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10일의 TIL

Sorbet·2021년 2월 10일
0

TDD

  • 오늘은 TDD에 대해서 배웠다.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 TDD는 결국 지식이 아니라 행동이기 때문에 매일매일 노력해서 내 행동이 변화해야 한다는게 주요 골자이다.
  • 마스터 호눅스와 자바지기 포비님께서는 꾸준함과 실천을 강조했는데, 아마도 TDD가 행동이기 때문에 어느날 갑자기 "자 오늘부터 TDD 시작합니다아!" 하고 바뀔수가 없기 때문인거같다.
  • 내가 느낀점? 궁금한점은 일단
    • TDD, 리펙토링이 왜 필요한지 필요성이 마음으로 잘 와닿지 않는다
    • TDD 를 하는데 자바언어의 경우 junit이 유일한 방법인지, junit말고 다른 라이브러리는 없는건지
    • 리펙토링이랑 TDD 사이의 관계는 어떤건지, TDD 3단계 구분동작이 아래와 같은데
      • 실패하는 테스트코드
      • 성공하는 테스트코드
      • 리펙토링
    • 요 3단계인데, TDD랑 리펙토링이랑은 분리할수 없는건지
  • 일단 자바체스 도중 잠깐 자바 문자열계산기를 제작중인데 이 토이프로젝트를 끝내고 나면 저런 궁금증이 여전히 해결에 다가갈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나태

  • 오늘 아빠한테 한소리 들었다 나태해졌다고, 15시에 이 한소리 듣고 오늘 코드스쿼드 캠켜놓고 3시간동안 유투브보다가 6시부터는 본격적으로 드러눕고 놀았다.
    • 심지어 체크아웃 안하고 놀아서 죄책감이 두배는 더 크다
  • 처음에는 짜증나고 화나다가, 그다음엔 "아빠는 아무것도 모르면서 막 던지는구나?" 생각이 들었다.
  • 그리고 이 글을 쓰기 전에 샤워를 하다가 문득 "나 진짜 좀 나태한듯? 내가 나태한걸 들켰네?" 라는 생각도 들었다.
  • 이렇게 불쾌함(공격받음)---논리 탐색(공격준비)---반성 이라는3단계 감정의 진화(Evolution이 아니라 subjugation이나 extinguishing? 같은거..)를 거치면서 몇가지 느낀점이 있는데
    • 내가 파악한 한정적인 정보만 가지고 상대방을 정의해버리면, 반감이 생긴다
    • 같은 말 이라도 표현방식을 다르게 한다면 훨씬 더 긍정적인 동기부여와 함께 상대방의 행동을 바꿀수 있다
    • 23시까지 잉여잉여하게 놀고 현자모드로 생각을 해보니까 보이는게, 스스로 느껴왔던 내 문제점들을 아빠의 모습에서 찾아볼수 있었다. 부전자전이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닌듯.
  • 오늘 속상했던 내 감정을 잊지않고 타산지석 삼아서 다른사람들한테 뭔가를 말할때 좀더 섬세하게 말하는 연습을 해야겠다.
  • 마지막으로, 감명깊게 읽었던 데일카네기의 인간관계론 책에서 말하는 "인간관계 3원칙" 다시한번 리마인드 하고 오늘은 늦었으니까 유투브나 보다가 잠들어야겠다
    1. 비난, 비평, 불평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마라
     2. 솔직하고 진지하게 칭찬해라
     3. 다른사람들의 열렬한 욕구를 불러일으켜라
  • 쓰고나니까 길고 장황한 "오늘 공부를 안한 변명"이 되버렸다 ㅋㅋ
profile
Sorbet is good...!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1년 2월 16일

ㅋㅋㅋㅋ 저도 그래요. 게임하다가 와이프가 너 일 안하니? --> 짜증 --> (시간이 지나면) --> 반성 --> 일해야지 이렇게 되더라구요 ㅋㅋㅋ.

TDD가 꼭 필요한 건 아니지만 테스트 없이 리팩토링하면 지옥입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