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의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을 듣고 해당 내용을 정리한 포스트 입니다.
강의 바로가기
BeanFactory
-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다.
-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getBean()을 제공한다.
ApplicationContext
- BeanFactory의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한다.
- ApplicationContext가 제공하는 부가 기능
![](https://velog.velcdn.com/images%2Fcountryyoon%2Fpost%2F7b832085-c044-4c35-b034-b0a67c6b23c9%2Fimage.png)
- 메세지 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 한국에서 들어오면 한국어로, 영어권에서 들어오면 영어로 출력
- 환경 변수
-> 로컬, 개발, 운영 등을 구분해서 처리 (일하면서 제일 공감갔던 부분 ㅎ)
-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 이벤트를 발행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게 지원
- 편리한 리소스 조회
-> 파일, 클래스패스, 외부 등에서 리소스를 편리하게 조회
정리
-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기능을 상속받는다.
- ApplicationContext는 빈 관리기능 + 편리한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 BeanFactory를 직접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 부가기능이 포함된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 BeanFactory나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다양한 설정 형식 지원 - 자바코드, XML
![](https://velog.velcdn.com/images%2Fcountryyoon%2Fpost%2Fba624682-7cb1-4e11-9f1d-ff124c2eaa5e%2F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