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내용
순차 탐색이란
- 가장 기본적인 탐색 방법이다.
-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는 방법.
- 보통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에서 데이터를 찾아야 할 때 사용한다.
- 리스트 내에 데이터가 아무리 많아도 시간만 충분하다면 항상 원하느 원소(data)를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순차탐색은 이름처럼 순차로 데이터를 탐색한다는 의미이다.
- count() 내장함수에서도 순차 탐색이 수행된다.
- 데이터의 개수가 N개일 때, 최대 N번의 비교 연산이 필요하므로 최악의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이다.
순차 탐색 소스코드
def sequential_search(n, target, array):
for i in range(n):
if array[i] == target:
return i + 1
print("생성할 원소 개수를 입력한 다음 한 칸 띄고 찾을 문자열을 입력하세요.")
input_data = input().split()
n = int(input_data[0])
target = input_data[1]
print("앞서 적은 원소 개수만큼 문자열을 입력하세요. 구분은 띄어쓰기 한 칸으로 합니다.")
array = input().split()
print(sequential_search(n, target, array))
출처 & 깃허브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gith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