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불린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장점
경량 컨테이너
IoC(Invertion of Control: 제어 역행)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기능이 많은만큼 환경설정이 복잡한 편이다. 이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들을 위해 나온 것이 바로 스프링 부트다.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의 많은 부분을 자동화하여 사용자가 정말 편하게 스프링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프링 부트 starter 디펜던시만 추가해주면 바로 API를 정의하고, 내장된 탐캣이나 제티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실행할 수 있다. 심지어 스프링 홈페이지의 이니셜라이저를 사용하면 바로 실행 가능한 코드를 만들어준다. 실행환경이나 의존성 관리 등의 인프라 관련 등은 신경쓸 필요 없이 바로 코딩을 시작하면 된다. 그리고 바로 그것이 스프링의 키 포인트이다.
Spring Boot는 Spring framework와 몇 가지면에서 차이가 있다.
앞서 spring boot의 장점 중에 starter를 통한 dependency 자동화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starter란 무엇일까?
starter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존성 그룹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starter는 마치 npm처럼 간편하게 dependency를 제공해주는데, 만약 우리가 JPA가 필요하다면 prom.xml(메이븐)이나 build.gradle(그레이들)에 'spring-boot-starter-data-jpa'만 추가해주면 spring boot가 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알아서 받아온다.
spring-boot-starter-*
starter의 명명 규칙은 위와 같다. JPA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부분에 원하는 스타터명을 명시하면 된다. 명명 규칙을 알면 손쉽게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import 할 수 있다.
정리가 잘 된 글 잘봤습니다~!
혹시 차이점 - 3)에서 XML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셨는데
maven 프로젝트가 아닌 gradle을 사용했기 때문일까요?
SpringBoot에서도 maven을 사용할 수 있어서 XML 설정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생각돼서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