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_test01확인
<form action="join.do" method="post" name="frm">
*form은 디폴트로 get을 사용한다. 하지만 협업자를 위해 보통 표시해준다.
GET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 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이다.
예를들면 게시판의 게시물을 조회할 때 쓸 수 있다.
GET을 통한 요청은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어 전송되며, 이 부분을 쿼리 스트링 (query string) 이라고 부른다.
방식은 URL 끝에 " ? " 를 붙이고 그다음 변수명1=값1&변수명2=값2... 형식으로 이어 붙이면 된다.(&로 구분)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이다.
www.example.com/show?name1=value1&name2=value2
서버에서는 name1 과 name2 라는 파라미터 명으로 각각 value1 과 value2 의 파라미터 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
POST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 되는 메서드다. 예를들면 게시판에 게시글을 작성하는 작업 등을 할 때 사용할 된다.
POST는 전송할 데이터를 HTTP 메시지 body 부분에 담아서 서버로 보낸다. ( body 의 타입은 Content-Type 헤더에 따라 결정 된다.)
GET에서 URL 의 파라미터로 보냈던 name1=value1&name2=value2 가 body에 담겨 보내진다 생각하면 된다.
POST 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길이 제한이 따로 없어 용량이 큰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하거나 GET처럼 데이터가 외부적으로 드러나는건 아니라서 보안이 필요한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 하지만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으면 body의 데이터도 결국 볼 수 있는건 똑같다. )
POST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보통 HTML form 을 통해 서버로 전송된다.
<form action="join.do" method="post" name="frm">
action으로 정보를 넘겨받아 저장등의 동작을 수행
->위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input type="submit" value="확인"을 수정하여 JS로 유효성검사 후 제출할수도 있다.
<input type="button" value "확인" onclick= Validate()>
name은 회원정보 폼인 경우 frmMember 등으로 설정. frm을 붙임
AWT-> Swing -> FX 순으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이방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윈도우 GUI나 웹에서 구현할 것이므로(폼)
==> UI 구현
table_test01 참고
p.114부터
순차 ->
Basic C
Fortran Pascal
COBOL
구조적 ->
C
Pascal
객체지향 ->
C++
윈도우
다시 구조적
자바 람다식
리액트 클래스형 / 함수형<- 클래스 자체를 기능으로
new == Instance
같은 클래스로 인스턴스를 생성해도 각 인스턴스는 == 비교시 다르다.
참조 타입 변수는 아직번지를 저장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null을 가질수 있다.
최근 선언시에는 앞에 부모타입을 사용. 자식은 부모 클래스를 이용할수 있기때문
https://limreus.tistory.com/9
Map으로 선언할 경우, HashMap으로 선언할 때보다 가짓수가 많아진다.
결국 코드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https://myeongdev.tistory.com/23
또한, Map이 인터페이스여서 선언만 가능하며 객체 생성이 불가능하다.
List myData = new ArrayList();
Map myValue = new HashMap();
코드int[] a;
a = new int[5];
int[] a = new int[10];
public class FunctionEx01 {
//static으로 메모리에 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게 해야함
public static int functionTest(int a, int b) {
int sum;
sum = a + b;
return su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 = 10;
int y = 2;
System.out.println("x와 y의 합? " + functionTest(x, y));
}
}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는 말 그대로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접근이란 클래스 및 인터페이스 그리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멤버의 접근을 말한다.
public: 접근을 제한이 없음. 외부 클래스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
protected: 같은 패키지 또는 자식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default : 아무런 접근 제한자를 명시하지 않으면 default 값이 되며, 동일한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
private: 자기 자신의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 직접 접근할 수 없으므로 getter, setter함수를 통해서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