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UTM

이혜윤·2023년 1월 10일
2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 항공교통관리 ATM (Air Traffic Management) & 무인항공시스템 UAS (Unmanned Aircraft System), 무인기교통관리 UTM (UAS Traffic Management) 의 맥락에서 UAM 운영 환경을 정의
  • 도심 내외에서 고도화된 자동화, 승객과 화물-운송 항공교통 서비스를 가능케 함

K-UAM 용어 정의

용어정의
UAM 운항자(UAM Air Operator)UAM 비행계획을 수립하며, 항공기의 운항 및 운용, 관리를 하는 주체
UAM 교통관리서비스 제공자(PSU)UAM 운항안전정보 공유 및 교통흐름 관리, 비행계획 승인 및 항로이탈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UAM 교통관리체계 (UATM)UAM 항공기의 안전한 항행을 위한 교통관리체계
UAM 회랑(UAM Corridor)UAM 안전운항을 위해 전용으로 분리 운영되는 공역으로 UAM 항공기가 목적지로 이동하는 통로
전략적 분리(Strategic Deconfliction)UAM 항공기 간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비행 전 제출된 비행계획 상의 회랑과 버티포트 등에서 기존에 제출된 다른 항공기들의 비행계획 간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를 조정하는 것
전술적 분리(Tactical Separation)비행 중 회랑 내 UAM 항공기 간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속도, 고도, 방향 등 변경, 기존 비행계획 수정 등을 수행하는 것
운항지원정보 제공자(SDSP)지형, 장애물, 날씨 등 운항지원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버티포트(Vertiport)UAM 항공기가 이착륙하기 위한 기반시설(교통시설). 육상, 수상, 또는 건물옥상 등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비 지원이나 승객 탑승·하기·환승 및 화물 적재·적하 등을 위한 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음
버티포트 운영자(Vertiport Operator)UAM 항공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해 버티포트의 운영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버티포트 권역을 감시하는 주체
UAS 교통관리서비스 제공자(USS)UTM 환경에서 무인 비행장치(UAS)의 비행에 필요한 각종 신고·승인 등 업무의 지원 및 비행에 필요한 정보제공, 비행경로 관리 등을 수행하는 주체
UAS 교통관리(UTM, UAS Traffic Management)저고도(지상고도 150 m 이하)에서 비행하는 무인 비행장치의 교통 관리
기타 이해관계자기타 UAM 운용으로 영향을 주거나 받는 정보에 접근이 가능한 집단

단계별 K-UAM 운용 시나리오


출처: K-UAM 정책 로드맵 & 기술 로드맵

  1. 초기(2025년~) K-UAM 운용 형태
    초기 K-UAM 운용은 기장이 탑승하여 수도권 단일 또는 복수의 K-UAM 시범 서비스 고정형
    회랑(특정 구간 간에 사전 정의되고 중첩 항로가 없는 독립 회랑)
    조종사 운용 : 조종사(기장) 탑승. 시계비행방식(기존 시계비행규칙(VFR) 대비 고도화된 비행방식으로 조종사의 육안감시와 더불어 안전운항에 필수적인 각종 정보를 지원받아 비행하는 방식) 초기 적용
    교통관리체계 : UAM 교통관리체계 도입 (항공교통관제사 협조를 통해 검증·고도화)
    교통관리 : 음성기반, 인적기반에서 데이터 기반 자동화 도입으로 발전
    회랑운영방식 : 고정형 회랑(Fixed Corridor) 방식
    항공통신망 : 상용이동통신(4G, 5G) 및 항공음성통신
    항법시스템 : 정밀위성항법
    버티포트 입지 및 형태 : 수도권 K-UAM 상용화 시범 서비스를 위한 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소수의 버티포트 인프라 구축

UAM 운영 평가

  1. 운영 템포 : UAM 운영의 밀집도, 빈도, 복잡성
  2. UAM 구조(공역과 절차): UAM 운영 환경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서비스의 복합된 수준
  3. UAM 규제 변화: UAM 운영의 구조 및 성능을 위해 필요한 현재 규정들의 발전 수준
  4. UAM 커뮤니티 법령(CBR: Community Based Rules): UAM 운영과 서비스 제공자(PSU: Provider of Services for UAM) 의 확장을 위해 UAM 추진 규정들을 보완
  5. 항공기 자율화(Automation) 수준
  • 휴먼 위딘더 루프(HWTL): 사람이 직접 시스템을 조종하는 단계
  • 휴먼 온더 루프(HOTL): 사람의 감독 하에 조종되는 시스템 단계, 사람이 적극적 모니터링함
  • 휴먼 오버더 루프(HOVTL): 사람이 수동적으로 모니터링함.
  1. PIC (Pilot in Command) 단계

UAM 운영 개념

  1. 관련 분야의 역할과 책임
  • FAA
  • UAM 운영자
  • PIC(Pilot in Command)
  • PSU
  • PSU 네트워크
  • UAM 비행장
  • USS (UAS 서비스 공급자)
  • NAS 공역 사용자
  • 공적 관심 이해관계자
  1. UAM 비행통로
  • UAM 비행 통로: 항공교통관제(ATC)의 기술적 분리 관제 서비스 없이 (=안전을 위한 타 비행체와의 간섭 관리) UAM을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 UAM 비행 통로 설계 시 고려 사항
    	> 기존 ATM과 무인항공기 교통관리 시스템 UTM (UAS Traffic MAnagement) 운영의 영향성 최소화
    	> 대중 이해 관계자들의 요구사항 (지역 환경, 소음, 안전, 보안)
    	> 이해관계자들의 활용성 (고객 요구사항)
  1. UAM 비행통로 내에서의 분리 방법
  • 주된 방법) 공동 비행 영역을 기반으로 전략적 충돌방지
  • 기술적 분리 방법) UAM 운영자에게 할당 (pic와 항공기 성능 및 psu 지원을 포함)
  • FAA 규정&CBR 규정 (전략적 충돌방지(deconiflicaiton)&전술적 분리 방식 포함)
  • 공유된 비행의도(Flight Intention), 인식, 비행 의도에 전략적 충돌방지 및 절차 규정 정립을 통해 가능
  1. 기상(Weather)과 장애
  • PSU와 보조적 데이터 서비스 제공자 SDSP (Supplemental Data Service Provider) 는 기상/지형/장애물 정보 데이터 제공 -> UAM 운영자를 지원
  • 해당 데이터는 UAM 운영과 비행 중 업데이트된 전략적 관리를 보장하기 위해 비행계획 단계에서 얻어짐

UAM 적용 사례와 운영 시나리오

  1. 운영 단계 구분
  • 비행 계획
    • 비행장 A와 B 사이의 비행 요구사항을 운영자가 접수
    • 운영자는 SDSP 서비스 (기상, 상황 인식, 운영 수요, UAM 비행장 가용 여부 및 기타 데이터)와 관련된 PSU로부터 현재 상태 정보 입수
  • 출발
  • 비행 경로
    • 운영자와 PSU는 UAM 항공기의 식별과 위치 정보를 활용
    • PIC와 운영자는 항공기 성능을 모니터링하여 비정상 상태를 식별 가능
  • 도착 및 운영 이후
  1. UAM 비정상 적용 사례
  • 계획된 UAM 운영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 성능 문제, 강풍, 네비게이션 불량 등
    • 비행 통로 내에서 계획된 비행장까지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
    • 비정상 운영이 감지되면 PSU 네트워크를 통해 이에 대한 정보를 배포
    • UAM 운영자와 PSU는 CBR 규정과 비행통로 성능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UAM 운영 의도를 확인 가능
  • 우발적인 UAM 운영 상황
    - 강제적인 착륙을 초래하는 문제. 의도된 UAM 운영 미준수하는 경우에 해당
    - UAM 비행통로에서 벗어나 비행 공역에서 ATC 서비스에 영향
    - 첫 번째 경우와 동일하게 PSU 네트워크를 통해 상황 정보를 배포하게 되고 PIC는 안전한 착
    륙에 집중할 것임 (비행통로 외부의 식별 및 통신 수단(ADS-B등)을 활용하고 최대한 다른 항
    공기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위험을 완화하는데 권고 또는 ATC 지침을 제공)
    - PIC는 비행장이 아닌 안전하고 적절한 착륙 위치를 식별하여 정보를 제공


    참고 문헌

<도심항공교통(UAM) 운영 개념>_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운용개념서 1.0_UAM Team Korea>

profile
구르미 누나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