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사용 기술/데이터
저평가 섹터 구하기
섹터별 퍼포먼스 비교
![](https://velog.velcdn.com/images%2Fcrescent702%2Fpost%2F7e86c2f9-2b3b-4ab3-b3c1-f87505004efd%2F89DFC8B9-9AD4-4578-81B2-7C4B3EC8C470.png)
- 위 그래프는 미국 섹터별 1개월~1년 사이의 퍼포먼스를 나타냄(기준일: 21/02/16)
- 여기에 대조군으로 사용할
S&P500
과 Russel1000
의 평균 퍼포먼스도 함께 표시
- 3개월동안 퍼포먼스가 높았던 순으로 보면(주황색), 아직도 코로나 이전의 실적을 내지 못하는
에너지 섹터
의 주가가 많이 상승한것을 볼 수 있으며, 그 뒤를 금융섹터
가 잇고있다.
- 그래서 S&P500보다 얼마나 더 성장했는데? 라고 물으면 위 그래프로는 보기 어려우니, S&P500을 0으로 잡고, S&P500보다 몇배 더 잘했나/못했나로 그래프를 다시 그려본다.
S&P500 기준으로 리밸런싱
![](https://velog.velcdn.com/images%2Fcrescent702%2Fpost%2F41f79508-8355-4d92-9b17-a72a7383b4d4%2F9B381E5D-78DF-4AA9-B2C2-A5834EE9CDF7.png)
✔︎ S&P500는 3개월동안 '10.11%' 상승한 퍼포먼스를 보였음
- 그래프를 다시 그려보니 비교가 쉽다. 3개월동안, S&P500전체보다 에너지는 2.3배, 금융은 0.7배만큼 추가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그리고 이들은 1년 수익률에 비하면 S&P500보다 아직 부족한 성장률로, 추가 성장여지가 있다고 판단했다
단, 이들 섹터가 코로나 이전에도 S&P500 성장률보다 하회했다면, 이 가정은 성립하지 않는다.
- 결론적으로 에너지 섹터는 아직 리스크와 변수가 많은 관계로, 금리와 관계가 깊은 금융주 내에서 가치주를 찾는것이 괜찮은 선택이라고 보았다.
Top-Down 종목찾기
1. 금융 섹터를 대표하는 XLF ETF에 속한 종목 선정(65개)
2. Industry(산업)별 구분
![](https://velog.velcdn.com/images%2Fcrescent702%2Fpost%2F8f51ffff-6cda-46ae-abc0-845a67009064%2F2C3DCA1A-24A6-4B47-80FA-390AF3BE0465.png)
65개 항목은 아래 '5개의 산업' 으로 나뉠 수 있었고, 이 중에서 친숙한 'Banks' 산업의 주식중에서 저평가 종목을 찾기로, 범위를 좁힘
'은행주'는 아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 18종목
✔︎ P/B의 중앙값은 1.2
✔︎ P/E의 중앙값은 18.7
✔︎ ROE의 중앙값은 6.6
3. ROE 6.6이하 제거
![](https://velog.velcdn.com/images%2Fcrescent702%2Fpost%2Fb81a033b-5e01-4cee-926c-63adc139dbb6%2FE4BDE996-F847-4F90-B1FD-D7D63DC6415E.png)
* ROE 중앙값인 6.6보다 작은 주식은 모두 제외함
4. 매출 10억달러 미만 제거
5. P/E와 ROE 를 함께 확인
![](https://velog.velcdn.com/images%2Fcrescent702%2Fpost%2F4d9317f9-d68d-4aaa-b7e4-e6738cf90e2f%2F6187CEB5-1EE6-4C50-853F-B628086D23F2.png)
- 대표 대형주인 JPM을 기준으로 P/E 대비 ROE가 더 높은 항목 확인
JPM, MTB, USB, SIVB 4개 종목이 괜찮은 ROE를 가졌지만, 비싸지 않은것으로 보이기에 이를 종목분석한다
최종 선정된 종목의 퍼포먼스
![](https://velog.velcdn.com/images%2Fcrescent702%2Fpost%2F5a4ba18e-1040-45d6-bae9-fc5578e1129c%2FB6B82850-5E5D-42A5-857F-BD0946DCA3E2.png)
- 간단히 살펴본 결과, SIVB는 저평가라고 하기엔 이미 주식이 오른상태 ☹️
- USB, MTB의 경우 오랜시간 SPY보다 낮은 퍼포먼스를 보였기에,
싸다
라기보단 가치가 낮은 종목이었다.
- 스크리닝의 개선포인트를 찾아야 함 (아래 예시) 🔥
* 과거 섹터 전환이 왔을때, 'SPY'보다 좋은 퍼포먼스를 냈었는지?
* 현재의 '배당률'이 과거보다 높은편인지?(높다면, 가격이 싼 상태일수 있기떄문에)
* '배당 성장률'이 꾸준했는지?(재무건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