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내용은 책에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7장 ----
AWS에서는 모니터링, 알람, 백업, HA 구성 등의 작업을 모두 지원하는 관리형 서비스인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를 제공한다.
RDS는 클라우드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이다.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이 잦은 운영 작업을 자동화하여 개발자가 개발에 집중할수 있게 지원한다.
MariaDB 장점
1. 동일 하드웨어 사양으로 mysql보다 향상된 성능
2. 좀 더 활성화된 커뮤니티
3. 다양한 기능
4.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
데이터 베이스 표준 생성 -> mariadb 10.2.21 -> 프리 티어 -> 할당된 스토리지 20
DB 인스턴스 식별자 : db 인스턴스 이름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 : 여기서 사용된 사용자 정보로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해야 하니 잘 작성해야한다.
네트워크에선 퍼블릭 액세스 가능 -> 예 -> 이후에 보안 그룹에서 지정된 ip만 접근하도록 막을 것이다.
완료이다.
타임존
Character Set
Max Connection
파라미터 그룹 -> 파라미터 그룹 생성 -> 파라미터 그룹 패밀리 : 방금 생성한 db버전과 같은 버전을해야한다.
그룹이름이랑 설명은 그냥 instance이름과 같게 해도 무방
생성완료 후 파라미터 편집
Asia/Seoul 로 바꾸기
총 6개이다.
utf8mb4 로 바꾸기 (utf8과의 차이점은 이모지 저장 가능 여부이다.)
총2개이다.
utf8mb4_general_ci 로 바꾸기
인스턴스 사양에 따라 자동으로 정해진다. 넉넉하게 150개정도로 한다.
그후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하고 수정하기.
DB 파라미터 그룹을 default->방금 만든 파라미터그룹과 매핑하고 수정
반영이 안되는 경우는 재부팅까지 한다.
책을 보고 진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