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딜리티 | lesson4 - Counting Elements : MaxCounters (python)

cun·2024년 2월 5일
0

Codility

목록 보기
8/12
post-thumbnail

💻lesson4 - MaxCounters

1. 문제

You are given N counters, initially set to 0, and you have two possible operations on them:

increase(X) − counter X is increased by 1,
max counter − all counters are set to the maximum value of any counter.
A non-empty array A of M integers is given. This array represents consecutive operations:

if A[K] = X, such that 1 ≤ X ≤ N, then operation K is increase(X),
if A[K] = N + 1 then operation K is max counter.
For example, given integer N = 5 and array A such that:

    A[0] = 3
    A[1] = 4
    A[2] = 4
    A[3] = 6
    A[4] = 1
    A[5] = 4
    A[6] = 4
the values of the counters after each consecutive operation will be:

    (0, 0, 1, 0, 0)
    (0, 0, 1, 1, 0)
    (0, 0, 1, 2, 0)
    (2, 2, 2, 2, 2)
    (3, 2, 2, 2, 2)
    (3, 2, 2, 3, 2)
    (3, 2, 2, 4, 2)
The goal is to calculate the value of every counter after all operations.

Write a function:

def solution(N, A)

that, given an integer N and a non-empty array A consisting of M integers, returns a sequence of integers representing the values of the counters.

Result array should be returned as an array of integers.

For example, given:

    A[0] = 3
    A[1] = 4
    A[2] = 4
    A[3] = 6
    A[4] = 1
    A[5] = 4
    A[6] = 4
the function should return [3, 2, 2, 4, 2], as explained above.

Write an efficient algorithm for the following assumptions:

N and M are integers within the range [1..100,000];
each element of array A is an integer within the range [1..N + 1].

2. 문제 접근

문제 이해하는 것이 제일 어려웠다. 문제 중 operation을 배열로 이해해버려서 서치하고 나서 문제 이해했다...
그러니깐
1. 원소가 N보다 같거나 작으면 배열 원소에 해당하는 위치에 +1
2. 원소가 N보다 크면 배열에 전부 max counter

여기서 max counter는 만들어가는 배열에서 가장 높은 숫자...
라고 이해하고 문제를 풀어가기 시작했다.

3. 첫번째 시도 - python

def solution(N, A):
    max_counter = 0
    result_array = [0]*N  #크기 N만큼의 리스트 

    for i in A:
        if(i>N):  #N보다 A의 원소가 크면 배열에 맥스카운더
            result_array = [max_counter]*N
        else:  # 아니면 그냥 해당하는 부분에 1더하고 맥스 카운터 계산
            result_array[i-1] += 1
            max_counter = max(result_array)
    return result_array

4. 첫번째 결과


늦게 이해한것 치고는 답은 얼추 맞았나보다. 그런데 시간복잡도가 엄청나게 크게 나왔다.아무래도 무분별한 함수사용과 반복문 사용이 원인인듯하다.
시간복잡도 줄일 수 있는 부분에선 전부 고쳐봐야할 것 같다.

5. 두번째 시도

def solution(N, A):
    max_counter = 0
    result_array = [0]*N  #크기 N만큼의 리스트 
    array = [0]*N
    
    for i in A:
        if(i>N):  #N보다 A의 원소가 크면 배열에 맥스카운더
            result_array = list(array)
        else:  # 아니면 그냥 해당하는 부분에 1더하고 맥스 카운터 계산
            if(i==0):
                continue
            else:
                result_array[i-1] += 1
                max_counter = max(result_array)

    for i in range(len(result_array)):
        result_array[i] += max_counter
    return result_array
  1. 두번째 결과
    ㅋㅋ...망했다
  1. 참고
def solution(N, A):
    answer = [0]*N
    max_counter = N+1
    cache = 0
    maximum = 0

    for num in A:
        if num < max_counter:
            if answer[num-1] < cache:
                answer[num-1] = cache + 1
            else:
                answer[num-1] += 1

            if answer[num-1] > maximum:
                maximum = answer[num-1]
        else:
            cache = maximum

    for idx in range(N):
        if answer[idx] < cache:
            answer[idx] = cache

    return answer

도저히 100%를 만들 수 없을 것 같아서 찾아보았다.

너무 어려워...ㅜㅜ

profile
꾸준하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