, 폰트까지도 전부 모듈로 보기 때문에 import 구문을 사용하면 자바스크립트 코드 안으로 가져올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웹팩의 로더 덕분이다.

로더는 타입스크립트 같은 다른 언어를 자바스크립트 문법으로 변환해 주거나 이미지를 data URL 형식의 문자열로 변환한다.

뿐만아니라 CSS 파일을 자바스크립트에서 직접 로딩할수 있도록 해준다.



커스텀 로더 만들기


my-webpack-loader.js:


module.exports = function myWebpackLoader(content){
    console.log("myWebpackLoader가 동작함");
    return content;
}
  • 함수로 만들수 있는데 로더가 읽은 파일의 내용이 함수 인자 content로 전달된다.

  • 로더가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로그만 찍고 곧장 content를 돌려 준다.


로더를 사용하려면 웹팩 설정파일의 module 객체에 추가한다.


webpack.config.js:


...

module: {
  rules: [{
    test: /\.js$/, // .js 확장자로 끝나는 모든 파일
    use: [path.resolve('./my-webpack-loader.js')] // 방금 만든 로더를 적용한다
  }],
}
  
  • module.rules 배열에 모듈을 추가하는데 testuse로 구성된 객체를 전달한다.

    • test에는 로딩에 적용할 파일을 지정한다.

      • 파일명 뿐만아니라 파일 패턴을 정규표현식으로 지정할수 있는데 위 코드는 .js 확장자를 갖는 모든 파일을 처리하겠다는 의미다.
    • use에는 이 패턴에 해당하는 파일에 적용할 로더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 방금 만든 myWebpackLoader 함수의 경로를 지정한다.

이제 npm run build로 웹팩을 실행해 보자.



<간단한 변환>

my-webpack-loader.js:


module.exports = function myWebpackLoader(content){
    console.log("myloader가 동작함")
    return content.replace("console.log(", "alert(") // console.log( -> alert( 로 치환
}



css-loader


웹팩은 모든것을 모듈로 바라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스타일시트로 import 구문으로 불러 올수 있다.

app.js:


import "./style.css"

style.css:


body {
  background-color: green;
}

CSS 파일을 자바스크립트에서 불러와 사용하려면 CSS를 모듈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css-loader가 그러한 역할을 하는데 우리 코드에서 CSS 파일을 모듈처럼 불러와 사용할 수 있게끔 해준다.

먼저 로더를 설치 하자.

$ npm install -D css-loader

웹팩 설정에 로더를 추가한다.


webpack.config.js:


module.exports = {
  module: {
    rules: [
      {
        test: /\.css$/, // .css 확장자로 끝나는 모든 파일
        use: ["css-loader"], // css-loader를 적용한다
      },
    ],
  },
}



웹팩은 엔트리 포인트부터 시작해서 모듈을 검색하다가 CSS 파일을 찾으면 css-loader로 처리할 것이다. use.loader에 로더 경로를 설정하는 대신 배열에 로더 이름을 문자열로 전달해도 된다.

빌드 한 결과 CSS코드가 자바스크립트로 변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러발생>


웹팩버전은 4인데, css-loader 와 style-loader 는 최신 npm 이 설치되어 webpack 5 만 지원하기 때문에 빌드가 실패



style-loader


모듈로 변경된 스타일 시트는 돔에 추가되어야만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다.

css-loader로 처리하면 자바스크립트 코드로만 변경되었을 뿐 돔에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트일이 적용되지 않았다.

style-loader는 자바스크립트로 변경된 스타일을 동적으로 돔에 추가하는 로더이다.

CSS를 번들링하기 위해서는 css-loader와 style-loader를 함께 사용한다.

먼저 스타일 로더를 다운로드 한다.


$ npm install -D style-loader

그리고 웹팩 설정에 로더를 추가한다.

package.json:


module.exports = {
  module: {
    rules: [
      {
        test: /\.css$/,
        use: ["style-loader", "css-loader"], // style-loader를 앞에 추가한다 
        //배열 뒤에서부터 실행된다!
      },
    ],
  },
}

배열로 설정하면 뒤에서부터 앞으로 순서대로 로더가 동작한다.

위 설정은 모든 .css 확장자로 끝나는 모듈을 읽어 들여 css-loader를 적용하고 그 다음 style-loader를 적용한다.



file-loader


소스코드에서 사용하는 모든 파일을 모듈로 사용하게끔 할 수 있다.

파일을 모듈 형태로 지원하고 웹팩 아웃풋에 파일을 옮겨주는 것이 file-loader가 하는 일이다.

가령 CSS에서 url() 함수에 이미지 파일 경로를 지정할 수 있는데 웹팩은 file-loader를 이용해서 이 파일을 처리한다.


style.css:


body {
  background-image: url(bg.png);
}

배경 이미지를 bg.png 파일로 지정했다.

웹팩은 엔트리 포인트인 app.js가 로딩하는 style.css 파일을 읽을 것이다. 그리고 이 스타일시트는 url() 함수로 bg.png를 사용하는데 이때 로더를 동작시킨다.


webpack.config.js:


module.exports = {
  module: {
    rules: [
      {
        test: /\.png$/, // .png 확장자로 마치는 모든 파일
        loader: "file-loader", // 파일 로더를 적용한다
      },
    ],
  },
}

웹팩이 .png 파일을 발견하면 file-loader를 실행할 것이다. 로더가 동작하고 나면 아웃풋에 설정한 경로로 이미지 파일을 복사된다. 아래 그림처럼 파일명이 해쉬코드로 변경 되었다. 캐쉬 갱신을 위한 처리로 보인다.

하지만 이대로 index.html 파일을 브라우져에 로딩하면 이미지를 제대로 로딩하지 못할 것이다.

CSS를 로딩하면 background-image: url(bg.png) 코드에 의해 동일 폴더에서 이미지를 찾으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웹팩으로 빌드한 이미지 파일은 output인 dist 폴더 아래로 이동했기 때문에 이미지 로딩에 실패할 것이다.

file-loader 옵션을 조정해서 경로를 바로 잡아 주어야 한다.


module.exports = {
  module: {
    rules: [
      {
        test: /\.png$/, // .png 확장자로 마치는 모든 파일
        loader: "file-loader",
        options: {
          publicPath: "./dist/", // prefix를 아웃풋 경로로 지정
          name: "[name].[ext]?[hash]", // 파일명 형식
        },
      },
    ],
  },
}
  • publicPath 옵션은 file-loader가 처리하는 파일을 모듈로 사용할 때 경로 앞에 추가되는 문자열이다.

    • output에 설정한 'dist' 폴더에 이미지 파일을 옮길 것이므로 publicPath 값을 이것으로 지정했다.

      • 파일을 사용하는 측에서는 'bg.png'를 'dist/bg.png'로 변경하여 사용할 것이다.
  • name 옵션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로더가 파일을 아웃풋에 복사할때 사용하는 파일 이름이다.

    • 기본적으로 설정된 해쉬값을 쿼리스트링으로 옮겨서 'bg.png?6453a9c65953c5c28aa2130dd437bbde' 형식으로 파일을 요청하도록 변경했다.



url-loader


사용하는 이미지 갯수가 많다면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부담이 있고 사이트 성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만약 한 페이지에서 작은 이미지를 여러 개 사용한다면 Data URI Scheme을 이용하는 방법이 더 나은 경우도 있다. 이미지를 Base64로 인코딩하여 문자열 형태로 소스코드에 넣는 형식이다.

url-loader는 이러한 처리를 자동화해주는 녀석이다.

먼저 로더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D url-loader

그리고 웹팩 설정을 추가한다.


webpack.config.js:


{
  test: /\.(png|jpg|gif|svg)$/,
  use: {
    loader: 'url-loader', // url 로더를 설정한다
    options: {
      publicPath: './dist/', // file-loader와 동일
      name: '[name].[ext]?[hash]', // file-loader와 동일
      limit: 5000 // 5kb 미만 파일만 data url로 처리
    }
  }
}

file-loader와 옵션 설정이 거의 비슷하고 마지막 limit 속성만 추가했다.

  • 모듈로 사용한 파일중 크기가 5kb 미만인 파일만 url-loader를 적용하는 설정이다.

  • 만약 이보다 크면 file-loader가 처리하는데 옵션 중 fallback 기본값이 file-loader이기 때문이다.

    • 빌드 결과를 보면 small.png 파일이 문자열로 변경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반면 5kb 이상인 bg.png는 여전히 파일로 존재한다.

아이콘처럼 용량이 작거나 사용 빈도가 높은 이미지는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Data URI Scheme을 적용하기 위해 url-loader를 사용하면 좋겠다.

Data URI Scheme

  • Data URIs(Data URI scheme)란 data: 스킴이 접두어로 붙은 URI.
  • 작은 파일을 문서 내에 인라인으로 임베드하기 위한 URI 스킴이다.
    • 주로 아이콘 등의 작은 이미지 파일에 사용된다.



사용해보기


  1. style-loader, css-loader 설치

  2. webpack.config.js 수정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mode: 'development',
  entry: {
    main: './src/app.js'
  },
  output: {
    filename: '[name].js',
    path: path.resolve('./dist'),
  },
  module:{
    rules:[
      {
        test: /\.css$/,
        use: ['style-loader', 'css-loader']
      }
    ]
  }
}

  1. import './main.css';
  1. 자바스크립트에 이미지 넣기

  2. file-loader / image-loader 설치

  3. webpack.config.js 수정


       ,
      {
        test: /\.(jpg|png)$/,
        loader: 'file-loader',
        options: {
          name: '[name].[ext]?[hash]',
          publicPath: './dist'
        }
  1. npm run build



4. 플러그인


로더가 파일 단위로 처리하는 반면 플러그인은 번들된 결과물을 처리한다.

번들된 자바스크립트를 난독화 한다거나 특정 텍스트를 추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커스텀 플러그인 만들기


myplugin.js:


class MyPlugin {
  apply(compiler) {
    compiler.hooks.done.tap("My Plugin", stats => {
      console.log("MyPlugin: done")
    })
  }
}


module.exports = MyPlugin
  • 로더와 다르게 플러그인은 클래스로 제작한다.

  • apply 함수를 구현하면 되는데 이 코드에서는 인자로 받은 compiler 객체 안에 있는 tap() 함수를 사용하는 코드다.

  • 플러그인 작업이 완료되는(done) 시점에 로그를 찍는 코드


플러그인을 웹팩 설정에 추가한다.


webpack.config.js:


const MyPlugin = require("./myplugin")

module.exports = {
  plugins: [new MyPlugin()],
}

  • 웹팩 설정 객체의 plugins 배열에 설정한다.

    • 클래스로 제공되는 플러그인의 생성자 함수를 실행해서 넘기는 방식이다.
  • 모듈이 파일 하나 혹은 여러 개에 대해 동작하는 반면 플러그인은 하나로 번들링된 결과물을 대상으로 동작 한다.

    • 우리 예제에서는 main.js로 결과물이 하나이기 때문에 플러그인이 한 번만 동작한 것



그러면 어떻게 번들 결과에 접근할 수 있을까?

웹팩 내장 플러그인 BannerPlugin 코드를 참고하자.


myplugin.js:


class MyPlugin {
  apply(compiler) {
    compiler.hooks.done.tap("My Plugin", stats => {
      console.log("MyPlugin: done")
    })

    // compiler.plugin() 함수로 후처리한다
    compiler.plugin("emit", (compilation, callback) => {
      const source = compilation.assets["main.js"].source()
      console.log(source)
      callback()
    })
  }
}


  • compiler.plugin() 함수의 두번재 인자 콜백함수는 emit 이벤트가 발생하면 실행되는 녀석인 모양이다.

  • 번들된 결과가 compilation 객체에 들어 있는데 compilation.assets['main.js'].source() 함수로 접근할 수 있다.

    • 실행하면 터미널에 번들링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걸 이용해서 번들 결과 상단에 아래와 같은 배너를 추가하는 플러그인으로 만들어 보자.


myplugin.js:


class MyPlugin {
  apply(compiler) {
    compiler.plugin('emit', (compilation, callback) => {
      const source = compilation.assets['main.js'].source(); //main.js 내용 가져오기
      compilation.assets['main.js'].source = () => {
        const banner = [
          '/**',
          ' * 이것은 BannerPlugin이 처리한 결과입니다.',
          ' * Build Date: 2019-10-10',
          ' */'
          ''
        ].join('\n');
        return banner + '\n' + source; //주석을 합친 것
      }

      callback();
    })
  }
}

번들 소스를 얻어오는 함수 source()를 재정의 했다.

  • 배너 문자열과 기존 소스 코드를 합친 문자열을 반환



개발하면서 플러그인을 직접 작성할 일은 거의 없었다.

웹팩에서 직접 제공하는 플러그인을 사용하거나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찾아 사용하는데 자주 사용하는 플러그인에 대해 알아보자.



BannerPlugin


MyPlugin와 비슷한 것이 BannerPlugin이다. 결과물에 빌드 정보나 커밋 버전같은 걸 추가할 수 있다.

webpack.config.js: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module.exports = {
  plugins: [
    new webpack.BannerPlugin({
      banner: '이것은 배너 입니다',
    })
  ]
  
  • 생성자 함수에 전달하는 옵션 객체의 banner 속성에 문자열을 전달한다.

    • 웹팩 컴파일 타임에 얻을 수 있는 정보, 가령 빌드 시간이나 커밋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함수로 전달할 수도 있다.


new webpack.BannerPlugin({
  banner: () => `빌드 날짜: ${new Date().toLocaleString()}`,
})

toLacaleString()
:사용자의 문화권에 맞는 시간표기법으로 년,월,일 시간을 리턴

day = new Date(1980,0,3,1,28,35)
alert(day.toLocaleDateString()); // 1980년 1월 3일 목요일
alert(day.toLocaleTimeString()); // 오전 1:28:35
alert(day.toLocaleString()); // 1980년 1월 3일 목요일 오전 1:28:35

참고


배너 정보가 많다면 별로 파일로 분리하자.


const banner = require("./banner.js")

new webpack.BannerPlugin(banner)

빌드 날짜 외에서 커밋 해쉬와 빌드한 유저 정보까지 추가해 보자.


banner.js:



const childProcess = require("child_process") //터미널 명령 실행

module.exports = function banner() {
  
  const commit = childProcess.execSync("git rev-parse --short HEAD")
  const user = childProcess.execSync("git config user.name")
  const date = new Date().toLocaleString()

  return (
    `commitVersion: ${commit}` + `Build Date: ${date}\n` + `Author: ${user}`
  )
}



DefinePlugin


어플리케이션은 개발환경과 운영환경으로 나눠서 운영한다.

가령 환경에 따라 API 서버 주소가 다를 수 있다.

같은 소스 코드를 두 환경에 배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환경 의존적인 정보를 소스가 아닌 곳에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 배포할 때마다 코드를 수정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이다.

웹팩은 이러한 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DefinePlugin을 제공한다.


webpack.config.js :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export default {
  plugins: [new webpack.DefinePlugin({})],
}

  • 빈 객체를 전달해도 기본적으로 넣어주는 값이 있다.

    • 노드 환경정보인 process.env.NODEENV 인데 웹팩 설정의 mode에 설정한 값이 여기에 들어간다.

    • "development"를 설정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코드에서 process.env.NODEENV 변수로 접근하면 "development" 값을 얻을 수 있다.


app.js:



console.log(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 이 외에도 웹팩 컴파일 시간에 결정되는 값을 전역 상수 문자열로 어플리케이션에 주입할 수 있다.


new webpack.DefinePlugin({
  TWO: "1+1", //2
})

  • TWO라는 전역 변수에 1+1 이란 코드 조각을 넣었다.

    • 실제 어플리케이션 코드에서 이것을 출력해보면 2가 나올 것이다.

app.js:



console.log(TWO) // 2

코드가 아닌 값을 입력하려면 문자열화 한 뒤 넘긴다.



new webpack.DefinePlugin({
  VERSION: JSON.stringify("v.1.2.3"),
  PRODUCTION: JSON.stringify(false),
  MAX_COUNT: JSON.stringify(999),
  "api.domain": JSON.stringify("http://dev.api.domain.com"), //객체도 지원
})

app.js:



console.log(VERSION) // 'v.1.2.3'
console.log(PRODUCTION) // true
console.log(MAX_COUNT) // 999
console.log(api.domain) // 'http://dev.api.domain.com'

빌드 타임에 결정된 값을 어플리이션에 전달할 때는 이 플러그인을 사용



HtmlWebpackPlugin


이번엔 써드 파티 패키지에 대해 알아보자.

HtmlWebpackPlugin은 HTML 파일을 후처리하는데 사용한다.

  • 빌드 타임의 값을 넣거나 코드를 압축할수 있다.

먼저 패키지를 다운로드 한다.


$ npm install -D html-webpack-plugin

이 플러그인으로 빌드하면 HTML파일로 아웃풋에 생성될 것이다.

index.html 파일을 src/index.html로 옮긴뒤 다음과 같이 작성해 보자.


src/index.html:



<!DOCTYPE html>
<html>
  <head>
    <title>타이틀<%= env %></title>
  </head>
  <body>
    <!-- 로딩 스크립트 제거 -->
    <!-- <script src="dist/main.js"></script> -->
  </body>
</html>

  • 타이틀 부분에 ejs 문법을 이용하는데 <%= env %> 는 전달받은 env 변수 값을 출력한다.

    • HtmlWebpackPlugin은 이 변수에 데이터를 주입시켜 동적으로 HTML 코드를 생성한다.

  • 웹팩으로 빌드한 결과물을 자동으로 로딩하는 코드를 주입해 준다.

    • 때문에 스크립트 로딩 코드도 제거했다.

webpack.config.js:



const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module.exports {
  plugins: [
    new HtmlWebpackPlugin({
      template: './src/index.html', // 템플릿 경로를 지정
      templateParameters: { // 템플릿에 주입할 파라매터 변수 지정
        env: 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 '(개발용)' : '',
      },
    })
  ]
}


  • 환경 변수에 따라 타이틀 명 뒤에 "(개발용)" 문자열을 붙이거나 떼거나 하도록 했다.

    • NODEENV=development 로 설정해서 빌드하면 빌드결과 "타이틀(개발용)"으로 나온다.

    • NODEENV=production 으로 설정해서 빌드하면 빌드결과 "타이틀"로 나온다.


🛑 확인은 dist/index.html로


개발 환경과 달리 운영 환경에서는 파일을 압축하고 불필요한 주석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webpack.config.js:


new HtmlWebpackPlugin({
  minify: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
    collapseWhitespace: true, // 빈칸 제거
    removeComments: true, // 주석 제거
  } : false,
}
                      
                      
                      

(문서에는 minifiy 옵션이 웹팩 버전 3 기준으로 되어 있다)

  • 환경변수에 따라 minify 옵션을 켰다. NODE_ENV=production npm run build로 빌드하면 아래처럼 코드가 압축된다. 물론 주석도 제거 되었다.

정적파일을 배포하면 즉각 브라우저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브라우저 캐쉬가 원인일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한 예방 옵션도 있다.


webpack.config.js:



new HtmlWebpackPlugin({
  hash: true, // 정적 파일을 불러올때 쿼리문자열에 웹팩 해쉬값을 추가한다
})

  • hash: true 옵션을 추가하면 빌드할 시 생성하는 해쉬값을 정적파일 로딩 주소의 쿼리 문자열로 붙여서 HTML을 생성한다.



CleanWebpackPlugin


CleanWebpackPlugin은 빌드 이전 결과물을 제거하는 플러그인이다.

빌드 결과물은 아웃풋 경로에 모이는데 과거 파일이 남아 있을수 있다.

  • 이전 빌드내용이 덮여 씌여지면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으면 아웃풋 폴더에 여전히 남아 있을 수 있다.

  • 임시로 아웃풋 폴더에 foo.js 파일을 만든 후 다시 빌드해 보면 파일이 남아 있다.

이러한 현상을 CleanWebpackPlugin으로 해결해 보자. 먼저 패키지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D clean-webpack-plugin

웹팩 설정을 추가한다.

webpack.config.js:


//다른 서드파티와는 다르게 {}로 감싸주어야한다. 
//Default로 export되어있지 않기 때문
const { CleanWebpackPlugin } = require("clean-webpack-plugin") 


module.exports = {
  plugins: [new CleanWebpackPlugin()],
}

  • 빌드 결과 foo.js가 깨끗히 사라졌다.

    • 아웃풋 폴더인 dist 폴더가 모두 삭제된후 결과물이 생성되었기 때문



MiniCssExtractPlugin


스타일시트가 점점 많아지면 하나의 자바스크립트 결과물로 만드는 것이 부담일 수 있다.

번들 결과에서 스트일시트 코드만 뽑아서 별도의 CSS 파일로 만들어 역할에 따라 파일을 분리하는 것이 좋다.

브라우저에서 큰 파일 하나를 내려받는 것 보다, 여러 개의 작은 파일을 동시에 다운로드하는 것이 더 빠르다.

개발 환경에서는 CSS를 하나의 모듈로 처리해도 상관없지만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분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MiniCssExtractPlugin은 CSS 별로 파일로 뽑아내는 플러그인이다.


먼저 패키지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D mini-css-extract-plugin

웹팩 설정을 추가한다.


webpack.config.js:


const MiniCssExtractPlugin = require("mini-css-extract-plugin")

module.exports = {
  plugins: [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new MiniCssExtractPlugin({ filename: `[name].css` })]
      : []),
  ],
}
  • 프로덕션 환경일 경우만 이 플러그인을 추가했다.

    • filename에 설정한 값으로 아웃풋 경로에 CSS 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 개발 환경에서는 css-loader에 의해 자바스크립트 모듈로 변경된 스타일시트를 적용하기위해 style-loader를 사용했다.

    • 반면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별도의 CSS 파일으로 추출하는 플러그인을 적용했으므로 다른 로더가 필요하다.


module.exports = {
  module: {
    rules: [
      {
        test: /\.css$/,
        use: [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 MiniCssExtractPlugin.loader // 프로덕션 환경
            : "style-loader", // 개발 환경
          "css-loader",
        ],
      },
    ],
  },
}

  • 플러그인에서 제공하는 MiniCssExtractPlugin.loader 로더를 추가한다.

NODE_ENV=production npm run build로 결과를 확인해보자.

dist/main.css가 생성되었고 index.html에 이 파일을 로딩하는 코드가 추가되었다.



사용해보기


   * TODO: 아래 플러그인을 추가해서 번들 결과를 만들어 보세요.
   * 1. BannerPlugin: 결과물에 빌드 시간을 출력하세요.
   * 2. HtmlWebpackPlugin: 동적으로 html 파일을 생성하세요.
   * 3. CleanWebpackPlugin: 빌드 전에 아웃풋 폴더를 깨끗히 정리하세요.
   * 4. MiniCssExtractPlugin: 모듈에서 css 파일을 분리하세요.

  1. webpack.config.js 수정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plugins: [
		new webpack.BannerPlugin({
			banner: `Build Time: ${new Date().toLocaleDateString()}`,
		}),
	],
  1. npm run build로 확인
// dist/main.js 

/*! Build Time: 2021. 8. 23. */
  1. HtmlWebpackPlugin 설치

//여기선 v3.2.0
npm install html-webpack-plugin@3
  1. webpack.config.js 수정
const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plugins: [
		new webpack.BannerPlugin({
			banner: `Build Time: ${new Date().toLocaleDateString()}`,
		}),
		new HtmlWebpackPlugin({
			template: './src/index.html',
		}),
	],



  1. index.html 수정
    <!-- TODO: HtmlWebpackPlugin에서 빌드 환경을 주입하도록 웹팩을 구성하세요 -->
    <title>검색 <%= env %></title>
  1. webpack.config.js 수정
plugins: [
		new webpack.BannerPlugin({
			banner: `Build Time: ${new Date().toLocaleDateString()}`,
		}),
		new HtmlWebpackPlugin({
			template: './src/index.html',
      templateParameters: {
        env: process.env.NODE_ENV === 'development' ? '(개발용)' : ''
      }
		}),
	],

에러발생

  1. NODE_ENV=development npm run build로 확인

//dist/index.html

<title>검색(개발용)</title>
  1. CleanWebpackPlugin 설치

npm install clean-webpack-plugin@3
  1. webpack.config.js 수정

const { CleanWebpackPlugin } = require('clean-webpack-plugin');

new CleanWebpackPlugin()
  1. dist 폴더에 아무거나 생성 후 다시 빌드해서 확인
  1. MiniCssExtractPlugin 설치
npm install mini-css-extract-plugin@0.9.0
  1. webpack.config.js 수정

const MiniCssExtractPlugin = require('mini-css-extract-plugin');

    rules: [
                {    
                   test: /\.css$/,

                    use: [config.mode === 'production' 
                     ? MiniCssExtractPlugin.loader : 'style-loader', 
                     'css-loader',
                },
                {
                    test: /\.(png|jpg|gif|svg)$/,

                    loader: 'url-loader',

                    options: {
                        name: '[name].[ext]?[hash]',

                        limit: 20000, //20kb
                    },                 
                 },
             ],
             
             
             ...

...(process.env.NODE_ENV === 'prodection') 
    ? new MiniCssExtractPlugin({filename: '[name].css'})
    : []
    )



🔴 Windows 10


//webpack.config.j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const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const { CleanWebpackPlugin } = require('clean-webpack-plugin');

const MiniCssExtractPlugin = require('mini-css-extract-plugin');

module.exports = (env, options) => {
	const mode = options.mode || 'development';

	const config = {
		mode,

		entry: {
			main: './src/app.js',
		},

		output: {
			path: path.resolve('./dist'),

			filename: '[name].js',
		},

		module: {
			rules: [
				{
					test: /\.(png|jpg|gif|svg)$/,

					loader: 'url-loader',

					options: {
						name: '[name].[ext]?[hash]',

						limit: 20000, //20kb
					},
				},
			],
		},

		plugins: [
			new webpack.BannerPlugin({
				banner: `

          Build Date: ${new Date().toLocaleString()}

        `,
			}),

			new webpack.DefinePlugin({}),

			new CleanWebpackPlugin({}),
		],
	};

	const css_loader = {
		test: /\.css$/,

		use: [config.mode === 'production' ? MiniCssExtractPlugin.loader : 'style-loader', 'css-loader'],
	};

	config.module.rules.push(css_loader);

	const html_webpack_plugin = new HtmlWebpackPlugin({
		template: './src/index.html',

		templateParameters: {
			env: config.mode === 'development' ? '(개발용)' : '',
		},

		minify:
			config.mode === 'production'
				? {
						collapseWhitespace: true,

						removeComments: true,
				  }
				: false,
	});

	config.plugins.push(html_webpack_plugin);

	if (config.mode == 'production') {
		config.plugins.push(new MiniCssExtractPlugin({ filename: '[name].css' }));
	}

	return config;
};

profile
Studying Computer Scienc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