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K-UAM 용어 정의
용어 | 정의 |
---|---|
UAM 운항자(UAM Air Operator) | UAM 비행계획을 수립하며, 항공기의 운항 및 운용, 관리를 하는 주체 |
UAM 교통관리서비스 제공자(PSU) | UAM 운항안전정보 공유 및 교통흐름 관리, 비행계획 승인 및 항로이탈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
UAM 교통관리체계 (UATM) | UAM 항공기의 안전한 항행을 위한 교통관리체계 |
UAM 회랑(UAM Corridor) | UAM 안전운항을 위해 전용으로 분리 운영되는 공역으로 UAM 항공기가 목적지로 이동하는 통로 |
전략적 분리(Strategic Deconfliction) | UAM 항공기 간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비행 전 제출된 비행계획 상의 회랑과 버티포트 등에서 기존에 제출된 다른 항공기들의 비행계획 간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를 조정하는 것 |
전술적 분리(Tactical Separation) | 비행 중 회랑 내 UAM 항공기 간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속도, 고도, 방향 등 변경, 기존 비행계획 수정 등을 수행하는 것 |
운항지원정보 제공자(SDSP) | 지형, 장애물, 날씨 등 운항지원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
버티포트(Vertiport) | UAM 항공기가 이착륙하기 위한 기반시설(교통시설). 육상, 수상, 또는 건물옥상 등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비 지원이나 승객 탑승·하기·환승 및 화물 적재·적하 등을 위한 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음 |
버티포트 운영자(Vertiport Operator) | UAM 항공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해 버티포트의 운영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버티포트 권역을 감시하는 주체 |
UAS 교통관리서비스 제공자(USS) | UTM 환경에서 무인 비행장치(UAS)의 비행에 필요한 각종 신고·승인 등 업무의 지원 및 비행에 필요한 정보제공, 비행경로 관리 등을 수행하는 주체 |
UAS 교통관리(UTM, UAS Traffic Management) | 저고도(지상고도 150 m 이하)에서 비행하는 무인 비행장치의 교통 관리 |
기타 이해관계자 | 기타 UAM 운용으로 영향을 주거나 받는 정보에 접근이 가능한 집단 |
단계별 K-UAM 운용 시나리오
출처: K-UAM 정책 로드맵 & 기술 로드맵
UAM 운영 평가
UAM 운영 개념
> 기존 ATM과 무인항공기 교통관리 시스템 UTM (UAS Traffic MAnagement) 운영의 영향성 최소화
> 대중 이해 관계자들의 요구사항 (지역 환경, 소음, 안전, 보안)
> 이해관계자들의 활용성 (고객 요구사항)
UAM 적용 사례와 운영 시나리오
계획된 UAM 운영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우발적인 UAM 운영 상황
- 강제적인 착륙을 초래하는 문제. 의도된 UAM 운영 미준수하는 경우에 해당
- UAM 비행통로에서 벗어나 비행 공역에서 ATC 서비스에 영향
- 첫 번째 경우와 동일하게 PSU 네트워크를 통해 상황 정보를 배포하게 되고 PIC는 안전한 착
륙에 집중할 것임 (비행통로 외부의 식별 및 통신 수단(ADS-B등)을 활용하고 최대한 다른 항
공기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위험을 완화하는데 권고 또는 ATC 지침을 제공)
- PIC는 비행장이 아닌 안전하고 적절한 착륙 위치를 식별하여 정보를 제공
참고 문헌
<도심항공교통(UAM) 운영 개념>_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운용개념서 1.0_UAM Team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