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란? > 데이터란? 문자, 숫자, 소리, 그림, 영상 등 실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값입니다. 데이터는 분석하고 정리하여 활용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목적에 따라 형태를 구분하고, 분류하여 사용합니다. 필요에 따라 데이터의 특징을 잘 파악(분석)하여 정리하고, 활용해야 합니다.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 없이 저장하거나, 하나의 구조로만 정리하고 활용하는 것보다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저장해두는 게, 데이터를 활용할 때 유리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자료구조 Stack Queue Tree Graph 특정 상황에 놓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많은 자료구조를 알아두면, 어떤 상황이 닥쳤을 때 적합한 자료구조를 빠르고 정확하게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Stack 쌓다, 쌓이다, 포개지다 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순서대로 쌓는 자료구조입니다. 가장 먼저 들
Graph 일반적으로 수학에서 얘기하는 그래프가 아니라 복잡한 네트워크망을 그래프라고 합니다. 여러개의 점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표현한 자료구조입니다.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경우 두 점 사이를 이어주는 선이 있습니다. Graph 실사용 예 포털 사이트의 검색 엔진, SNS에서 사람들과의 관계, 네비게이션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가 Graph 입니다. 세 가지 모두 수많은 정점을 가지고 있고, 관계가 있는 정점은 간선으로 이어집니다. 간선: 연결된 두 개의 정점에서 데이터가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데이터가 서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 관계가 없다고 표현합니다. ex) 코드 위 코드를 통해 네비게이션이 서울 부산 경로를 출력할 수 있고, 부산 서울도 경로를 출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수백 만 개의 데이터를 추가해 간선을 통해 거리, 시간등을 표기할 수 있고 일반 네비게이션의 자료구조와 유사해집니다.)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