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문 (while)

일반적으로 for문을 통해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let cars = ["BMW", "BENZ", "FERRARI"];

let i = 0;
while(cars[i]){
    console.log(cars[i]);
    i++;
};

문자의 반복처리

let txt = "HELLO";
for(let letter of txt){
	console.log(letter);
}
// H, E, L, L, O 각각 분리해서 출력한다.

function (함수)

자주 사용하는 실행 코드를 블록 단위로 묶어서 패키징 해놓은 형태

자주쓰는 코드들을 기능단위로 재사용하기 위함

  • 함수정의: 미리 function 키워드를 통해 자주 사용하는 코드들을 묶어서 정의하는 행위

  • 함수호출: 정의되어 있는 함수를 호출을 해 기능을 실행

함수의 종류

  • 선언적 함수
    함수에 미리 이름을 붙여서 정의 해놓은 형태, JavaScript 파일을 읽을 때 선언적 함수를 우선적으로 읽는다. 선언적 함수는 호출 위치가 자유롭다.
  • 익명함수
    함수에 이름이 없이 정의하는 형태이다. 익명함수 자체만으로는 호출이 불가능하다. 변수에 익명함수를 대입하거나(대입형) 특정 이벤트 객체에 대입하는 식으로 호출 가능하다.

  • 대입형함수
    변수에 익명함수가 대입된 형태

  • 즉시실행함수
    함수가 자기 자신을 정의하자마자 바로 자신을 호출하는 형태

function plus() {
	let num1 = 2;
    let num2 = 3;
    console.log(num1 + num2);
}

plus(); // 5출력!

ex) 대입형 함수
대입형 함수는 호출의 위치가 자유롭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let minus = function() {
	let num1 = 2;
    let num2 = 3;
    console.log(num1 - num2);
}

minus();
// -1 출력

ex) 즉시 실행 함수
자기 자신을 저장하자마자 실행하는 함수
즉시 실행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hoisting-!

(function(){
    let num1 = 2;
    let num2 = 3;
    console.log(num1 + num2);
})();
// 특별한 명령어 없이 5라는 값을 바로 반환

함수 매개변수 (parameter)

함수 외부에서 함수 내부로 특정값을 전달하기 위한 통로 이름

인수 (argument)

함수를 호출 할 때 파라미터를 통해서 전달되는 값

반환 값 (return)

함수 내부에서 만들어진 값을 함수 호출 시 외부로 반환
함수구문 실행도중 특정시점에서 강제로 코드를 실행 중단 될 때

ex) 선언적 함수

function plus(num1, num2){
    let result = num1 + num2;
    console.log(result); 
    return result;
}

plus(3, 5); // 8이라는 값을 출력한다. 

let total = plus(4,5);
console.log(total);

위에 num1, num2를 매개변수라 얘기하고, 3,5를 인수라고 얘기한다. return 키워드를 붙여 total과 같이 반환한다며, 반환 값이라고 얘기한다.


화살표 함수

기존의 익명함수를 쓰기 편하게 축약한 형태

  • 내부로 전달되는 파라미터가 하나라면 괄호는 생략이 가능하다.
const plus = (num1, num2) => {
    let result = num1 + num2;
    return result;
}
const abc = txt => {
	console.log(txt);
};

abc("hello"); // hello 출력

profile
메일은 매일 확인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부분이나 틀린 부분에 대한 지적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편하게 연락 부탁드려요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