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28파이썬에서 스택은 리스트를 활용하자!command = sys.stdin.readline().split()에서 command는 따로 명시 안 해줘도 자동으로 리스트 자료형이 된다.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9093 💻 Code dataj] = data[j [::-1] 은 파이썬에서 슬라이싱을 활용하여 문자열을 거꾸로 출력하는 방법이다. print(*data) *리스트명 : 리스트가 구분없이 일렬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9012( , ) 개수가 서로 같아야 한다.( 나온 후에는 반드시 ) 나와야 한다.스택을 활용하여 마지막에 높이 0을 유지하자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406 커서를 left_stack과 right_stack 사이에 있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풀었다.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874스택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오름차순 수열을 만드는 문제. 머리가 안 좋아서 문제를 이해 하는 데만 10분은 걸린 듯 하다.코드를 보면 입력 값을 하나씩 받게 된다. \-> 한 번에 모든 입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5파이썬답게 deque를 사용하였다 \-> 사용법솔직히 쓰면서 너무 if문 남발한거 같아 초짜같아가지고(초짜맞음) 다른 사람들거좀 뒤져봤다.다음부터는 try-except로 예외처리를 하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58 > 쉬워보이면서 쉽지는 않았던 문제 💻 Code num(index)에 k-1만큼 더하는 이유는 하나가 빠지고(pop) k 만큼 증가하기 때문! k(주기)가 리스트의 길이(인원 수)보다 같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66같은 패턴 문제 연속으로 풀어서 지겹긴 하지만 deque랑 try문이나 쓰려고 풀어봤다.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7413 ''를 만날때까지 정상출력한다.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799이전 아이템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작업이 포함되어 있으니까 리스트에서 아이템을 하나씩 꺼내는 방식이 아니라 인덱스로 반복문을 돌려야 효율적이라는 점을 알았다.도저히 모르겠어서 코드 거의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7298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없었다.왼쪽에서 큰 수 발견하면 print(item)큰 수가 없을경우 print(-1)숫자가 끝에 있을경우 print(-1)간단하게 이 방식으로 코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7299 💻 Code 각 원소별 개수 세는 방법(링크)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935먼저 입력받은 피연산자의 개수만큼 operand 스택을 초기화후위표기식을 입력받은 후 피연산자의 값을 operand 스택에 넣기후위표기식을 순회알파벳을 만날 경우 stack에 그 값을 넣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918A~Z (피연산자)는 바로 result에\* or / 일 경우 stack이 존재하고 top이 (이 아니라면 -> 괄호 연산이라면 괄호가 끝날때까지 stack의 top이 \* 또는 /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20이 문제의 특징은 입력값의 개수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때문에 두가지 방법으로 이를 처리할 수 있다. 1\. input()으로 입력 받았을 경우 2\. readline()으로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5대문자, 소문자일 경우 아스키코드로 계산나머지는 그대로 출력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6처음 리스트에 접미사를 집어넣을 때는 앞이든 뒤든 순서 상관은 없었다. \-> 어차피 정렬할거니까그리고 변수에 정렬된 리스트를 재할당할 필요도 없었다 \-> for문에 정렬된 리스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9291일경우 소수가 아니므로 continue2부터 나눠지는 수가 1과 자기 자신 뿐이라면 ans에 append불필요한 계산을 피하기 위해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있다면 중간에 break해주었다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676처음에는 팩토리얼 구하면서 중간중간 그 값을 10으로 나누어 오버플로우 방지하고 카운트 올리고 뭐 이런방법으로 하는 거일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단순했다.팩토리얼로 얻을 수 있는 수를 인수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2004이 문제는 팩토리얼 0의 개수 문제와는 약간 다르다 (끝자리가 0 -> 10의 배수 (2x5))조합의 경우 최종적인 값은 팩토리얼 형태가 아니므로 5의 개수만 고려해서는 안된다. 이 경우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7087문제의 첫 번째 테스트 케이스로 보았을 때 (S:3, A: 1, 7, 11)1\. S(3)와 가장 가까운 A를 찾기 -> 12\. 그 두 값의 차이에 절대값을 씌우면 가장 가까운 동생과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373 >1. 주어진 2진수를 3자리씩 끊은다음에 각 자리수에 4, 2, 1을 곱해줘서 자릿수마다 더해주면 8진수이다. 💻 Code input()[::-1]로 값을 거꾸로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실버3)dp\[] : 최소연산횟수를 저장하는 listfor i in range(2, n+1) : 2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0 과 1은 연산횟수가 0번이기 때문 (0은 고려 안해도됨,
문제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6dp.append(dp\[i-1] + dp\[i-2]) 점화식 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