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Java] Lv.0 다항식 더하기

febCho·2024년 5월 24일
0

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204/253
post-thumbnail

문제

한 개 이상의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식을 다항식이라고 합니다. 다항식을 계산할 때는 동류항끼리 계산해 정리합니다. 덧셈으로 이루어진 다항식 polynomial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동류항끼리 더한 결괏값을 문자열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같은 식이라면 가장 짧은 수식을 return 합니다.

- 제한사항

  • 0 < polynomial에 있는 수 < 100
  • polynomial에 변수는 'x'만 존재합니다.
  • polynomial은 양의 정수, 공백, ‘x’,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항과 연산기호 사이에는 항상 공백이 존재합니다.
  • 공백은 연속되지 않으며 시작이나 끝에는 공백이 없습니다.
  • 하나의 항에서 변수가 숫자 앞에 오는 경우는 없습니다.
  • " + 3xx + + x7 + "와 같은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 0으로 시작하는 수는 없습니다.
  • 문자와 숫자 사이의 곱하기는 생략합니다.
  • polynomial에는 일차 항과 상수항만 존재합니다.
  • 계수 1은 생략합니다.
  • 결괏값에 상수항은 마지막에 둡니다.
  • 0 < polynomial의 길이 < 50

풀이

- 오답

58.3점 맞았다. 계수 1은 생략할 수 있도록 처리도 했고, x만 있을 때 정수도 있을 때 정수만 있을 때 경우의 수도 잘 나누었다고 생각했는데 왜 틀렸는지 감이 안 잡혔다.

그러다 깨달은 건.. String[] xArr = polyArr[i].split(""); 부분에서 x와 계수를 분리할 때, 계수가 두 자리 이상일 수도 있겠다는 거였다. 설령 한 자리 수로만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for문 > if문 > split()으로 문자열 배열 만드는 건 너무 비효율적이라 수정이 필요했다.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polynomial) {
        String answer = "";
        
        int plusX = 0;
        int plusNum = 0;
        String[] polyArr = polynomial.split(" \\+ ");
        
        for(int i=0; i<polyArr.length; i++){
            if(polyArr[i].contains("x")){
                String[] xArr = polyArr[i].split("");
                
                if(!polyArr[i].equals("x")){
                    plusX += Integer.parseInt(xArr[0]);
                }else{
                    plusX += 1;
                }
            }else{
                plusNum += Integer.parseInt(polyArr[i]);
            }
        }
        
        String plusXStr = "";
        if(plusX != 1){
            plusXStr = String.valueOf(plusX) + "x";
        }else{
            plusXStr = "x";
        }
        String plusNumStr = String.valueOf(plusNum);
        
        if(plusX != 0 && plusNum != 0){
            answer = plusXStr + " + " + plusNumStr;
        }else if(plusX == 0 && plusNum != 0){
            answer = plusNumStr;
        }else if(plusX != 0 && plusNum == 0){
            answer = plusXStr;
        }
        
        return answer;
    }
}

- 정답

코드 수정하는 김에 전반적으로 코드 복잡도를 개선해 보았다. if문 안에 있는 코드들은 조건 삼항 연산자로 바꾸고, 한 줄로 이어서 작성 가능한 건 {}를 없앴다. 훨씬 보기 깔끔한 듯!

앞서 말했듯 12x와 같이 계수가 두 자리 이상인 경우를 제대로 체크하지 못해 오류가 난 거였다. split()으로 나누는 대신 replace()로 x를 공백으로 바꾼 뒤 더해 주었다. 메모리 측면에서는 builder나 buffer 객체를 쓰는 게 더 나았을 것 같은데, 코드 복잡한 게 싫어서 그냥 String으로 해결했다.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polynomial) {
        String answer = "";
        
        int plusX = 0;
        int plusNum = 0;
        String[] polyArr = polynomial.split(" \\+ ");
        
        for(int i=0; i<polyArr.length; i++){
            if(polyArr[i].contains("x")){
                plusX += (!polyArr[i].equals("x")) ? Integer.parseInt(polyArr[i].replace("x", "")) : 1;
            }else{
                plusNum += Integer.parseInt(polyArr[i]);
            }
        }
        
        String plusXStr = (plusX != 1) ? String.valueOf(plusX) + "x" : "x";
        String plusNumStr = String.valueOf(plusNum);
        
        if(plusX != 0 && plusNum != 0) answer = plusXStr + " + " + plusNumStr;
        else if(plusX == 0 && plusNum != 0) answer = plusNumStr;
        else if(plusX != 0 && plusNum == 0) answer = plusXStr;
        
        return answer;
    }
}

결과

profile
Done is better than perfec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