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 Response~
{ "Movies" : [
{
"title" : "미션임파서블",
"grade" : "15세 관람가",
"category" : "액션"
},
{
"title" : "어벤져스",
"grade" : "12세 관람가",
"category" : "액션"
},
{
"title" : "범죄도시",
"grade" : "19세 관람가",
"category" : "범죄/스릴러"
},
{
"title" : "아저씨"
"grade" : "19세 관람가"
"category" : "범죄/스릴러"
}
]
}
[]는 list고 {}은 객체고 코드블럭 안은 객체 표현식임
JSON은 ""면 문자열이고 ""없으면 문자임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해당 숫자의 타입을 알 수 없고 서버개발자의 API문서를 통해 알 수 있음(필드의 의미 등..)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일종의 포맷(Format)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경량의 데이터 형식을 의미.
Json은 name-value 형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name과 value는 :으로 연결. name은 String이기 때문에 반드시 큰따옴표("")로 묶어줘야 하며 value는 String형 데이터일 때 큰 따옴표("")로 묶어줌. 각 데이터 쌍들의 구분은 쉼표(,)를 사용하여 구분.
{
"students" : ["김철수", {"전공" : ["프로그래밍", "영어"]}]
}
Json에서 객체(Object)의 시작은 {} 중괄호를 사용하고 배열은 [] 대괄호를 사용. 위 Json 형태를 살펴보면 {} 안에 name:value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가 들어감. (객체 {} 안에는 반드시 name:value 쌍이 들어감. ) students와 쌍을 이루는 value는 대괄호를 사용하여 배열이 들어감. 배열의 각 요소는 쉼표(,)를 통해 구분되며 각 요소는 마찬가지로 객체가 오거나 배열 또는 일반적인 String과 같은 타입이 들어갈 수 있음.
가장 먼저 { 를 시작으로 하여 객체가 시작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Movies와 쌍으로 value 타입은 배열이 들어감. Movies의 value에 해당하는 배열은 총 4개의 요소를 가지며 각 요소는 {}로 이루어진 객체 타입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 각 배열의 요소 {} 안에는 한 개의 영화 정보를 담기 위한 name:value 쌍으로 이루어진 객체로 이루어져 있음.
class Person(
var id:Int?=null
var name:String?=null
var age:Int?=null
var intro:String?=null)