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계층: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네트워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인 계층 (모뎀, 허브 등등)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DataLink Layer)
Point to Point(1홉) 통신을 담당하는 계층
데이터 전송 오류를 감지
(1홉: 네트워크에서 거리를 재는 단위, 라우터를 한번 지나면 1홉)
3계층: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2홉 이상의 통신을 담당하는 계층.
데이터가 이동 할 수 있는 최적 경로를 탐색
4계층: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End to End 통신을 담당하는 계층.
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EC2, TCP, UDP 등등)
5계층: 세션 계층 (Session Layer)
네트워크상 양쪽의 연결을 관리하고 연결을 지속시켜주는 계층.
6계층: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전달받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변환(복호화) 하거나, 전달해야 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계층
UTF-8, ASCII
7계층: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사용자가 네트워크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계층. 말하자면 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